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과 니체의 현대사상과 이상적 인간

        조극훈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what the ideal human looks lik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in texts of Hegel and Nietzsch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alyzed the text of Phaenomenologie des Geistes and Also sprach Zarathustra and presented major modern ideas and ideal human forms. Hegel described modern society as a division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presented self-consciousness as an ideal human figure who could go the path of skepticism and despair. Nietzsche defined modern society as nihilism and presented a superman equipped with the will to power as an ideal human who could overcome it. The two seem to be opposed by the philosophy of reason and the philosophy of anti-reason, but they are identical in that they see human desire as a positive opportunity to find self-identity.

      • KCI등재

        『금강경(金剛經)』과 『무체법경(無體法經)』에 나타난 무아(無我)와 공(空)의 문제

        조극훈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대표경전인 『금강경』과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에 나타난 무아와 공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금강경』은 사상(四相)을 버리고 변하지 않는 참된 지혜의 세계에 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체법경』은 수행을 통하여 자리심, 이타심, 공화심, 자유심, 극락심에 이르는 자천자각의 경지를 서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 경전을 무아와 공의 문제로 분석하고 그 원리와 방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경』의 구조와 내용을 수보리의 질문과 그에 답변으로 정리하고 그 특징을 제시하였다. 둘째, 『무체법경』의 내용과 구성을 정리하고 그 성격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셋째, 양 경전에 나타난 무아와 공의 특징을 존재론적 측면, 인식론적 측면, 가치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경은 수보리의 질문, ‘어떻게 머물고’, ‘어떻게 마음을 조복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대답은 ‘머무는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과 ‘무아법’이었다. 둘째, 『무체법경』의 핵심 내용을 성심과에서부터 진심불염까지 자천자각을 통한 인내천의 실현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두 경전의 공통된 원리로 언어의 모순성을 통한 무한과 유한의 변증법적 관계, 즉비시명과 불연기연의 인식론적 방법, 그리고 사랑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blems of Anatman and Sunyata as found in Diamond Sutra , the main scripture of Buddhism, and Uiam Uiam Son Byeong- Hui’s Infiniteness Sutra . Diamond Sutra offers how we can reach the world of eternal true wisdom by discarding four notions, while Infiniteness Sutra describes the state of self-realization to be reached by cultivating ourselves through selfishness, altruism, communitarianism, freedom, and paradis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se two texts in terms of the problems of Anatman and Sunyata and compare their respective principles and method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mmarizes the structures and teachings of Diamond Sutra by Subori’s questions and the answers given to them and presents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it outlines the contents and forms of Infiniteness Sutra and discusses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Third,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natman and Sunyata found in these two texts in terms of their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amond Sutra consists of answers to Subori’s questions about “how to stay” and “how to control the mind,” and those answers are “bringing to mind without staying” and “principle of self-negation.” Second, Infiniteness Sutra presents the substance of Innaecheon through self-realization from “the nature of mind” to “true mind not corrupted.” Third, it presents as the principles common to both texts the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finite and infinite arising out of the contradictions of lanuage, the epistemology of ‘Just-not but-named Speech’(卽非是名) and ‘Bulyeon-Giyeon’(不然其然) and the importance of love.

