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의 개발

        임미선 ( Mi Sun Lim ),김영백 ( Young Baek Kim ),정택규 ( Teak Kyu Jung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0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1 No.1

        자외선 차단제로 널리 사용되는 p-methoxycinnamoyl기를 함유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전구체를 합성하고 그로부터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구 형태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100nm에서 수 ㎛ 사이의 직경을 가진 구를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구의 피부 도포와 자외선차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직영이 대략 0.6 ㎛인 구를 10%의 농도로 바셀린에 분산시킨 제재를 손등에 도포하였을 때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0% 농도 바셀린 제재의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5.7로 양호한 편이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자외선차단제에 비하여 농도 증가시 SPF의 상승효과가 커, 자외선차단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A silsesquioxane precursor that contains p-methoxycinnamoyl group was synthesized to produce UV absorbing spherical polysilsesquioxane (PSQ) spheres with diameters of 10nm to a few ㎛ under different conditions. A dispersion of 10 wt% in Vaseline of these PSQ spheres with diameters of approximately 0.6 ㎛ showed SPF values of 5.7 and the identical dispersion did not turn white when applied to human hands. These UV absorbing PSQ spheres showed higher boosting effect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than the well known UV blocking octyl methoxycinnamate (OMC).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Q spheres with p-methoxycinnamoyl group should be useful as the ingredients in UV screening functional cosmetics without causing allergies and whitening.

      • KCI등재
      • KCI등재

        황기의 산지별 및 연근별 isoflavonoids의 함량분석

        임경란(Kyung-ran Im),김미진(Mi-Jin Kim),정택규(Teak-Kyu Jung),윤경섭(Kyung-Sup Yoon) 한국생물공학회 2010 KSBB Journal Vol.25 No.3

        황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3대 약재의 하나이며 인삼 다음으로 사용량이 많은 약재로서 황기의 성분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황기의 주성분에 대한 표준화가 현재 정확히 마련되지 않은 현 실정을 감안하여 황기의 연근별 및 산지별 isoflavonoids의 함량 분석에 대한연구를 진행하였다. 산지별 5종 황기 (제천, 정선, 영주, 태백, 중국)의 1년 근 및 3년 근 80% EtOH수용액 추출물을 가지고 calycosin과 formononet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cellulase, β- glucanase 및 xylanase가 주성분인 Viscozyme L을 가하여 효소처리한 후, calycosin과 formononetin의 함량을 측정 하고 아울러 이들의 배당체 함량도 예측하였다. 추출물의 전체 고형분의 양은 산지별로는 중국산 > 영주산 ≥ 정선산 ≥ 제천산 ≥ 태백산으로 상대적으로 중국산의 고형분의 양이 월등히 많았다. 또한 5종의 산지별 황기는 3년 근보다는 1년 근의 고형분의 양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Calycosin 함량은 효소처리 전에는 3년 근보다 1년 근에서 높았으며, 정선산 ≥ 중국산 〉제천산 〉태백산 〉영주산 순이었다. 효소처리 후에는 1년 근보다는 3년 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제천산 〉정선산 ≥ 중국산 〉태백산 〉영주산으로, 이는 제천산의 경우 calycosin 배당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정선산 및 중국산 1년 근의 경우는 효소처리 후에도 calycosin 함량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보아 calycosin 배당체 함량이 낮음을 알수 있었다. Formononetin 함량은 효소처리 전·후 모두 전반적으로 calycosin에 비해 낮았으며, 정선산과 영주산은 효소 처리 후에도 formononetin 함량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보아 formononetin 배당체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산지별로 isoflavonoids의 함량을 보면 제천산이 가장 높았으며, 고형분 함량을 고려한다면 중국산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근별로 isoflavonoids의 함량을 보면 재배 연수가 오래됐다고 해서 이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지지는 않았다. 지표성분의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연구의 지표성분인 isoflavonoids 함량은 산지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임 으로 황기를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원료로 이용할 경우 산지 및 연근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isoflavonoid contents that can be used to index Astragalus membranaceus B.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Isoflavonoid cont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which were cultivated in various areas (Jecheon, Jeongseon, Yeongju, and Taebaek in Korea, and China) and ages (1-year-old, 3-years-old) were determined. Calycosin and formononetin as major constituents were determinated by HPLC method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verage contents of isoflavonoids among 1-year-old and 3-years-old. However, iso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areas.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calycosin content of 1-year-old at Jeongseon was the highest level of 0.090 ± 0.002% and that of 1-year-old at Yeongju was the lowest level of 0.010 ± 0.001%. The highest level of formononetin content was 0.050 ± 0.001% of 1-year-old at China, while the lowest level was 0.020 ± 0.001% of 1-year-old at Yeongju.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ontents of isoflavonoid in Astragalus membranaceus B. might be quit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cultivation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