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龍雲의 시집 『님의 沈默』 속의 「군말」 再考

        정효구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의식 속에서 씌어졌다. 그 첫째는 한용운의 『님의 沈默』이 아직도 제대로 읽기를 기다리고 있는 미완의 연구 상태에 있다는 점, 그 둘째는 『님의 沈默』 속의 본문은 물론 이 『님의 沈默』의 관문의 역할을 하는 「군말」 읽기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그 셋째는 「군말」을 포함한 『님의 沈默』은 불교적 지식과 佛心의 수행력, 시적 지식과 詩心의 간절함이 함께 할 때 그 읽기가 가능하다는 점, 그 넷째는 「군말」과 『님의 沈默』 읽기의 조건으로 언급한 앞의 네 가지-불교적 지식과 불심의 수행력, 시적 지식과 시심의 간절함-는 일반적인 근대시 읽기의 조건과 차이가 있다는 점, 그리고 그 다섯째는 「군말」을 포함한 한용운의 시쓰기가 수도방편과 교화방편의 한 행위로 존재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그 결과 「군말」에서의 ‘님’의 문제를 불교적 지식과 佛心의 작용 속에서 밝혀보았으며, 님을 선택하고 창조하는 데서 요구되는 ‘자유’의 문제를 세속적 자유와 무아적 자유의 문제로 풀어보았고, 한용운이 시를 쓰는 근본 이유가 진리로서의 ‘집’과 正道로서의 ‘길’을 알려주는 데 있다는 점을 밝혀보았다. 한용운은 제대로 된 님도, 제대로 된 자유도, 제대로 된 ‘집’도, 제대로 된 ‘길’도 갖지(알지) 못한 사람들을 가리켜 ‘어린 羊’이라 불렀다. 그는 이들에게 ‘긔루어하는’ 公心 및 佛心의 마음을 내고 그들을 자신의 님으로 삼았다. 그 ‘님’을 위하여 한용운이 쓴 시가 바로 『님의 沈默』 이고 그 사실을 ‘노파심’에서 친절하게 알려준 글이 바로 「군말」이다. 이와 더불어 「군말」의 핵심 문제를 폭넓게 살펴보기 위하여 「군말」의 몇몇 키워드- 님, 자유, 집, 길 -와 관련된 텍스트를 불러와 이들을 상호 텍스트성 속에서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한용운의 「군말」은 불교 일반과 그의 불교적 지식 및 수행의 여정 전체와 직·간접으로 관계를 맺고 있으나, 특별히 몇몇 텍스트와 관련시켜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군말」 이해에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이 글은 앞서 말한 불교적 지식과 불심의 수행력, 시적 지식과 시심의 간절함이라는 네 가지 조건을 근저에 두고 한용운의 시집 『님의 沈默』이 지닌 기본문법을 새로이 읽어보려는 구상의 일환으로 쓰여진 글이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님의 沈默』 속에 들어 있는 88편의 시를 한편씩 구체적으로 다시 읽어보고자 하는 계획 아래 그 첫 발걸음을 내디딘 글이다. This paper develops from the following understanding of Han Yong-Un’s Silence of the Lover: first, that study of Han’s Silence of the Lover has not yet been complete to render a proper reading of it; second, that the proper reading of Gunmal (meaning twaddle, or inessential talk in Korean), which serves as a preface to Silence of the Lover, is as important as that of the poems themselves; third, that the proper reading of both Gunmal and Silence of the Lover is possible only when accompanied by Buddhist knowledge, Buddhist mind, poetic knowledge, and poetic sincerity; fourth, that the four aforementioned elements required for the proper reading of Gunmal and Silence of the Lover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generally required for the reading of modern poetry; and fifth, that Han’s writing of poetry, including that of Gunmal, serves as a means of asceticism and edification. AccordinglyI I have elucidated the meaning of “lover” that appear in Gunmal in terms of Buddhist knowledge and mind, and resolved the issue of the freedom required in choosing and creating the “lover” in terms of secular freedom and transpersonal freedom. Moreover, I explained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Han’s writing of poetry was to demonstrate Home as the truth, and Way as the true path. Han referred to those who have (know) neither proper lover, proper freedom, proper home, nor proper way as a “lamb.” He imparted them his “transpersonal love,” and made them his lover. It is for that “lover” that Han wrote Silence of the Lover, and it is to kindly notify this fact to them that he wrote Gunmal. Additionally, in order to further examine the central issues of Gunmal, I have discussed its several keyword-lover, freedom, home, and way-in intertextual analyses with other related texts. The result showed that although Han’s Gunmal i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with Buddhism in general and his Buddhist knowledge and mind, examining certain pertinent texts in depth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understanding it.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is written as an attempt to reread the basic grammar of Silence of the Lover based on these four elements-Buddhist knowledge, Buddhist mind, poetic knowledge, and poetic sincerity. Furthermore, this paper represents the first step of a larger plan to thoroughly re-examine, if possible, each of the 88 poems in Silence of the Lover.

      • 류시화의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을 읽고

        정효구,Jeong, Hyo-Gu 대한출판문화협회 1997 출판저널 Vol.223 No.-

        류시화 시집은 탈역사적인 측면에만 너무 집착했다는 아쉬움을 갖고 있다. 역사적인 성찰이 토대를 이루지 못했을 때 자칫 초월적 환영과 같은 것으로 끝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도 갖게 한다. 또 그의 밑바탕을 이루는 '인도체험' 역시 비현실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진 것 같다는 느낌이다.