      • KCI등재

        인문교정의 학적 체계 정립 연구

        조극훈 아시아교정포럼 2014 교정담론 Vol.8 No.2

        수용자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인문학 교육은 직업교육과 함께 더욱더 강조되는 추세이지만, 교정학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응보적 패러다임에 갇혀 있다. 교정 현장에 인문학을 도입한다는 것은 교정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을 시사한다. 처벌이 능사가 아니라 인간성의 근원적인 회복이 요구된다.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과 반성을 통해 가치관의 변화를 의도하는 학문이다. 인문학 교육을 통한 수용자의 가치관의 변화가 교정 행정의 중요한 업무가 된 현실은 교정 패러다임의 근원적인 전환을 촉구한다. 이 글은 수용자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한 교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교정학과 인문학의 접목을 통한 인문교정학을 정립하려는 시론적인 연구이다. 문학, 역사, 철학과 같은 인문학적인 사유와 성찰은 강제와 자유의 딜레마 등과 같은 교정 현장의 문제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되며, 교정학의 사회과학적인 방법론은 인문학의 성찰을 구체화하여 교정 현장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문교정학의 성격이 강한 평화주의 범죄학과 회복적 사법의 기존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인문학과 교정학의 접목 가능성을 이념적인 측면, 방법적인 측면, 실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인문교정학의 의미와 역할을 ‘수용자의 인간성 회복’, ‘교정 패러다임의 전환’, ‘진선미성의 인간 능력 회복’, ‘인문교정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등으로 제시하였다. For the rehabilitation of prisoners, humanistic education is being more emphasized with vocational education, but the understanding of corrections is still in retributive paradigm. Bring humanities into correctional fields suggests that the correctional paradigm is needed to be change. It is required restoration of human nature, not a punishment. Humanities is a study on the change of values, through underlying reflection of humans. A reality that the change in values of the prisoner through humanistic 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in correctional administration calls for a fundamental change of correctional paradigm. This text is a preliminary study to establish Humanistic Corrections through connecting the Humanities and Corrections for a transformation of correctional paradigm which is for amicable rehabilitation of the prisoner. Humanistic thinking like reflection,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will serve to interpret and solve the problems of correctional fields, i.e. dilemma of force and liberty etc, and also social scientific methods of corrections will serve to apply this humanistic reflections to correctional fields. In chapter II, I arranged existing results of peacemaking criminology and restorative justice by analysis of precedent study. In chapter III,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corrections and humanities in the aspects of an idea, a method, and praxis. In chapter IV, I proposed the meaning and role of Humanistic Corrections as 'humanistic rehabilitation of the prisoner', 'transformation of correctional paradigm', 'development of human ability-truth, good, beauty and divinity', a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umanity corrections program', etc.

      • KCI등재

        동학 문화 콘텐츠와 글로컬라이제이션

        조극훈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5

        For the development of Donghak’s Culture, it needs to make a realization of it fitting to sense and emotion of the moderns. In this paper I will propose development of Contents and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to get realizing Donghak’s Culture, This methods make not only possible to memory and heritage of Donghak’s Culture, but to develop glocal culture contents of 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possibility of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to getting fusion of local culture and global culture. In chapter 2, I suggested concept and features of Glocalization, elements of glocalization of Donghak’s Culture and its possibility. In particular, I’d suggest the role and influence of Donghak’s Culture in the cultural capital times of coexisting diversity of the local and uniform networking of the global.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ought and culture of Donghak play a role a new civilizations as alternative of modern civilizations. In chapter 3, I argued what are elements of Donghak’s Culture for the memory and heritage of it through the naming change of Donghak in curriculum and textbook, heritage and monuments of Donghak, and what are the cultural meaning of Donghak’s monuments and the righteous direction to create monuments. In chapter 4, I discussed what are the elements of Donghak’s Culture as agenda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s for humankind. Its elements are as follows: “Sicheonju’s sense of values”, “caring and communication culture”, “democracy, equality, and citizenship”, “Seong-Gyeong-Shin’s Human Nature Theory”, “Mind Healing Program”, etc. 동학문화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학문화를 현대인의 감각과 정서에 맞게 현재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동학문화를 현재화하는 방법으로 동학 문화 콘텐츠 개발과 글로컬라이제이션화를 들 수 있다. 이는 한국 근대사상의 요체인 동학문화를 기억하고 전승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컬 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지역문화와 세계문화의 융합을 통한 동학문화의 발전을 위해 동학문화의 글로컬 문화콘텐츠로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보면서 동학문화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위한 필요조건 그리고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적인 것의 다양성과 세계적인 것의 상호 네트워크화가 공존하는 문화자본의 시대에서 동학문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동학의 사상과 문화는 현대문명의 대안으로서 신문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제3장에서는 동학문화의 기억과 전승을 위해서 필요한 동학문화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동학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나타난 동학 명칭 변화와 동학 유적지와 기념물 등을 통해서 논의하였다. 아울러 동학 기념물의 문화적 의미와 기념물 제작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오늘날 인류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아젠다로 동학사상의 어떤 요소가 적절한지 논의하였다. 그 요소로 현대인의 보편적인 규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천주적 가치관’, 인간, 자연, 우주의 평등을 강조하는 ‘인내천 사상’, 그리고 ‘생명평화사상’의 가능성, 인간성 상실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학의 ‘성경신 인성론’, ‘배려 소통의 문화’, 그리고 현대인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동학의 ‘힐링문화로서의 동학의 수련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뉴노멀(New Normal)의 철학과 교양교육의 미래

