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기도 폐기물 발생량 예측

        조의호 ( Ui-ho Jo ),변주형 ( Joo-hyeong Byun ),원종무 ( Jong-moo Won ),김은아 ( Eun-ah Kim ),김태영 ( Tae-young Kim ),최윤호 ( Yun-ho Choi ),유창숙 ( Chang-suk You ),김종수 ( Jong-su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목적은 과거 단순한 환경오염의 개선에서, 현재는 환경과 경제의 상생, 균형발전 및 환경용량기반 수용체중심 통합관리로 점진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경제사회기반 확립이라는 목표로 국가폐기물 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되었고,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 폐기물관리 계획의 근간이 되어왔다. 폐기물관리 계획은 향후 10년간의 폐기물 관리에 관한 예측과 대책을 수립하는 것으로써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장래 발생량의 예측이다. 발생량 예측은 해당 지역의 폐기물 분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예측된 발생량에 따라 감량화와 처리방법, 처리계획이 수립된다. 경기도 역시 폐기물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나, 다양한 산업형태가 공존하는 도농복합도시특성 및 시군별 인구수의 상이함의 결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적용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경기도의 다양한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별 폐기물 발생량의 차이는 도시의 공간적 특성, 개인의 생활수준, 학력과 의식 등 복잡한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이며, 특히, 이들 특성 중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생활 폐기물 발생량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구학적 요소 및 사회경제적인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의 경기도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은 도(道) 단위로 예측하여, 경기도지역의 도시특성 즉, 다양한 예측변수를 고려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표가 경기도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출된 다중회귀식을 이용하여 발생량을 예측하여, 폐기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4학년 지역화 교재 비교 분석 -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편찬 자료를 중심으로 -

        조의호(Eui Ho Jo),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2 사회과수업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에서 편찬한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4학년 지역화 교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행 지역화 교재의 특징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재의 외형 체제 분석 기준으로는 교재 이름, 표지, 단원별 분량을, 내적 체제의 분석 기준으로는 단원 및 주제 이름과 세부 구조, 교재의 활용 유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교재 이름은 ‘○○의 생활’이라는 전통적인 명칭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일부에서는 다른 형태를 보였다. 교재의 표지는 지역을 상징하는 자연·인문 환경을 주로 삽화 형식으로 드러내고 있었고, 지역 간 교과서 분량의 편차가 4배가량 달했으며,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지역’이 명시된 부분에 해당하는 단원의 분량이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원 및 주제 이름은 국정 사회 교과서의 이름이나 형식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지역화 교재의 단원 및 주제의 세부 구조는 단원 도입과 주제 학습으로만 구성된 경우가 과반수 이상이었다. 다만, 이러한 주된 흐름과 다르게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나름의 체계와 내용, 방법이 적용된 지역화 교재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지역화 교재는 국정 사회 교과서와 관계를 기준으로 종속형과 독립형으로 나눌 수 있었고, 각 유형에서도 강하고 약한 정도를 구분할 수 있었다. 향후 지역화 교재를 편찬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심으로 주제 학습 구조의 유형별 특성을 강화하여 지역화 교재를 편찬해야 한다. 둘째, 내용의 지역화를 넘어 방법의 지역화를 추구하는 지역화 교재가 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화 교재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미국 초등 사회과의 탐구설계모델(IDM)기반 교수 · 학습자료 분석

        조의호(Jo, Eui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본 연구는 탐구설계모델(IDM)을 기반으로 개발된 미국 초등 사회과 교수 · 학습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수 · 학습자료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탐구설계모델(IDM)은 C3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한 자료 개발과 수업 구상에 활용 가능한 설계도이다. 질문, 과업, 자료로 구성된 탐구설계모델(IDM)은 학생의 흥미와 사회과학적 지식을 모두 중시하면서 문해력 신장과 교실 너머의 실천을 추구한다. 탐구설계모델(IDM)에 따라 개발된 미국 초등 사회과 교수 · 학습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자료로 구성된 과업을 통해 핵심 지식과 기능의 습득 및 활용을 도모한다. 둘째,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한 질문 기반 주제중심 접근으로 사회과의 내용 영역을 통합하며 학습자 흥미를 유발한다. 셋째, 교실 너머의 유익한 행동을 강조하고 실제 사례와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역량 중심 교육을 강조하는 우리나라도 문해력과 맞춤형학습 원리가 반영된 핵심 지식 습득형과 실천 중심의 지식 구성형 과업이 조화를 이룬 한국형 탐구 설계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회과교육 연구진과 현장 교사가 협업하여 전국 및 지역 단위 자료를 개발하고 축적하는 거버넌스 조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 by analy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oolkits in the United States developed based on the Inquiry Design Model (IDM). The IDM is a blueprint that can be used for material development or lesson planning based on the C3 framework. The IDM is composed of questions, tasks, and data. It focuses on students" interests and social science knowledge while pursuing literacy development and practice beyond the classroom. Characteristics of IDM toolkits are as follows. First, IDM aims to acquire and utilize core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tasks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econd, it integrates contents areas of social studies and induces learners" interest through a question-based, subject-centered approach that flexibly applies the environmental expansion method. Third, it emphasizes the beneficial behavior beyond the classroom while providing real examples and concrete implementation methods. In Korea, where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IDM that reflects literacy and customized learning principles in which the core knowledge acquisition type and the practice-oriented knowledge construction type task are harmonized. To this end, a governance organization that develops and accumulates national and regional data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must be supported.

