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한자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 한자어 교육 연구 - 한자구형학(漢字構形學)의 적용을 중심으로

        조영화 ( Cho¸ Younghwa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0 중국언어연구 Vol.0 No.91

        This paper analyzed 302 beginner Chinese characters for Learner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of Jang Il-kyul (2012) based on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configurational. A total of 302 direct components are 227, with more than 70% participating in the Configuration as a Ideographic component. This choice takes into account Learner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beginners. However, the basic components of 302 characters includes 25 Symbolic Letters and 38 variants. The three-story, four-story Chinese characters contain 13 characters, and 57 Symbolic Letters of grade 3 and 4 that have few conformational motivations, are also included in 302 characters. The 302 characters contain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so you have to re-select the beginner Chinese characters. Based on semantic transparency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s, this paper has chosen Chinese characters again that fit the beginner level. Based on semantic transparency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s, this paper has chosen Chinese characters again that fit the beginner level. After selecting 185 characters aga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lan for Learners from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beginners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configuration.

      • KCI등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수면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화(YoungHwa Cho),서순림(SoonRim Shu),박정미(JeongMi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수면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A시에 거주하는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2.30점, 수면의 질 점수는 2.63점이었고 생활만족도는 3.39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가족이나 친척의 지지, 친구의 지지,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와 현재 정신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면의 질은 성별, 최종학력, 배우자의 유무 및 가족의 동거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만족도는 최종학력, 경제상태, 낮 동안 활동정도, 가족이나 친척의 지지, 친구의 지지,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와 현재 정신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노인의 수면의 질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제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 수면의 질과 친구의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8.7%였다.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 death and quality of sleep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from 180 the elderly in D and A city, from March 23 to April 28, 2017 and then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The mean scores for attitude to death, quality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2.30, 2.63 and 3.3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respect to education, economic status, day activity,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physical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to death and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economic status, attitude to death, physical health status, quality of sleep and friend support; these factors explained 38.7% of the varianc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elderly life, building up the positive attitude for death and developing the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re required.

      • KCI등재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출현과 재맥락화: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조영화(Cho, YoungHwa),손준종(Son, JoonJ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 기법, 담론이 빠르게 이식되는 과정에서 제도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초기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구의 교육평가 담론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도입되었고,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재맥락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적 역사사회학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평가 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문화적 헤게모니의 재편과 교육학의 분화 과정에서 정범모로 대표되는 미국 유학 출신의 교육평가 전문가들이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들, 기법들, 담론들을 번역하고 이식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것이었다. 둘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Tyler식 평가 개념과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평가의 정체성을 규정함과 동시에 실증주의 및 합리주의에 기초한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평가 담론과 측정 담론의 병존에 따라 교육평가학 내부에 담론적 긴장이 발생하였다. 셋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당시 한국의 담론적, 사회적 조건들과 실천들 속에서 재맥락화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평가 개념의 외연은 확장된 반면 Tyler식 평가 개념이 내포하고 있던 함의는 축소되었고, 교육평가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목적보다는 선발과 관리 목적이 부각되었으며, 가치들 간의 갈등의 문제가 소거되고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가 정당화되는 방식으로 교육평가의 탈정치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천의 괴리, 평가 목적들 간의 긴장과 갈등 등 현재 교육평가의 문제들이 과거부터 유사한 방식으로 반복되고 변주되어 온 역사-사회적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o introduced the Western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how it was constructed, and how it was recontextualized, focusing on the initial institutional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from Korea s liberation to the 1960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a historical sociolog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emerged by educational evaluation experts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reflecting the reorganization of cultural hegemony. Second,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defined the identity of educational evaluation centering on Tyler-style evaluation concept and theory,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ical knowledge and scientific measurement based on positivism and rationalism. And due to the coexistence of evaluation discourse and measurement discourse, discursive tensions arose within academic texts on educational evaluation. Finally,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recontextualized in Korea s historical-social context at the time. As a result,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expanded, while the in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changed, and the purposes of selection and management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the purpose of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educational evaluation was depoliticized in a way that eliminated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values and justified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blems of educational evaluation, such a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evaluation,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evaluation purposes, have been repeated in a similar way since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