        조극훈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1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an enormous change in the wake of fullscale uncontact teaching made necessary by covid crisis. In these times when online-based uncontact teaching has become the new normal, there rises a need to reset the substance and method, the whole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In this study, we try to search for the philosophical basis of new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in the age of new normal. We offer the views of G. Agamben and M. Heidegger as the philosophical ground of new normal, especially the philosophy of "Dasein" which seeks to restore "the experience of white paper"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standardization. We propose as the new courses of liberal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general and specialized knowledge,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climate change, the stress in educa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transformation of liberal education into a new paradigm of lifelong learning. 코로나19로 인한 전면적인 비대면 강의로 대학교육이 엄청난 변화에 직면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비대면 강의가 뉴노멀로 등장하면서 교양교육 또한 내용과 방법 그리고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글에서는 철학적 배경을 통해서 뉴노멀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감벤(G. Agamben)과 하이데거(M. Heidegger)의 논의를 뉴노멀의 철학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특히 ‘백색 페이지의 경험’의 회복과 평균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현존재’의 철학에 주목하였다. 교양교육의 방안으로는 전문지식과 통합지식의융합, 환경문제와 기후변화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세계시민 교육의 강화, 교양교육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문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동 동학농민혁명

        조극훈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Yeongdo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human geography. Human geography is a discipline that creates human value of a particular area from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 presented the human activities of this area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origin of Yeongdong and the musical spirit of Park, Yeon. Next, the mentality of Yeongdong donghakpeasant revolution was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participants. Finally,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tation of Donghak from the perspective of glocalization of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uman geography is a way to recognize the human assets of the area in a holistic context. Second, in terms of the origin of the Yeongdong nomination, the music spirit of Park, Yeon and Donghak thought, Yeongdong is a land of serving and living. Third, the spirit of the Donghak revolution is life, peace, and equ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ree Worship Thought(三敬思想) and Sa In Yea Cheon(事人如天). Fourth, in order to spread Donghak, it is required to search for academic methodology that can reflect future changes, collaboration with local history research, and branding method of Donghak. 이 연구의 목적은 영동 동학농민혁명의 성격과 의의를 인문지리학의 관점에서 규명하는 데 있다. 인문지리학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상호연관된 이해의 지평에서 특정 지역의 인문적 가치를 창출하는 학문이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동의 인문지리학과 관련된 내용으로 영동 지역의 지명 유래와 난계 박연의 음악 정신을 중심으로 이 지역 출신의 인문적 활동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영동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참여자 분석을 통해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의 맥락에서 동학의 현재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문지리학은 그 지역의 인문적 자산을 총체적인 맥락에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영동 지명의 유래, 박연의음악 정신, 그리고 동학 사상으로 볼 때 영동은 모심과 살림의 땅이다. 셋째, 동학 혁명의 정신은 삼경과 사인여천의 관점에서 볼 때 생명과 평화 그리고평등이다. 넷째, 동학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학문 방법론의 모색과 지역사 연구와의 협업, 그리고 동학의 브랜드화 방법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동학사상의 현재성 제고 - 생명, 인성, 죽음 -

