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학원 인재상과 교육혁신 방향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인식과 시사점

        조은원(Eun Won Cho),배상훈(Sang Hoon Bae),김경언(Kyeong Eon Kim),한송이(Song Ie Han) 한국공학교육학회 2023 공학교육연구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that desirable educational dire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aculty, staffs and students of ‘A’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oriented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dependent researcher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econd, intellectuals wh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convergent leaders across various boundaries of knowledge, and fourth, passionate people with a sense of challenge. Conclusions were made o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innovating graduate education in South Korea based on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학교평가의 목적, 평가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배상훈(Sang-Hoon Bae),조은원(Eun-Won Ch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책무성 확보를 위하여 도입된 학교평가와 관련하여, 학교평가 목적, 평가 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가지는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0개 학교(초 17교, 중 12교, 고 11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교사 840명, 학부모 60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은 모두 학교평가가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점에서 같았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부모 집단과 비교해서 자신들이 수행한 과업을 평가하는데 외부인이나 학부모가 개입하는 것을 꺼리고 자체 평가를 선호하였다. 반면 학부모들은 외부 전문가나 자신들이 참여한 학교평가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학교평가의 목적이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 제고라고 인식하는 정도에서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책무성, 교육소비자주의, 교육전문가주의, 주인-대리인 등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on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what goals school evaluation should pursue, who should evaluate school performance, and who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valuation panels. Samples include 840 teachers and 601 parents from 40 schools in Daege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goal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d to teachers, parents greatly agree that satisfaction of consumers should be a top priority among the goals of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unlike teachers, parents may want to include themselves as members of evaluation committee. While parents were also found to prefer participation of outside experts in the process of school evaluatio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chool evaluation. Finally, the study provides interpretation of results employing theory of school accountability, educational consumerism,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Principal-Agent problem theory.

      • KCI우수등재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배상훈(sang hoon Bae),곽은주(eun ju Kwak),조성범(sung bum Cho),조은원(eun won Cho),황수정(soo jeong Hwang),한송이(song ie Han)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는 대학교육 맥락에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 모델을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론 모델의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 111개교의 대학생 63,391명의 응답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4개 요인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5개 문항)’, ‘데이터 활용 역량(8개 문항)’과 ‘디지털 윤리 역량(5개 문항)’, ‘디지털 활용 학습 역량(5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 대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can measur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nd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was verified through a survey. The sample included 63,391 students from 111 universities in Kore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the final scale of digital literacy consisted of 23 items of four factors. Specifically, digital tool utilization (5 items), data literacy (8 items), digital ethics (5 items), and digital-based learning experience(5 items) were included. The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contributes to academic developm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연합대학의 개념과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배상훈(Sang Hoon Bae),황수정(Soo Jeong Hwang),한송이(Song Ie Han),조은원(eun won Cho)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새로운 대학 혁신 모델로 대두된 연합대학의 등장 배경을 탐색하고, 연합대학의 개념과 주요 구성 요소를 규명함으로써 연합대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한국 대학 맥락에서 연합대학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 요구되는 대학 차원의 노력과 정부 차원의 정책적・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포괄적 문헌 분석과 정책흐름모형 분석,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합대학을 ‘두 개 이상의 대학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단일 의사결정 체제를 만들어 폭넓게 협력하는 체제’로 정의하였다. 둘째,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하여 연합대학 의제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 문제의 흐름과 정치 흐름, 정책대안흐름이 ‘2024 글로컬대학30’을 계기로 결합하여 연합대학이라는 정책 아젠다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합대학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성공 요인으로 ‘연합대학으로서의 비전과 브랜드 정립’, ‘연합대학 거버넌스의 영향력과 참여대학의 자율성 범위 설정 및 제도화’, ‘참여대학의 특성화 전략 수립’, ‘구성원의 참여와 소통에 따른 공감대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합대학에 대한 학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mergence of alliance universities as a new model of university innovation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ir concepts and key components. Additionally, it examines university-level efforts and governmental policies necessary for their success within the Korean context. To achieve these goals, comprehensive literature analysis, policy process analysis, and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iance universities are defined as a system where two or more universities establish a single decision-making body to collaborate extensively toward common goals. Second, analysis using the policy process model revealed the convergence of problem flows, political flows, and policy alternative flows around the policy agenda of alliance universities, particularly triggered by the “2024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initiative. Third, success factor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lliance universities include: establishing a vision and branding, governance influence and autonomy scope setting, formulation of specialization strategies, and fostering consensus through membe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lliance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