      • KCI등재후보

        OECD Education 2030 역량에 기초한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반영도 분석

        조의호(Jo Eui-h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급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는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총 5개 범주, 28개 세부 역량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대부분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기초 소양’ 범주의 ‘문식성’과 ‘ICT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 ‘기능, 태도, 가치’ 범주의 ‘협동/협력’, ‘문제해결력’, ‘존중’,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 범주의 ‘새로운 가치 창출’, ‘책임 의식’, ‘복합 소양’ 범주의 ‘기업가 정신’이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이면서 높은 비율로 반영되어 있었다. 반면,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변혁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학습 전략적 차원의 ‘역량 개발’과 ‘복합 소양’ 범주의 세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수리력’, ‘끈기/회복력’, ‘학습에 대한 학습’,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 등과 같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특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리와 일반사회 영역의 역량 반영 비율이 역사 영역에 반영된 비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i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 total of 5 categories and 28 detailed competencies were presented to analyze the degree of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ie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literacy’ in the ‘foundational literacy’ category, ‘ICT literacy/digital literacy’, ‘cooperation/collaboration’ in the ‘skills, attitudes & values constructs’ category, ‘problem-solving’, ‘respect’, ‘creating new value’ in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y and development for 2030’ category and ‘entrepreneurship’ in the ‘complex competencies for 2030’ were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a specific and high rat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detailed competencies in the categories of ‘competence development for 2030’ as a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transformative compet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and ‘compound competencies for 2030’ was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competencies such as ‘numeracy’, ‘persistence/resilience’, ‘learning to learn’, and ‘computational thinking/programming/coding’ were not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ly high ratio of competency reflection in the geography and civics domains was higher than the ratio reflected in the history domain.

      • KCI등재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구동향

        조의호(Jo, Eui H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기준을 소개하고, 최근 10여 년간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ESD 연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은 UNESCO에서 제시한 연구 주제 범위와 연구 대상으로서 학교급별 분포이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ESD 관련 연구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ESD의 정립과 확산을 위해서는 ESD의 개념 및 비판적 담론 형성과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으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standar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ESD. Analyzing the trends of ESD researches in Korea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s focused on reviewing the track of ESD researches and getting a certain direction for other ESD researches in the future. The standard to analyze ESD researches is a range of themes suggested by UNESCO and grades of school as a research object. The result is as follows. Researches abou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methods a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ESD researches. But researches about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critical discourse of ESD and vocational & civil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to be more active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ESD and to spread ESD movement.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독도 및 통일 단원 집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조의호(Jo, Eui H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0 글로벌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독도 및 통일 교육과 관련된 집필 과정을 성찰하고 자문화기술지로 서술하여 연구자가 경험한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교과서 집필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인 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정 사회과 교과서의 독도 및 통일 교육 관련 주제를 약 3년 동안 집필하면서 다음과 같은 재맥락화를 경험하였다. 첫째, 교과서 집필 방향을 설정하면서 교화보다는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민주주의적 애국심을 추구하고, 두 주제를 무리하게 연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피하고자 했다. 둘째, 교과서 텍스트를 구성하면서 사회적 논란을 피하고자 공신력 있는 기관에 의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독도 및 통일 교육과 관련된 터부된 선을 넘지 않기 위해 자율성을 줄이고 자기 검열을 강화하였다. 셋째, 교과서 활동을 구성하면서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한 활동을 삽입하되, 학생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활동을 추가함으로써 학습 능동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는 독도 및 통일 교육과 관련된 초등 사회과 교과서 집필 경험을 다룸으로써 글로벌 관점을 지향하며 동시에 국가·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교과서 구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process related to Dokdo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 re-contextualising experienced by the authors with describing them thorough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er, I have been writing the subjects related to Dokdo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nationa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past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while setting the direction for writing textbooks, I pursued democratic patriotism based on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edification, and tried to avoid errors that could arise by connecting the two themes forcibly. Second, while constructing textbook texts, they relied on credible institutions to avoid social controversy. I also reduced autonomy and strengthened self-censorship in order to avoid breaking the taboos related to Dokdo and unification education. Third, while constructing textbook activities, I inserted activities that reflect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and added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students to secure the activity of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construction of textbooks with a global perspective and national and social needs by addressing the experience of writing social studies textbooks related to Dokdo and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 탐색 -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에 담긴 시사점을 토대로 -

