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국가 핵심 무용교육기준(NCAS in Dance)의 내용 및 구성 체계 탐색

        정재임 ( Chung Jae-im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6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7 No.4

        In 1926, the frist dance major in the United States was established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Since then, dance was gradually growing within education. However, dance was not recognized as academic study until the mid-1960. After the 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 emerged in 1994, all arts such as dance, music, visual arts, theatre, and media arts were included as a core content area. In the same year, the National Standards for Arts Education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each states has adopted the arts standard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arts education offered unevenly, so that some local areas could not experience specific arts disciplines in school. To offer a balanced arts education across all district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Core Arts Standards(NCAS) was established in 2014. The NCAS standards are aligned the lifelong learning goals developed from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e NCAS standards in dance are organized grade by grade from pre-k to Grade 8 with three high school level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the NCAS standards are based on backward design and include 11 shared anchor standards with enduring understandings and essential questions. They guide students to notice what they should understand from their class. Moreover, they provide connections across each arts disciplines. Now, now many schools and private dance studios in the United States implement the new standards. This study investigates 2014 NCAS standards in dance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dance standards in Korea. This study also presents new ideas in NCAS standards such as artistic literacy, enduring understandings essential questions, and model cornerstone assessment. These new concepts and specific performance standards in dance will be valuable for dance educators to improve curriculum management as well as professional capacities. Therefore, dance educators in Korea need to explore the NCAS standards in dance and appropriately adopt them to their own dance curriculum and standards.

      • KCI등재

        초등 무용창작수업 과정 연구- 미국 뉴욕의 초등무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임 ( Jae Im Chu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아동의 창의성 계발에 관한 관심과 교육적 접근은 다양한 학술 및 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경험으로서의 교육, 즉 전공자 위주의 교육이 아닌 비전공자가 움직임을 만들고 이를 공연으로 올리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무용분야에서도 아동의 창의력과 상상력 발달을 위해서 무용창작수업을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현재 무용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성과 관련한 무용수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무용창작수업의 절차, 교수전략 및 동기부여 등 아동의 무용창작수업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 뉴욕시의 한 초등학교 5학년 무용창작수업을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선행연구, 수업 계획서, 수업참관, 그리고 교사와의 인터뷰를 분석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본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무용창작수업에 사용되는 정형화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무용창작 수업의 내용이 공연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수업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무용창작수업이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국의 무용창작수업 사례를 통해 무용창작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다양한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실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dance programs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e capacity have been increas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about a creative dance curriculum, a teacher`s perception or an efficacy of creative dance, etc. For example, von Rossberg-Gempton, Irene Elisabeth`s dissertation(1998) which is creative dance: potentiality for enhancing psychomotor, cognitive, and social-affective functioning in seniors and young children showed that creative dance can enhanc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growth in children and frail adults. Moreover, Senft Miller, Erick Dietlinde(1999) explored children`s creative dance through the lens of play. This study contributed to reveal the inside view of how teachers understood and negotiated their roles in building and guiding the creative dance class experience. This study identifies how creative dance classes are taught and what teaching procedures are used in creative danc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also focuses on how a dance performance is created by children and how to introduce creative processes to children in their local commun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reative dance, this study presents the format of a creative dance class and the structure of outreach dance programs by in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reative dance teachers teach children in a formalized format using creative dance activities, and lead children in creating a dance performance. Moreover, to enhance creative processes, outreach dance programs can be execut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 적용사례

        정재임 ( Jae Im Chung ) 대한무용학회 2019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this study conducted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the analysis, th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ability,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patial ability and social abilit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ositive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literacy in children.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에서의 라반 움직임 분석(LMA)을 통한 활용방안 탐색

        정재임(Jae-Im CHUNG)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에서 라반 움직임 분석(LMA)이 관찰·분석 도구의 역할 뿐만 아니라, 움직임을 확장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치료기법으로 활용되는 방향을 탐색하고, 그 가능성을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에서 LMA의 단계별 접근과 요소별 특성을분석하였다. 무용동작치료에서 LMA는 움직임의 객관적 관찰, 내면적 특성 인식, 표현의 확장 및변화의 단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LMA의 신체, 에포트, 셰이프, 공간 요소의다각적 분석이 요구되는데, 그 결과 첫째, 신체의 감각을 촉진하여 몸과 정신이 활성화되도록깊은 호흡과 다양한 신체 부위 및 제스처와 포스처를 사용한다. 둘째, 대상의 움직임이 수용하는 특질과 저항하는 특질 중 어디에 속하는지 관찰하고 흐름, 무게, 시간, 공간 에포트의양극성을 모두 경험하도록 한다. 셋째, 정지된 형태 및 움직임의 부피 변화를 관찰하여 자아와환경과의 관계를 인식한다. 넷째, 선호하는 공간과 타인과의 물리적 거리를 탐색하고 개인공간과일반공간에서 다양한 에너지를 창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동작치료에서 LMA를 통한 활용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and a gradual approach of Laban Movement Analysis (LMA) in dance movement therapy. This study was a literatur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books, dissertations, journal articles and websit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LMA is selected among the analysis tools used in dance movement therapy. However, it is significant to suggest that LMA can be used as a movement analysis tool in dance movement therapy and as a technique to develop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movement. In dance movement therapy, LMA can be approached through objective observation of movement, recognition of inner characteristics, expansion and change of expressio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body, effort, shape, and space elements of the LMA from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sult, first, deep breathing, various body parts, gestures and postures are used to stimulate the body s senses to activate the body and mind. Second, it observes whether the client s movement belongs to the indulging effort or fighting effort and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polarities of flow, weight, time, and space effor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environment is recognized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stationary form and movement. Fourth, it searches for the preferred space and the physical distance from others, and creates various energies in the personal space.

      • KCI등재후보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의 무용동작치료의 방향 탐색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임(Jae-Im CHUNG)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으로 수행된 국내·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사례 및 교육지침을 조사함으로써 위드 코로나 시대의 언택트 무용동작치료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국내의 연구 사례로는 2020년 한국댄스테라피협회(KDTA)가 수행한 대면/비대면 혼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과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KDMPA)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언택트 무용동작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외 연구 사례로는 미국 매사추세츠의 치료기반학교에서 수행한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사례와 미국무용치료협회(ADTA)가 제시한 코로나19 무용동작치료 교육지침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국내·외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자료집, 뉴스 및 웹사이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시대에 지속적인 무용동작치료사 양성을 위해서 치료사를 위한 재교육 및 심리·정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사 간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진행방식에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내담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언택트 플랫폼과 시청각 디지털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용동작치료의 대면/비대면 병행 운영을 준비해야 한다. 변화된 패러다임에 적응하면서도 무용동작치료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치료사들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untact dance/movement therapy(DMT) in the era of With Corona by examining domestic and overseas DMT program cases and educational guidelines in the era of Covid-19.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domestic and overseas thesis, journal thesis, conference documents, news and websit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e-education and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for therapists should be provided for continuous training of therapists in the era of the pandemic,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rapists is required through a network. Second, diversity should be pursued in online DMT programs. A variety of online platforms and audiovisual digital functions should be utilized while providing an emotionally safe environment for clients. Thir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With Corona er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nline/offline parallel operation of DM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d paradigm and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DMT, research and efforts of therapists are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MT programs and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