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격수업 운영을 위한 교사 지원 요구 분석:텍스트마이닝 기법의 활용

        조서연(Cho, Seo Yeon),임다미(Im, Tami),함은혜(Ham, Eun Hy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hat policy support teachers needed in the middle of expanding rapidly distan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a set of open-ended response data from approximately 3,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dopting dirichlet allocation (LDA) for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DA, the topics of teachers demand for effective distance clas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ur domains: ① content-quality management support, ② content-production support, ③ infrastructure-equipment support, and ④ infrastructure-interactive platform support. Seco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ed in clarifying specific contexts of each topic and identifying key and fundamental demands covering across all the topics: ① support for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② extens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③ securing instructional research/preparation hour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원격수업 운영과 관련된 교사들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여 원격수업 운영이 급격하게 확대된 이후인 2020년 8월에 수집된 A도 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 3,000여 명의 개방형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디리클레할당을 활용하여 지원 요구의 대표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각 주제별 지원 요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디리클레할당 분석 결과, 교사들의 원격수업 운영 지원 요구의 주제는 크게 ① 콘텐츠-질 관리 지원, ② 콘텐츠-제작 지원, ③ 인프라-기자재 지원, ④인프라-쌍방향 플랫폼 지원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네 가지 주제영역별 지원 내용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① 교사-학생 상호소통을 위한 지원, ②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지원, ③ 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 연구 시간 지원이 모든 주제영역을 아우르는 핵심적인 요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하는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수업 참여도의 관계 : 의논대상의 조절효과

        조서연(Seo-yeon Cho),오정희(Jung-hee Oh),함은혜(Eun-hye Ham),임다미(Tami Im)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업참여도의 관계를 탐색하고, 변수 간 관계에서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의 유무와 분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K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에 대한 80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논대상 유무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겻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담당 교수나 동료학습자, 학교 직원 등과 의논하는 학생이 평균적으로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담당교수 혹은 기타 대상에게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이 동료학습자에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보다 높은 비대면 수업 참여도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의논대상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논대상이 담당교수인 학생들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의논대상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참여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class participa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and classification of person with whom students discus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800 responses to a survey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cussion target. On average, students who discus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classes with professors, fellow learners, and school staff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effectively in cla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erson with which students discussed the difficulties. Specifically, students who discussed difficulties with their professors or other subject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lass than students who discussed with fellow learn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son to discu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class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students who discussed with the professor in charge, and the negativ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participation was alleviated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out the target of discu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서연 ( Seo-yeon Cho ),임명재 ( Myoung-jae Lim ),임다미 ( Tami 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여부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공 학생들의 창의성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고, 전공 여부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 역량 중 원인분석 요인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ject based learning on learner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By learners’ major,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of learners in majors improved significantly, and it was found that the cause analysis factor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major.

      • KCI등재

        교사의 원격수업 콘텐츠 활용 유형에 따른 원격수업 운영역량 및 효과성 인식

        이성원(Seong Won Lee),조서연(Seo Yeon Cho),함은혜(Eun Hye Ham),임다미(Tami 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대응한 학교급별 교사의 원격수업 콘텐츠 활용 유형을 분석하고, 콘텐츠 활용 유형이 원격수업 운영역량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0년 5월 A도 교육청 소속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데이터 중 총 4,08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EBS와 교육청이 제공한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제공 콘텐츠를 온라인 보조자료와 함께 활용한 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거나, 자체제작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했던 교사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모든 학교급에서 자체제작 콘텐츠를 활용했던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원격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의 경우 제공 콘텐츠를 활용한 교사가 높았으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 자체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가 원격수업에 자체제작 콘텐츠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는 데에는 원격수업 관련 연수 경 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용, 교직경력, 학교급, 학교소재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 distance class content usage type in response to COVID-19 by school level and explored whether the content usage type is related to their own perceptions of competency for distance class operation. For this study, 4,087 response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 all school levels,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used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or used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with supplementary material was the highest, while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used self-developed content or used various contents including self-developed content was relatively low. Second, at all school levels, teachers who used self-developed content for distance class highly perceived their competency for distance class operation.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clas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teachers using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highly appreciated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class, but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using self-developed content did. Third, whether teachers use self-developed content or various content in distance class were depending on distance class training experience, us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ing experience, school level, and school lo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보조계면활성제가 Pluronic L64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탄화수소 오일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

        임종주 ( Jong Choo Lim ),배민정 ( Min Jung Bae ),김도원 ( Do Won Kim ),조서연 ( Seo Yeon Cho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2

        In this study, effect of cosurfactant on the solubilization rate of n-octane, n-decane and n-dodecane oil was performed by micellar solutions of polymeric nonionic surfactant Pluronic L64(EO13PO30EO13) at room temperatu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solubilization rate of ahydrocarbon oil was enhanced with an increase in both chain length and amount of alcohol added. In case of addition of a short chain alcohol such as 1-butanol, the solubilization rate of ahydrocarbon oil was slightly increased since most of alcohol molecules remained in an aqueous surfactant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of a relatively long chain alcohol such as 1-hexanol and 1-octanol produced a big increase insolubilization rate of a hydrocarbon oil mainly due to incorporation of alcohol molecules into micelles and thus producingmore flexible micellar packing density. Dynamic interfacial tension measurements showed the same trend found insolubilization rate measurement. Both interfacial tension value at equilibrium and time required to reach equilibrium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chain length of an alcoh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