      • 정진규 시의 ‘정원’ 과 생태인문학

        정효구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人文學誌 Vol.57 No.-

        이 글은 정진규 시인의 시집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그의 첫 시집부터 마지막 시집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나면서 시의 물리적 공간이자 정신적 공간으로 작용한 ‘정원’의 문제를 탐구해본 것이다. 정진규의 시에서 ‘정원’은 세 단계를 거치면서 생태적 세계와 인문학적 세계를 상호 성장시키고 고양시키는 발전의 장이 된다. 그 첫째 단계는 소위 ‘서울 시절’ 혹은 ‘수유리 시절’이라고 칭할 수 있는 196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뜨락’을 통한 정원의 발견과 生長의 시기이다. 여기서 정진규 시인은 그의 거주지의 작은 ‘뜨락’에 의지하여 생태적 감각과 인문학적 감성 및 정신세계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2000년 중반에 고향이자 생가터인 ‘안성’으로의 회귀가 이루어진 이후의 이른바 ‘안성 시절’을 통한 ‘정원’의 비약적인 성장 단계이다. 정진규 시인은 회귀한 고향이자 생가터에 ‘夕佳軒’이라는 당호의 집을 짓고 새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구축한다. 이 석가헌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갖는 것은 석가헌을 구성하는 건물로서의 집이 아니라 그 전체를 아우르며 토대와 중심지대가 되어주는 ‘마당’ 혹은 ‘정원’이다. 이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의 ‘정원’은 정진규의 시 속에 나타난 정원의 역사에서 ‘熟成’의 단계이다. 끝으로 정진규 시인은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을 ‘律呂精舍/마당’으로 전변시킴으로써 또다른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열어간다. 이 율려정사의 마당 혹은 정원에서 정진규 시인은 영성적 생태학 또는 생태적 영성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근대적 의미의 인문학 너머의 세계까지 창조한다. 여기서 시인은 정원을 가꾸는 사람으로서의 우월적이며 의도적인 인간적 작위성을 내려놓고 우주적 이치의 본원상인 ‘율려’가 스스로 작동하는 평등하며 자생적이고 우주적인 정원의 청취자가 된다. 그는 이 단계에서 더 이상 일반적 의미의 정원사나 정원의 주인장이 아니라 정원이 스스로 정원을 만들어가는 것을 보게 된, 자생정원이자 우주정원의 청지기이다. 그러한 그는 자신의 정원을 받아 적는 겸허한 필사자가 된다. 정진규의 시인생활 전체를 통하여 나타난 ‘정원’과의 동행, ‘정원’에 대한 탐구, ‘정원’을 통한 공부는 생태감각을 원체험으로 지닌 시인이 아주 작은 "뜨락’에서부터 보다 큰 "마당’과 정원으로 물리적인 확대를 이루어 나아가는 길과 더불어 그 크기와 무관하게 ‘정원’의 심층과 본질을 보다 심오하게 만나면서 마침내 인문정신의 高處와 영성적 세계를 읽고 향유하며 전달하는 한 시인정신의 아름다운 결실을 보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d issues related to ‘gardens’, which appear consistently in the 18 poetry collections of poet Jeong Jin-Gyu from his first collection to his last and which act as the physical space and mental space of poetry. In the poetry of Jeong Jin-Gyu, such ‘gardens’ go through three stages, mutually developing and edifying the ecological world and the world of the humaniti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garden discovery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ddurak (garden)’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2000s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Seoul years’ or 'Suyuri years’. Here, the poet Jeong Jin-Gyu relies on the small ‘ddurak' of his residence and gives birth to an ecological sense along with humanistic sensibility and a mental world and he makes these grow in abundance. The second stage is the rapid developmental stage of ‘gardens’ through the ‘Anseong period’ in the early 2000s after the return to ‘Anseong’, which was his hometown and place of birth. The poet Jeong Jin-Gyu builds a house called "Seokgahun" in his returned hometown and birthplace and cultivates and builds a "garden" of a new level. The largest part of this Seokgahun is not the house as a building that forms the Seokgahun, but the yard’ or ‘garden’, which encompasses the whole and acts as the foundation and center. The garden’ of 'Seokgahun/yard’ during the ‘Ansung period’ is the stage of ripening’ in the history of ‘gardens’ in Jeong Jin-Gyu’s poetry. Finally, the poet Jeong Jin-Gyu cultivates and opens a garden of another level by changing the ‘seokgahun/yard’ of the Anseong period into 'yulliujeongsa/yard’. In this yuliujeongsa yard or garden, the poet Jeong Jin-Gyu creates a world beyond the humanities of modem meaning, can be called spiritual ecology or ecological spiritualism Here, the poet puts down his superior and intentional human composition as a gardener and becomes a listener of an equal,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in which “yulliu,” the origin of cosmic logic, works itself. Thus, he is no longer a gardener or garden owner in a general sense at this stage, but a steward of a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who has seen the garden make its own garden. The accompaniment of ‘gardens’ that appear throughout the entirety of Jeong Jin-Gyu’s poetic life, explorations of gardens, and studies through “gardens” look upon the beautiful results of a poetic mind that reads, enjoys, and passes on the path upon which a poet who originally experienced ecological senses achieves physical expansions from a very small ‘ddurak’ to a larger ‘yard’ and garden along with the heights of a humanistic spirit and spiritual world as they profoundly meet the depths and essence of ‘gardens’ regardless of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