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댐유역의 장기 수질변화 예측

        정제호 ( Je Ho Jung ),김동일 ( Dong Il Kim ),최현구 ( Hyun Gu Choi ),한건연 ( Kun Yeun Ha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2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quality in an impounded river basin, this study estimated future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years of 2020, 2050 and 2080 by statistically downscaling the simulation results from two GCM models combined with two emission scenarios (A2 and B1). Both scenarios were selected from the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 suggested by IPCC. The A2 scenario represents an extreme condition whereas the B1 scenario represents a clean and energy efficient condition which is similar to that of study basin. With the results of estimated climate factors and land use data, the discharge and the concentrations of BOD, TN and TP in the Andong dam basins were simulated using the SWAT model. The change in BOD concentration for the B1 emission scenario was greater than the A2 scenario in the annual increase range and the pollution level. The concentration of TN was decreased during March? June which is drought period and increased again afterward. In contrast to TN, the concentration of TP was generally decreased. The change in TP concentration was greater for the B1 scenario than the A2 scenario.

      • 탄소강 열처리 공정에 대한 품질공학적 방법 연구

        정제한(Je-han Jung),이상훈(Sang-hun Lee),이보근,신상문(Sangmun Shin)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는 플랜트 화학 설비 분야 및 금속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열처리 공정 최적화 및 표준화를 위해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때의 최적화 온도구간 설정 및 그에 따른 안정적, 균일화된 물성치 값 도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열처리 공정은 세계적으로 화학 설비 분야뿐만 아니라 금속제조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금속의 열처리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시간과 온도 등에 따라 매우 민감한 결과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분산 또한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의 열처리는 이론적 토대를 기반으로 공정의 입력 변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큰 분산성으로 인하여 최적화된 입력변수의 설정이 어려운 현실이며,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Method: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공정의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최적화 하고 이를 표준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열처리 공정의 표준화를 위하여 주요공정변수의 도출과 출력변수와의 영향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을 적용하여 함수관계를 도출하고 최적화를 진행하고자 한다. 실험계획법은 스크리닝 단계를 통해 반응 변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를 선별하고, 완전요인설계법(Fractorial Design)을 활용한 특성화 단계를 통해 주요 인자들의 영향을 분석 및 실험 범위의 적절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통하여 반응변수를 최적화하고 입력변수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 최적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Results: 단계적 실험계획법을 통하여 최적의 열처리공정 셋팅 (입력변수 설정)을 확보하였으며, 보다 안전한 공정 조건의 범위를 설정 할 수 있는 디자인스페이스(DS)와 안전가용영역(OS)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현성 실험을 통하여 최적값과 안전가용역영의 값들에 대한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연구를 통하여 열처리 공정의 최적화와 안전가용영역(OS)을 도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공정 표준화 방법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적용 할 경우, 품질의 향상과 생산성을 향상이 기대되며, 불량으로 인한 재 작업 등의 감소와 열처리 시간의 감소를 통하여 비용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본 연구 결과 (공정표준화 및 최적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열처리 공정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분산성이 큰 열처리 공정의 경우 강건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분산성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