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쾌락주의를 위한 변론 -가쌍디 윤리학에 관한 소고-

        조병희 ( Byeong Hee Ch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가쌍디는 행복을 일체의 악이 최소화된 상황에서 모든 선을 최대로 향유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고, 에피쿠로스의 견해를 좇아 쾌락을 주는 모든 것은 그 자체로 좋고 추구할 가치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고통을 수반하는 모든 것은 나쁘다고 주장한다. 그에게 쾌락이란 모든 생명체가 예외 없이 최고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또한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닌 최고목적이라는 의미에서 최고선이다. 그리하여 그의 윤리학적 사고에서 행복과 쾌락은 최고선의 형식과 본질이라는 관계에서 서로 결합함으로써 “최고선=행복=쾌락”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그렇다면 최고선이자 행복의 본질인 쾌락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쌍디는 고대 그리스 윤리학의 ‘탁월함(혹은 덕, arete)’의 개념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했듯, 덕이 행동과 정념에 관계하고, 모든 행동과 정념에 쾌락과 고통이 따른다면, 덕 역시 쾌락과 고통에 관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에게 덕이란 ‘용기’나 ‘절제’와 같이 단지 개인의 능력이나 재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는 그리스인들의 ‘아레테’ 개념을 ‘영혼의 완성’ 혹은 격정이나 충동에 완벽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상태(habitus)’의 의미로 확대한다. 이런 주장을 따르면 오직 현자만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데, 현자야말로 덕의 실천을 통해 얻은 최고의 쾌락(summa voluptas)인 ‘영혼의 평온함(tranquillitas animi)’을 유지할 수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그의 윤리학적 체계에서 덕은 최고선에 도달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서 쾌락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된다. 본 논문은 덕과 쾌락의 관계에 대한 가쌍디의 견해를 통해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윤리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이 하나의 실천적 지식의 체계 안에서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Pierre Gassendi views happiness as a state of enjoying goodness to the maximum under the state of minimized evil. Following the view of Epicurus, he maintains that everything that offers pleasure is good and pursuable by itself and everything that accompanies pain is bad. For him, pleasure is ultimate goodness (summum bonum) in that every creature pursues it as the best option without exception and it is the highest goal, rather than a means of achieving a certain purpose. In his idea of ethics, happiness and pleasure are the “form and essence” of ultimate goodness and thus he made an equation: “summum bonum=happiness=pleasure.” What then is the way of acquiring pleasure, which is the essence of ultimate goodness and happiness? Gassendi finds a clue for the answer in the concept of “excellence (or virtue, arete)” - the ethics of ancient Greece. It is because, when virtue is related to conduct and sentiments, and every conduct and sentiment is followed by pleasure and pain, virtue, too, is related to pleasure and pain. For him, virtue does not mean such personal “ability” or “skill” as “courage” or “temperance.” He stretches the meaning of what Greek people called “arete” into either “the perfection of the soul” or “habitus of knowing how to perfectly cope with passion or impulse.” According to the theory, only a man of wisdom can live a life of virtue as he or she is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to maintain “tranquility of soul (tranquillitas animi).” This paper has examined, through the view of Gassendi, how Epicurean ethics of hedonism and Aristotelian ethics of virtue can be combined in a system of practical knowledge.

      • 커버로스와 PDF를 적용한 프린터 보안 솔루션의 설계 및 구현

        조병희 ( Byeong-hee Cho ),김수현 ( Su-hyun Kim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기업의 기술이 점점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문서유출사건에 대한 기업의 피해가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내부직원에 의한 유출사건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기업은 내부의 보안수준을 올리고 있다. 이에 기업 내 출력물 보안을 위하여 프린터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지만 강한 보안성으로 인하여 인쇄가 많은 기업이나 부서에서는 잦은 사용자인증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출력물 보안 서비스에서 사용자인증의 간소화와 PDF를 통한 권한문서관리 방식을 통하여 보다 향상된 출력물 보안 솔루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다중 KRA를 활용한 안전한 키 복구 시스템 설계

