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에서의 시각 및 촉각 공감각에 관한 실험 연구 : 실내마감재의 시촉각 시각적 촉각 감성 평가를 중심으로

        정현원(Jung Hyunwon),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촉각 감성은 제품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점차 부각되어 가고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에서 촉각 단서의 부족은 제품 구매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간의 공감각적 인지 특성을 온라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면 해결할 수 있다. 공감각은 시각 자극이나 청각 자극으로도 촉각 감성을 야기시킬 수 있는 생리적 인지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 개발전문가 그룹과 소비자 그룹 두 그룹의 촉각 감성과'고급스러움'에 관한 감성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내마감재 12종 샘플을 실험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촉각 평가 요인은 거칠기 매끄럽기 경도감 온도감의 4가지 항목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간 촉각 평가 비교는 몇몇 샘플들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촉각에 비해 시각적 촉각 평가가 매끄럽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요소의 항목에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룹간 고급스러움에 관한 감성 평 가는 상당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넷째 온도감 평가는 샘플의 색채 요인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실험 연구 결과는 향후 촉각 정보와 감성이 온라인에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line shopping has been an effective way of shopping. Many products can be purchased through on-line including interior material which heavily depends on tactile sensation. However there exists gap in sensation between developers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its customers. The developers fully utilize their visual and tactile sensation while the customers use only visual sens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actile sens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 12 samples of interior material and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of interface design for on-line shopping. The factors used for tactile evaluation included roughtness smoothness hardness and warm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milar pattern in both cases of visual-tactile synesthesia. The thermal sensa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color of the material.

      • KCI등재

        세대간 교류공간 디자인의 감성공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정아영(Jung Ayoung),정현원(Jung Hyun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감성적 측면의 가치를 공간디자인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취지의 연구로서 공간디자인과정에 있어서 감성공학기법의 적용을 통해 실내공간분야에서 감성 공간디자인의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디자인 대상공간은 복지관의 세대간 교류공간이다. 이에 감성공학기법을 활용하여 교류공간을 디자인 하고 디자인 결과물의 감성평가를 통해 디자이너의 감성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의 목표를 설정하고 복지관 이용자와 시설운영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감성어휘 디자인 대상 공간 디자인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감성공학적 디자인과정을 통해 디자인된 교류공간은 4가지의 3D 이미지로 제작되었고 디자이너 그룹을 대상으로 감성평가실험을 진행하였다. 디자이너의 감성평가결과 세대간 교류공간 디자인에서는 바닥과 벽에 밝은 색을 사용하는 것이 쾌적성 건강성 친밀성 선호도 등에 있어서 긍정적인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이너는 조도 창의 크기 창의 위치 조명의 색온도 벽과 바닥의 색채 등의 공간개념을 구현하는 디자인요소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바닥과 벽이 모두 밝거나 바닥은 어둡지만 벽이 밝은 디자인 안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pply a value of this emotional aspect to the space design field and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and method of emotional space design in the interior space field through application of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s in a space design process. The design target space is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ly this research designed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by utilizing the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s and grasped emotional structure of a designer through sensibility evaluation of design result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study set a goal of design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selected an emotional vocabulary design target space and design element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argeting users of the welfare center and operators of the facility.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designed through this emotional design process was manufactured as 4 kinds of 3D images and the emotional evaluation was progressed with the target of a designer group. As a sensibility evaluation result of designers it appeared that what uses bright color in the floor and wall i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design generates a positive emotional reaction in comfortable healthiness friendliness and preference etc. Also it appeared that designers concentrate the most interest on design elements realizing space concepts such as intensity of illumination size of windows position of windows color temperature of lighting and colors of the wall and floor and are satisfying a design plan that all the wall and floor are bright or the wall is bright even if the floor is d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