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복합격조사 「について」의 의미·용법의 분석

        정혜지(Hye Ji Jung) 언어과학회 2005 언어과학연구 Vol.32 No.-

        A complex case particle is composed of a case particle and an independent word, i.e,, a verb,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other case particles. Previous studies have explained just the meanings of 「について」, but have not made an analysis of its usage. And their object of studies have been just verb sentences co-occurring with 「について」, According to the results of usage examples, it has been revealed that adjective sentences and adjectival verb sentences can co-occur with 「について」. Therefore, it can safely be said that previous studies have not explored what predicates can co-occur with 「について」. So this paper makes an analysis of usage examples of verb sentences, adjective sentences, and adjectival verb sentences to classify the meanings and usages of 「について」, and explores in detail what kind of semantic relations 「について」 can have in its individual usages.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について」 and 「については」 in their meaning and usage is that, 「について」 has the function of establishing a theme which is the object of a action or state, while 「については」 has the function of offering an independent topic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sentence.

      • KCI등재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노인 학습자를 위한 일본어 교재개발 방안 연구

        정혜지(Jung, Hye-Ji)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3 No.-

        本研究では、大邱市所在の老人福祉館の生涯学習プログラムである初級日本語講座を受講している高齢学習者を対象にし、使用している教材に関する意見や学習ニーズを中心にアンケート調査をを行った。その結果に基づき、高齢学習者向けの初級日本語教材の開発方策に関するいくつかの提言を提示してみたい。 第一に、高齢学習者の身体的特性を反映して文字の大きさは市販教材より大きく鮮明にする。第二に、教材の内容を簡潔にし、本の厚さを薄くして高齢学習者の教材の携帯を容易にする。第三に、色彩と写真、挿絵を適切に用いて高齡學習者の学習内容の理解と共に興味を図る。第四に、パソコン使用が苦手な高齢学習者のために、MP3よりはオーディオ用CDを聞き取り練習用に提供する。第五に、初級学習者にとって特に難しい領域である日本語の漢字の音読、訓読のような漢字の読み方に関する詳細な説明が必要である。第六に、日本旅行に必要な旅行日本語表現や生活日本語表現など現地での意思疎通に役に立つ日本語のフレーズをシチュエーションごとに紹介して全ての単元に満遍なく構成する。第七に、日本文化の中で高齢学習者における興味の高い分野である日本文学や日本の歌などを教材の構成に含めるようにする。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lderly learners who were taking beginner- level Japanese language courses at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ir learning needs, to explore an avenue to develop beginner-level Japanese language textbooks for the elderly learn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tters in the textbooks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and clear. Seco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hould be concise, and the textbooks should be thin to enhance their portability. Third, the textbooks should accelerate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arouse their learning motivations with appropriate uses of colors, photos, and pictures. Fourth, the textbooks should provide audio CDs for listening exercises for the elderly learners who were not proficient in using computers. Fifth, the textbooks should come with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how to read Chinese characters, a particularly difficult practice for beginner-level learners. Sixth, the textbooks should be composed of expressions of practical conversation necessary for local communication, such as Travel Japanese expressions needed for a trip to Japan. Seventh, the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Japanese literature or songs, among various other Japanese cultures.

      • KCI등재

        웹툰에서 드라마로 매체전환시 캐릭터 변화 연구

        정혜지(Jung, Hye-Ji)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9 No.-

        한국의 웹툰은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시장에서 가능성을 보이고 점점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웹툰은 원작 콘텐츠로 매체전환 되어 영화와 드라마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매체전환의 과정에서 이야기의 서사구조, 캐릭터 등 각 매체의 특성에 맞게 변화할 수밖에 없다. 영화는 시간적 제약이 있어서 매체전환 과정에서 에피소드와 인물의 생략을 통한 서사와 갈등의 단선화가 이루어지는 반면 드라마는 에피소드와 인물이 추가, 확장되고 복합적인 플롯으로 변화되며 인물관계도 복잡해진다. 이는 웹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폭넓은 수용층을 확보해야 하는 TV드라마의 경우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서사와 인물을 설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에서 드라마로의 매체전환시 드라마의 특성을 바탕으로 공중파 매체전환 드라마 중 가장 많은 인기를 얻은 ‘냄새를 보는 소녀’의 캐릭터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는 앞으로의 더욱 활발해질 웹툰에서 드라마로 매체전환 과정에 참고 될 것이다. Webtoon in Korea is more and more vitalizing, showing its’ prospect in world market such as America, China, and Japan. These webtoons are reformatting as original contents and are actively used in drama or film. In the process of reformatting, the structure of plot and characters are changed to fit into each media’s characteristics. While the movie, which has time constraints, the narration and conflict can be simplified in the process of reformatting through the omission of some episodes and characters, the drama has complex plot and character relationship by adding and expanding episodes and characters. This is because TV drama, which requires to secure wider-ranging viewer than webtoon, has no choice but to set more universal and popular plot and characters. In this study, I analyzed characters in ‘the girl who can see the smell’, which gains massive popularity among reformatting contents, in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ill be referred in future conversion of contents medium.