        조극훈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6

        동학은 유불도를 통합하고 무위이화를 특성으로 하기 때문에 그 외연을 확장하고 현재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학문이다. 본 연구는 생명과 인성 그리고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동학의 현대적 재해석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사상을 생명의 문제로 해석하였다. 김기전, 장일순, 윤노빈 등의 관점과 동학 경전을 통해 동학의 생명사상의 내용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둘째, 동학의 생명사상을 인성문제로 해석하였다. 성경신 및 오늘날 인성이론을 해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동학의 생사관을 손병희와 이돈화 및 현대이론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의 생명 개념으로 한울 생명, 공생하는 생명, 영성적 생명을 제시하였다. 생명은 죽음과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삶과 죽음을 포용하는 개념으로 전체적이며 유기체적인 특성을 지닌다. 둘째, 동학의 인성 개념은 윤리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 도덕적 관점, 종교적 관점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주장하였다. 셋째, 동학의죽음의 개념은 이신환성과 인격성 실현을 통해 인간의 본래 자리로 돌아가는 환원으로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동학·천도교의 생사관(生死觀)의 현대적 의의

        조극훈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東學)·Chondogyo(天道敎)s iew of ife and Death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modern society of it. In Donghak·Chondogyo, death is expressed as reduction. Death in the sense of returning to the origin means spiritual rebirth, not death. And it aims to gain eternal life through the ife of Serving. In the modern society where death is institutionalied, it provides important reason to reflect the meaning of death and meaning of lif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analy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uch as capitalism system, competition logic and fatigue society. Second, I discuss the view of ife and Death of Donghak(東學)·Chondogyo(天道敎), with the life of eternal youth and long, Returning to Hanulnim and ife of Serving. Third, we discuss the view of Innaecheon(人乃天)’s life and death through Isinhwanseong() and Seonglyeongchul(靈出世).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nghak(東學)·Chondogyo (天道敎)s iew of ife and Death provide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institutionalied death discourse of modern society. Second, it shows what is needed for a meaningful life through Inhwanseong() and Seonglyeongchulse(靈出世). Third, because well dying is good to well being, we have to practice death.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 천도교의 생사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 시사하는 의미를 명하는 데 있다. 동학 천도교에서는 죽음을 환원으로 표현하고 있다. 근원으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죽음은 죽음이 아니라 영적으로 다시 태어남을 의미한다. 동학 천도교의 생사관은 모심의 삶을 통한 영원한 생명을 얻는 것을 지향한다. 죽음이 제도화된 현대사회에서 동학 천도교의 이러한 생사관은 죽음의 의미와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데 중요한 사유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째, 현대 사회의 특징인 자본주의 시스과 경쟁논리 그리고 피로 사회 등을 분석한다. 둘째, 동학의 생사관을 장생과 환원 그리고 모심의 삶으로 논의한다. 째, 인내천의 생사관을 이신환성과 성령출세론을 통해서 논의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째, 동학 천도교의 생사관은 현대사회의제도화된 죽음 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사유를 제공한다. 둘째, 동학 천도교의 생사관은 이신환성을 통한 의미있는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째, 잘 죽는 것이 잘 사는 것이므로, 죽음의 연습을 해야 한다.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과 부안

        조극훈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4

        동학의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은 스승인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을 사인여천 사상으로 계승 발전시켜 동학농민혁명의 이념을 제시하였다. 부안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포덕과정과 행적은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의 사회 역사적 면모를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 포덕 과정에 나타난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안동학농민혁명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을 해월신사법설을 통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부안의 대표적인 동학 지도자인 김낙철, 김낙봉 형제의 기록물을 통해 해월의 포덕과정 및 그의동학사상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부안동학농민혁명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월은 사인여천, 이천식천, 향아설위, 부화부순 등의 설법을 통해서 동학사상을 인간사의 다양한 영역과사회역사적 공간에서 실현가능한 실천사상으로 발전시켰다. 부안 동학의 특징으로 ‘생명동학’, ‘인간 동학’, ‘생활동학’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