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NA에 의한 교우관계 분석과 지도 방안

        정혜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solve the problem of bullying through figuring out the network of peer relations. For this purpose, a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as a method, which is expect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study on bullying.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n the network formed in peer relations was performed. Second,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of relevant respondents were conducted to discuss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unlike prior studies on bullying, attempted relation analysis. It also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of bullying using the network 'peer relation'. Now that the academic current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etwork, it is expected this can be an opportunity for a new study on bullying.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that it couldn't do more than introducing a new theory. It is expected that more developmental network studies will be to be appear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학급 내 학생들의 교우관계에서 맺어지는 연결망 파악을 통해,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집단따돌림의 피해 예상자를 사전에 발견하여 교우관계의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따돌림 예방ㆍ해결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소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서구의 사회과학계에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이다. 인천 지역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교우관계의 연결망을 알아보기 위해 중심성 분석(centralit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이어그램(diagram)을 통해 연결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급 내 학생들의 교류와 친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연결망이 파악되었으며, 중심성 분석과 연계하여 교우관계에서의 따돌림 대상이 되는 학생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담임교사와의 면접을 통해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사전 예방 지도 방안에 대하여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는 속성자료 뿐 만 아니라 관계 자료에 입각한 분석을 시도하여, 집단따돌림이라는 현상을 ‘교우관계’라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석하고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장차 학생들이 경험하게 될 사회의 축소판인 학교 생활에서의 인적 네트워크인 교우 관계의 이해와 조율에 사회과 교사들의 활약을 기대하며,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문적 조류가 형성되고 있는 이때에, 새로운 집단따돌림 연구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유주의에 있어서의 부권적 간섭의 의의 고찰

        정혜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문화연구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eedom and regulations have continued to change in the history of liberalism.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paternalism' as 'the third wave of liberalism.'Liberalism began in an effort to escape mercantilism under the absolute monarchy, new-liberalism appeared demanding national intervention in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gave life to neo-liberalism again claiming the superiority of the market. 'Paternalism' means regulations similar to what can be found in 'father who puts his nose and intervenes in his son's affairs'. Paternalism can be divided into 'paternal rights as authority' and 'paternal rights as paternal love'. This study proposes 'paternalism as paternal love' against neo-liberalism.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making a modification to national problems through drastic reforms and restraints, and denying the whole role of a state. National administration that modified the side effects of authority will transform into services, not based on regulations or directions any more. It will play a subsidiary role instead of regulations. Most of all, paternalism on welfare is considered never to be neglected because it cannot be met in the market. This study suggests a 'big government' as 'the third wave of liberalism.' However, it premises four elements not to repeat the failure of the past - 'transparency', 'responsibility', 'decentralization', 'participation'. The expansion of paternalism on the premise of these four conditions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alternative. 본 연구는 자유주의의 역사를 통해 자유와 규제가 서로 견제하며 변화해 온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자유주의에서의 부권적 간섭의 의의를 ‘자유주의의 제 3의 길’로 제시하고자 한다. 저대 왕정의 중상주의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에서 자유주의가 싹트고, 시장의 실패로 인해 국가의 간섭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신자유주의(new-liberalism)는 태동했으며, 정부 실패로 다시 국가의 간섭에서 벗어나 시장의 우위를 주장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자유주의(new-liberalism)가 등장하게 된 것이 자유주의의 역사적 변화 과정이다. 부권적 간섭(paternalism)이란 ‘아버지가 자식의 일에 관여하고 간섭하는 것과 같은 의미의 규제’를 뜻한다. 이러한 부권적 간섭은 다시 권위(authority)로서의 부권’과 ‘부성애(paternal love)로서의 부권’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자는 새로운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의 움직임에 대항하여 바로 ‘부성애(paternal love)로서의 부권적 간섭’의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국가의 문제집에 대해 과감한 개혁과 견제를 통해 수정을 가하는 것과, 국가의 역할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권위의 부작용이 수정된 시대의 국가 행정은 더 이상 통제나 지시가 아닌 서비스로 전환할 것이며, 규제가 아닌 길을 열어주고 보조해 주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시장에 의해 절대로 충족될 수 없는 복지에 대한 부권적 배려는 결코 양보할 수도 양보해서도 안 되는 고유한 부권적 간섭의 영역이 아닐까 생각한다. 부권적 간섭이 수정된 형태의 ‘자유주의의 제 3의 길’을 위해서는 다시 신자유주의(new-liberalism)에서의 ‘큰 정부’를 전제하고자 한다. 다만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큰 정부’의 전제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바로 ‘투명성’, ‘책임성’, ‘분권화’, ‘참여’이다. 이 네 가지 조건이 전제가 되는 상황 아래서의 부권적 간섭의 확대는 자유주의와 복지와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대안이 아닐까 생각한다.