      • KCI등재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정혜지,이승휘,Jung, Hye-ji,Lee, Seung Hwi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5

        미국 뉴욕에 자리한 9/11 메모리얼은 2001년 9월 11일 미국 지역에서 일어난 테러 및 1996년 2월 26일 뉴욕 WTC 폭탄테러와 관련된 컬렉션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설립 당시부터 시민참여 프로그램에서 추모시설의 필 요성과 세부적인 특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개관 이후에도 지속적이 고 자발적인 기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법의 제정으로 안정적인 운영 이 보장된 기관이다. 한편 전 세계에 분포된 불특정 다수의 생산자에게서 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9/11 메모리얼은 구입·오프라인 기증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웹사 이트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수집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재난기록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민여론과 정부와의 공정한 논의 하 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려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재난기록 관리는 추 모, 기억 보전, 교육, 진상규명, 학제적 정보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함께 논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재난 이후 기록관리 분야에 서의 협력적인 거버넌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is the institution that collects, assesses, arranges, uses, exhibits, and preserves collections related to the terror attack on September 11, 2001 (9/11), and the explosion incident at the World Trade Center (WTC) on February 26, 1996. After the 9/11 incident, various groups, including the LMDC and the PANYNJ, have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is organization. Since its initial establishment, the necessity for memorial institutions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had been discussed in meetings to gather citizens’ opinions. Furthermore, the enactment of the 9/11 Memorial Act has secured the institution’s st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To properly manage disaster-related collections, a just agreement among the citizens and the government should be made to arrive at rational decision-making. This instution can provide answers regarding those ways. Moreover, managing disaster-related collections should be discussed as an important means of remembering, preserving memories, educating, revealing the truth, and preparing academic information and sources. As a result, collaborative governance in records management after a disaster is expected.

      • 위탁가정 아동의 가족적응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형모 ( Kim Hyung-mo ),이재성 ( Lee Jae-sung ),박혜선 ( Park Hye-seon ),정혜지 ( Jung Hye-ji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4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위탁아동의 새로운 가족으로의 적응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위탁아동의 적응 문제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아동의 적응을 돕는 실천적 방안과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위탁아동과 위탁부모 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17개 가정위탁지원센터의 협조를 받아 각 센터에서 20명의 위탁아동을 대상으로 340명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위탁아동의 위탁부모를 통해 아동의 위탁상황과, 가정상황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위탁아동은 241명, 위탁부모는 238명 이었다. 이 중에서 아동-부모 설문이 짝을 이룬 21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아동의 가족적응 중 가족 내 적응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위탁아동의 가족적응 중 가족의 지역사회와의 적응이 높으면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탁아동의 가족의 지역사회의 적응은 학교공부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적응의 네 가지 하위차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탁아동의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족적응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위탁아동의 가정이 지역사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망 구축과 지역사회연계를 위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ster children`s adaptation to new family on the adaptation to school, an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to find plans for practice and policy that could help children in foster c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foster care. To achieve this. 340 foster children who are managed by 17 foster care centers in each parts of the county except National Foster Care center were collected and survey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situation of foster care, foster home were investigated by foster parents. 241 foster children and 238 foster parent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 211 cases that both a foster child and a foster parent responded to the survey and matched to each other are used in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t first, foster children`s adaptation to foster family(lower lever of family adapt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foster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foster family`s local accommodation (lower level of family adaptation) had positive effect on foster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The third one is that foster family`s local accommodation(lower level of family adaptation) affected all parts of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adaptation to study, peer, teacher and school lif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family adaptation program and continuous follow-up serviced are needed to improve foster Children`s adaptation. Also, it is propos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so that foster family could connect with local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community connec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