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육성 품종인 루비에스(Ruby S; Malus pumila Mill.) 사과껍질의 항산화, 건강 기능성 및 미용식품 활성

        이은호(Eun-Ho Lee),김예진(Ye-Jin Kim),권순일(Soon-Il Kwon),김정희(Jeong-Hee Kim),강인규(In-Kyu Kang),정희영(Hee-Young Jung),박경일(Kyeung-Il Park),조영제(Young-J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식육성 품종 루비에스 껍질의 water와 ethanol 추출물들의 항산화, 건강 기능성 및 미용식품 활성을 살펴보았다. 신육성 품종 루비에스 껍질로부터 water와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5.29, 8.76 mg/g의 비교적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다.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water와 ethanol 추출물 100 ㎍/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1.87, 1.77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는 100 ㎍/mL phenolics 농도에서 water 추출물은 80.17%, ethanol 추출물은 38.72%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루비에스 사과 껍질 추출물의 경우 노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루비에스껍질 추출물의 항염증(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water 및 ethanol 추출물 200 ㎍/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5.61, 31.87%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통풍을 유발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ethanol 추출물에서만 1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8.66%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구로 사용된 후지 품종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루비에스 껍질추출물의 α-amylase 저해 효과는 water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비교적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α-glucosidase 활성저해의 경우 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water와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94.93%와 100.00%의 매우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를 측정하는 tyrosinase 저해 효과는 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에서만 17.50%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는 200 ㎍/mL phenolics 농도의 water 추출물에서 각각 6.70, 69.85%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1.95, 80.73%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통풍 억제, 항당뇨,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및 항당뇨,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후지 품종과 비교해서 기능성이 더 우수함이 밝혀져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health functional, and beauty food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newly bred Ruby S apple (Malus pumila Mill.) peel. Peel of newly bred Ruby S apple was extracted using water and ethanol for extracting solvent.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relatively high phenolic contents of 5.29 ㎎/g and 8.76 ㎎/g, respectively. Eac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Ruby S apple peel showed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values of 1.87 and 1.77 PF, respectively, and TBARS showed anti-oxidative effects of 80.17% and 38.76% at a phenolic concentration of 100 ㎍/mL. Therefore, extract of Ruby S apple peel can be considered as a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gen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hyaluronidase inhibition) of extract of Ruby S apple peel was 5.61% in water extract and 31.87% in ethanol extract both at a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 ㎍/mL.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which causes gout, was inhibited by 28.66% by ethanol extract at 100 ㎍/mL, which was higher than other species used as a control, whereas there was no effect using water extract.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low α-amylase inhibitory effects, whereas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94.93% and 100.00% at a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 ㎍/mL, respectively. To measure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and only ethanol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effect (17.50%). For anti-wrinkle effect, water extract showed 6.70% and 69.85%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respectively, while ethanol extract showed 41.95% and 80.73% activities. These results show the high potential of Ruby S apple peel extracts as a cosmetic resource. Ruby S apple peel was identified to have various functions, including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gout preventative, whitening, anti-wrinkle, and anti-diabetic effects, which confirms that Ruby S apple peel is an outstanding species compared to other species. Therefore, Ruby S apple peel is a quality source of new functional cosmetics and can be viewed as a functional foods.

      • KCI등재

        그린볼 사과(Green ball apple; Malus pumila Mill.) 적과의 항산화 및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저해 효과

        고유진 ( Yu-jin Go ),김예은 ( Ye-eun Kim ),김현남 ( Hyun-nam Kim ),이은호 ( Eun-ho Lee ),조은비 ( Eun-bi Cho ),권순일 ( Akhmadjon Sultanov ),조영제 ( Soon-il Kwon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1

        그린볼 사과 적과의 phenolic compound를 50-2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00 μg/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94.69과 92.24%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200 μg/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00.30과 99.16%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PF는 200 μg/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76, 1.76 PF를 나타내었다. TBARs는 phenolic compound 농도가 200 μg/mL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각각 101.46, 99.64%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염증에 관련이 있는 HA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150 μg/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33.28, 32.1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용식품활성을 나타내는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phenolic compound 농도가 200 μg/mL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각각 47.33, 40.92%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의 주름과 탄력에 관련이 있는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μg/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46.19, 65.58%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그린볼 사과 적과는 항산화, 항염증, 주름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health functional, and beauty food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newly bred Ruby S apple (Malus pumila Mill.).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treating the phenolic compound with thinning green ball apple at a concentration of 50-200 μg/mL showed that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200 μg/mL showed 94.69 and 92.24%, respectivel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100.30 and 99.16%, respectively, in 200 μg/mL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Green ball showed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f 1.76 PF 1.76, respectively.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101.46 and 99.64% anti-oxidative effec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 μg/mL.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33.28 and 32.14% hyaluronidase inhibition, respectively,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150 μg/mL.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47.33 and 40.92% elastase inhibition and 46.19 and 65.58% collagenase inhibition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 μg/mL, respectively. About these experiments, thinning Green ball apple was found to exhibit anti-oxidation activity as well as hyaluronidas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Therefore, thinning Green ball apple can be considered a potential sources for new function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