      • KCI등재

        모형 중심의 사회과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비판

        정혜온 ( Jung 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적 자질로써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 배경과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회과교육 목표로서 비판적 사고능력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사회과교육에서 실행되어 온 교수 방법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46년 12월 미국의 사회과 모델을 도입하여 탄생한 한국의 사회과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은 주요 교육 목표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최근까지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능력에 대한 사회과 교육 목표는 교육과정상의 문구로 사문화된 채 한국적 이론화의 시도와 교실상황에서의 실천적 경험이 뒷받침되지 못했다. 해방 이후 1988년대 말까지 실제로 이루어진 교육은 민주주의의 원리, 반공의식 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한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한국 사회과에서 이루어진 비판적 사고 교육은 사고의 내적 일관성에 초점을 맞춘 모형화에 관심을 두었고, 논의와 추론의 대상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하여 교육은 프로그램에 따라 기술을 습득하도록 교수 과정을 설계하거나 권력 관계 등을 설명하는데 집중하기보다는 학생들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회적 실행과 행위에 유의미하고 우호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한국의 사회과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은 배타적 개념으로 전면으로 나서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사회적 실행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critical thinking in social studies and evaluate existing social studies education focusing on students ability to think critically, keeping in mind that Korea has undergone a peculiar path to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Thinking critically has been one of the major goal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since its beginning period in the mid-1950s when US mode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ad been introduced. Until recently, however, critical thinking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had been largely a void of concern for those who actually implement the goal, primarily due to the history of long term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politics of Korea. It was in the 1990s when Koreans social studies education was able to take care about the meaning of citizenship and democratic society. One of the shortcomings, however, is the relative underestimation on the content of class discussion and inference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relatively focusing on developing a model of inner consistency of critical thinking. Thi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class education in a way to re-conceptualize what problems they have in their community and what they should do for them, and in order to do this, what capacity they have to develop.

      • KCI등재

        일본인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정체성이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

        박정의,정혜온,정진경,노지영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9 No.-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wome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s cultural identity.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data from mothers and their children residing in Incheon city from August 1st through August 31st. The total number of interviewees is 33. The results showed that 1) among 14 Japanese mothers, 2 belonged to the assimilation type, 3 to the spurious assimilation type, 5 to separation type and 1 to marginalization type and that 2) there were not the consistency between mothers’ and children’s cultural identity. Thus, 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Japanese women immigrants in Korea were distinguished from south-east women immigrants in terms of cultural identity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 KCI등재

        협력학교 기반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조사

        권나영 ( Kwon Na Young ),권민정 ( Kwon Min Jung ),정혜온 ( Jung Hye 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 대학의 사범대학에서 진행된 협력학교 기반 지역사회 연계 봉사 프로그램(JEP) 과목에 참여한 중등예비교사들의 과목 운영, 성과,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학년, 전공, 사전학습경험에 따라 분석하고 현장실습 확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통합연구로 JEP 과목에 참여한 6개과 중등예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JEP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JEP 과목의 운영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교육실습의 준비단계, 실습 기회의 확대, 진로 결정에의 기여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JEP 과목 성과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JEP 과목 실습 중 어려움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사회과 예비교사는 현저하게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실습참여 기회, 프로그램의 체계성 등 외부 요인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대학에서의 전공 교육과 현장실습과의 연계, 전공 차이를 고려한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선, 체계적인 학년별 현장실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 on Joint Educational Program(JEP) based on cooperating schools and to discuss ways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field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designed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survey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89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 six department in a college of education and all of them participated in the JEP. Among them, 11 pre-service teachers had in-depth interviews.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JEP was generally high.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grade, major, and learning experience had impact on the perception on management, outcome, and difficulty of the JEP. Finally, based on our results, we discuss how to improve field experience program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