        조의호(Eui Ho Jo),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extbook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rold Rugg'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textbooks and devised the principle of developing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suitabl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Harold Rugg's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princi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the curriculum standards, second, integrated topic-oriented approach, third, the composition of reading materials by storytelling and step-by-step questions aimed at student inquiry, and fourth, textbook production and post-supplemen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student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researcher developed a 'classroom textbook' by teachers fo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used it for class, and confirmed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to the 'classroom textbook.'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First,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ocial studies classes suitable for classroom students. Second,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as a useful tool to realize alternat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led by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기존 전국 단위 검정 사회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 의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실교과서의 성격을 탐색하고, 미국 사회과교육의 역사상 혁신적이며 초등 사회과 정립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는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기존 전국 단위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규명하고,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교육에 적합한 ‘교실 교과서’ 개발 원리를 구안하였다. 구안한 원리로는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한 대안적인 교육내용 선정, 둘째, 주제 중심의 영역 통합적 접근, 셋째, 학생 탐구를 지향하는 이야기체 서술의 읽기 자료 및 단계적 질문 구성, 넷째, 교실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교과서 제작 및 사후 보완이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일부 내용을 대상으로 교사에 의한 ‘교실 교과서’를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교실 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동료 교사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교과서’는 기존 전국 단위 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 학생에게 적합한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둘째, ‘교실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대안적인 초등 사회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써 그 가능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클러스터 맞춤형 탐구 기반 학습을 적용한 초등사회과수업 모델 탐색

        조의호(Jo, Eui 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수업에서 탐구 기반 학습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수업 원리를 결합한 수업 설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탐구 기반 학습을 초등학교 교실 상황에 적합하게 재구조화하고, 다인수 학급에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맞춤형 수업 원리를 결합한 수업 모델을 구상하였다. 수업 모델의 교수·학습 흐름은 문제 확인, 근거 수집 및 분석, 결론 도출 및 공유 단계로 구성된다. 각 단계에서는 학생의 준비도, 흥미, 학습양식에 따라 과업이나 자료를 2~3개의 클러스터로 조절하는 원리가 탄력적으로 적용된다. 수업 모델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초등학교 5학년 역사 영역 가운데 일부를 대상으로 수업 설계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로써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과 맞춤형 수업의 원리와 실천 사례 및 관련 교수·학습자료가 축적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lesson model by combi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inciples with inquiry-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To this end, we devised a lesson model that combined cluster-differentiated instruction principles to restructure inquiry-based learning to suit situations of elementary school lessons and make it applicable to multi-in-classes. The lesson model consisted of problem identification, evidence collection and analysis, conclusion drawing, and sharing steps. The principle of adjusting tasks and materials into 2~3 clusters according to student readiness, interest, and learning profile was flexibly applied. To enhance the feasibility of the lesson model, an example of lesson design was presented for some history areas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realize meaningful learning for all students, the lesson model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accumulating principles, practices, and 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various social studies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모의 선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의호(Jo, Eui 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 선거 교육의 방안으로 모의 선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 전후에 실시할 수 있는 모의 선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차시로, 크게 지방선거에 대한 이해, 후보자 및 공약 분석, 모의 선거, 모의 선거와 실제 선거 결과 비교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서울 A초등학교 5학년 학생 80명에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실험집단, 인접한 학교 5학년 학생 44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면담 자료, 소감문 등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선거에 대한 이해, 정치 효능감, 선거 참여 의지를 신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ck election education program as a method of school elec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 mock elec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was developed to be held before and after the 7th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four lessons, largely understanding of local elections, candidates and commitment analysis, mock voting, and comparing actual election results with mock election results. The program was executed for 80 students in the fifth grade of Seoul A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explore effects of the progra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tes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44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an adjacent school were enrolled for the control group.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of teachers and interviews/review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As a result, students’ understanding of local government and elections, political efficacy,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improved.

      • KCI등재

        사회과 지속가능성교육을 위한 환경소양과 시스템사고의 관계 탐색

        한동균(Han Dong Kyun),조의호(Jo Eui 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2

        본 연구는 사회과 지속가능성교육에서 시스템사고를 활용하기 위해 학생의 환경소양과 시스템사고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교육학과 교과교육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시스템사고와 지속가능성교육의 핵심 요소인 환경소양에 관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성교육의 환경소양과 시스템사고의 관계를 논함으로써 지속가능성교육에서 시스템사고를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실제 서울 소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스템사고와 환경소양에 관한 기초 인식조사와 시스템사고와 환경소양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시스템사고의 인식 정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환경소양과 시스템사고의 상관관계도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가능성교육에서 시스템사고를 활용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basic study which researched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s thinking of students for the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i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order to so, theoretical exploration was first conducted about systems thinking, which is being actively applied in curriculum education in the recent field of education, as well as environmental literacy, which is the key factor of sustainability education. Additionally, by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s thinking of sustainability education,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provided for the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ility education. Moreo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targeted as the study subjects a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c awareness survey executed about systems thinking and environmental literac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s thinking and environmental literacy.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s thinking of the study targets were generally high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s thinking was also displayed as high. Such results will be applied as basic data that will further utilize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il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