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헝가리 권위주의 체제의 가속화에 관한 연구: Covid-19 전후 오르반 정권을 중심으로

        정채윤(Chaeyoon Jeong),김면회(Myeon Hoei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3

        헝가리는 체제전환 이후 성공적으로 민주주의 공고화를 이뤄낸 대표적인 구(舊)공산권 국가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비교정치학계에서는 2010년 빅토르 오르반의 총리 취임 이후부터 지금까지 급격한 민주주의 후퇴를 겪으며 권위주의 정권으로 변모한 대표사례로 헝가리가 지목되고 있다. 냉전 해체와 함께 시작된 소위 ‘제3의 민주화 물결’을 겪은 이후 근래 들어 권위주의로 역행하고 있는 동유럽 구(舊)사회주의권 국가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다. 그중 본 연구는 레비츠키와 웨이의 ‘신(新) 경쟁적 권위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체제전환 이후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는 헝가리 정치의 현실을 가장 적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이론적 틀로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신 경쟁적 권위주의의 이론적 틀에 따라 본 연구는 우선 2010년 이후 약 10여 년간에 걸쳐 진행된 헝가리 정치체제의 권위주의화(化)를 세부적으로 추적 정리하고, 이후 가속화된 헝가리 권위주의의 실상을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연구 결과, 경쟁적 권위주의가 여전히 형식상 민주주의 제도 내에서 존재하는 것처럼, 신 경쟁적 권위주의에 해당하는 헝가리가 겪고 있는 권위주의의 가속화도 코로나를 전후 로 여전히 민주주의라는 형식적 틀 내에서 권력 확대와 부침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했다. 오르반 정권의 거대 권력 소유가 지속적이지만, 형식적으로나마 존재하는 민주주의가 여전히 ‘완전한’ 경쟁적 권위주의로 역행하려는 시도들을 일정 정도 막아내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후 야당과 언론 및 시민사회의 대응 강도가 약화될 경우, 헝가리 정치의 미래는 권위주의 체제의 ‘공고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 After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Hungary has been classified as the leading former Communist country that successfully accomplished democratic consolidation. However, since the inauguration of Prime Minister Viktor Orbán in 2010, in the field of Comparative Politics, Hungary has been categorized as a typical case that rapidly retrogressed in the aspect of democracy, consequently having been transitioned into the authoritarian regime. There are multiple studies on the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at recently retrogressed to authoritarianism after undergoing the so-called “Third Democratic Wave” which coincided with the breakup of the Cold War. This research develops its discussion b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Levitsky and Way’s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e reason for such a selection is its recogn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most accurately explains the reality of Hungarian politics from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to now.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is research tracks and organizes the transition of the Hungarian political system into authoritarianism with details. It also discusses the actuality of the accelerated Hungarian authoritarianism during the 10 years of the Orbán administration since 2010 in relation to theunusual circumstance - COVID-19.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found that as th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still exists in a formally democratic system, the acceleration of authoritarianism in Hungary, which corresponds to the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s also still experiencing power expansion and the process of ups and downs within the formal framework of democracy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possession of great power by the Orbán administration continues, yet formally existing democracy prevents the attempts to retrogress to the “complet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o a certain extent. Nonetheless, if the responses of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civil society weaken afterward, it is overlooked that Hungarian politics will enter the stage of consolidation of the authoritarian regime.

      • 2 차원 3 자유도 인체 모델을 이용한 가속도 기반의 여객선 승객 탈출 분석 시뮬레이션

        정채윤(Chea-Yun Jeong),박광필(Kwang-Phil Park),하솔(Sol Ha),이규열(Kyu-Yeul Lee) (사)한국CDE학회 2010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0 No.1

        In this paper, advanced evacuation analysis simulation for passenger ship by using 3 degree-of-freedom dynamic model for human motion in 2 dimensional plane is performed. In order to describe passenger’s behavior in complex evacuation situation, human is modeled as a rigid body which translates in the horizontal plane and rotates along with the vertical axis and the motion is considered based on the acceleration based model. Collision of a passenger with others or obstacles is described as physical external force. Group behavior and moving toward destination are described as psychological external force. Flocking algorithm is used for modeling group behavior. By using Simulations for the 11 test problems in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SC(Maritime Safety Committee) Circulation 1238 with the human model is implemented. Finally, we perform advanced evacuation analysis simulation for the part of passenger ship compartment.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및 불안통제성의 매개효과

        신예림 ( Shin Ye Lim ),정채윤 ( Jeong Chae Yun ),윤수현 ( Yoon Soo Heyon ),최은정 ( Choi Eun Jeong ),황지영 ( Hwang Ji Yeong ),김민선 ( Kim Min S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불안통제성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91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매개모형은 대학생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불안통제성은 주관적 안녕감의 70%를 설명하였다.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스트레스는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및 불안통제성,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불안통제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불안통제성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졌다. 가족유연성과 응집력, 불안통제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두 변인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교육에의 주요함의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nxiety control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91 colleg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data of college students were properly explained, and stres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nxiety control explained 70% of subjective well-being.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xiety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nxiety 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higher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nxiety control, th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nxiety control,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bl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implications of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갈등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자본의 조절효과

        허다겸(Heo, Dagyeom),홍아정(Hong, Ah Jeong),정채윤(Jeong, Chae-Yu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2

        본 연구는 조직 내 갈등유형과 조직변화준비도 관계에서 개인 심리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의 성공적 변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변화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요인으로 조직갈등과 관계갈등을 선정하여 심리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국내기업 종사자 303명의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SPSS 23.0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갈등은 조직변화준비도에 부(-)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과업갈등 또한 조직변화준비도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갈등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역기능을 심리적 자본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변화에 직면한 조직에서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를 통해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을 조직변화의 성공을 위한 중요 요인으로 인식하고,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고취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Since organizational change has been a critical agenda for companies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global market, lots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pprove its effective variables and their path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conflict types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3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relational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econd, task conflict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Finally, psychological capital controls the adverse function of conflict on organizational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verified that even if conflicts arise in organizations facing change, they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inherent motivation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erefore, the companies need to recogniz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ir members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promote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