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 언어이해의 의미처리에 관여하는 뇌 영역

        조예(Rui Zhao),왕동평(Dong-Ping Wang),손사결(Si-Jie Sun)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문제연구 Vol.27 No.1

        의미처리는 단어의 의미(단독 또는 컨덱스트에서)를 추정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의미처리에 관여하는 뇌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평균연령이 10.1살의 238명 건강한 아동(48% girls) 피험자를 포함된 9개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실험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처리 단계에 대한 구문처리 부하를 변화하지 않게 유지하면서 의미처리 부하를 명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연구를 포함하였다. 의미처리에 관여하는 뇌 영역을 탐구하기 위해서 활성화 가능성 추정 기법(Activation Likelihood Estimation, ALE)을 사용하였다. 활성화 가능성 추정 기법을 적용한 메타분석은 GingerALE 3.0.2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고, 의미처리에 관여 뇌 영역을 시각화하기 위해 Mango 4.0.1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아동의 의미처리에서 좌측 하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 IFG)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였고 의미처리를 위해 좌측 중측두회(Middle Temporal Gyrus, MTG)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아동의 의미처리는 좌우 기능 분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고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Semantic processing refers to computing the meanings of words (in isolation or in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rain areas related to children’s semantic processing. This study included 9 independent functional MRI experiments involved n= 238 healthy children (48% girls) with a mean age of 10.32 years. We included functional MRI experiments that explicitly varied the semantic processing load, while holding constant demands on earlier stages of processing. Reliable areas of activation in these studies were identified using the Activation Likehood Estimation(ALE) technique. The meta-analysis of Activation Likelihood Estimation was performed via GingerALE 3.0.2, and Mango 4.0.1 was utilized to figure out the brain locations. The results confirmed the critical role of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LIFG) in semantic processing. Moreover, the results revealed the role of Left Middle Temporal Gyrus(LMTG) for semantic processing. Children's semantic processing was lateraliz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무엇이 한국인을 중국인과 일본인보다 행복하지 않게 만드는가?

        박상준(Sang-June Park),조예(Rui Zhao),이영란(Yeong-Ran Lee),박기철(Ki-Chul Park)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2 No.3

        Purpose - Previous research points out that South Korean perceive their happiness less than Chinese and Japanese, although the three nations belong to the same Northeast Asia cultural sphe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asons for the relatively low perception of happiness in South Korea and develop policy options to improve the relatively low perceived happiness in South Korea.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e analys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Wave 7). Findings - First, South Korean perceived happiness less than Chinese due to ‘satisfaction with the financial situation of household’ and ‘in-group trust’.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the financial situation of household’ on perceived happiness in South Korea and China, South Korean evaluated ‘satisfaction with the financial situation of household’ lower than Chinese. In addition, the impact of ‘in-group trust’ on happiness in South Korea was less than that in China, where the level of ‘in-group trust’ was also lower in South Korea than China. Second, South Korean perceived happiness less than Japanese due to ‘in-group trust’. Although South Korean had a higher level of ‘in-group trust’ than Japanese, the impact of ‘in-group trust’ on perceived happiness was less in South Korea than Japan. The contribution of ‘in-group trust’ to perceived happiness, calculat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in-group trust’ multiplied by the mean of ‘in-group trust’, was evaluated lower in South Korea than Japa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identifies the mechanism leading to low perception of happines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 KCI등재

        사회적 신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주의-집단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상준 ( Sang-june Park ),조예 ( Rui Zhao ),박기철 ( Ki-chul Park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1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계 각 국가들은 물리적인 통제들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통제들은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낮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주관적 안녕감은 개인뿐만 아닌 사회 차원에서도 중요한 존재이므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주관적 안녕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사회적 신뢰의 향상에 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신뢰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검증되었으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적 신뢰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만을 해석 및 연구하였고 문화적 요소의 영향력 분석은 제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신뢰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얻고자, 개인주의-집단주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계가치조사의 조사자료(Wave 7)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고,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가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신뢰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개인주의-집단주의의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신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Recent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implemented mass restric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which not only reduces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negatively affects individual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prevent a decline in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important for individuals as well as society,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ocial trust is emerging as a countermeasure. Previous research has establish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trust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most research has interpreted and studied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impact analysis of culture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based on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Wave 7),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trus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subjective well-being is influenced by individualism-collectivism.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subjective well-being is higher in a higher level of individualism. The conclusion section includ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