        조병희 ( Byeong-hee Cho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키 복구 시스템은 1994년 미국 NIST의 키 복구 제품 EES 개발이후 많은 나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국내에서도 단일 키 복구 시스템부터 다중 키 복구 시스템을 바탕으로 다양한 키 복구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방식은 단일, 다중 기관시스템에 있어서 낮은 안전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키 복구 시스템을 분석하고 다중 키 복구 기관을 기반으로 키를 N개로 나누어서 분산 보관하며, 키 복구 기관의 기능 상실, 결탁 등 문제에도 키 복구가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다. 또한 ElGamal 방식을 이용하여 키 위탁, 키 복구, 합법적인 감청 절차를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로크 인식론의 토대로서 가쌍디의 감각론

        조병희(Byeong-Hee Cho) 한국철학회 2006 철학 Vol.88 No.-

        서양 철학사에서 로크는 근대 경험론의 창시자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그의 철학적 주저인 『인간지성론』은 근대 철학의 새 지평을 연 인식론의 고전으로 평가 받고 있다. 여기에서 로크는 인간 인식의 근원과 확실성 그리고 인식의 한계를 경험론적 사고의 틀 안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의 철학은 당시의 이성론자들의 사고와 모든 변에서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러한 로크의 학문적 성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그의 경험론적 인식론이 가쌍디의 감각론적 사고에 철저하게 의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흔히 간과하고 있다. 우리 는 예컨대 '생득관념의 부정', 'tabula rasa', '감각 안에 미리 있지 않았던 것은 지성 안에 없다', '추상이론' 그리고 '제l차 성질과 제2차 성질의 구분'에 이르기까지 로크에게 철학자로서의 명성을 안겨다 주었던 그의 경험론적 인식론의 기본 전제 및 원리들이 『인간지성론』이 출간되기 반세기 전 이미 가쌍디에 의해 개진된 내용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관념의 문제에 대한 논의에서 보이는 두 사람 간의 사상적 유사성에 주목하여, 로크의 철학적 사고가 얼마만큼 가쌍디의 학문적 유산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취지는 로크 철학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함께 지금껏 소홀히 취급되어졌던 가쌍디 철학의 재조명을 통해 서양 근대 철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히는 데에 있는 것으로, 결코 로크의 학문적 업적을 폄훼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 KCI등재

        에피쿠로스학파의 방법론

        조병희(Byeong Hee Cho)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1

        In medieval Europe Epicurus was regarded as another name for atheists or hedonis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picurus` philosophy consistently stuck to materialistic and sensualistic position concerning the existence und knowledge of the external world.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Epicurus and his followers were branded as ``heretics`` through the Middle Ages because Christian doctrines wielded the only absolute authority and Epicurus` philosophy disagreed with Christian teaching in every aspect. But the decline of scholasticism required a new methodology for the true knowledge of the causes of things. Atthis time, Epicurus` sensualistic philosophy revived by French philosopher Pierre Gassendi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based on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f a phenomenon. In recent years, several scholars harbour doubts about the empirical character of Epicurus` philosophy when they interpret the meaning of Epicurus` concepts from a rationalistic perspective. But this attempt does not seem very satisfactory because such a rationalistic approach to Epicurus` epistemology cannot explain his positivist methodology.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position of Epicurus seems to be that all concepts are formed from the ideas which come through the senses. Although Epicurus` methodology is indeed naive and simple as of today, nevertheless,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his empirical thought prepared the solid theoretical basis for modern scientific methodology.

      •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NFC 모바일 결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원빈 ( Won-bin Kim ),조병희 ( Byeong-hee Cho ),박성욱 ( Sung-wook Park ),이임영 ( Im-ye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기존의 모바일 대면거래 시스템은 결제자가 결제를 하기 위해 결제정보를 상점에 제공하게 된다. 결제정보는 거래정보와 함께 중간 통신단계를 거치면서 각 단계에 수집ㆍ보관된다. 이 정보는 거래정보와 결제정보가 함께 전달되기 때문에 정보가 노출되면 조합을 통해 대상을 특정할 수 있으며 생활패턴 등 개인의 사생활까지 노출된다. 하지만 수집ㆍ보관된 정보에 대한 법적인 관리 지침이 미흡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수집ㆍ보관하는 업체가 많아질수록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의 수집을 최소화하고 결제정보와 거래정보를 나누어 보냄으로써 정보에 해당 하는 대상을 특정할 수 없게 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