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예화(Jeong, Yehwa),정제영(Chung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2차년 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개인요인 중 독서시간과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지만, 친구들과 노는 시간과 여가취미시간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요인 중에서 다문화가정은 초등학생의 국어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지만, 양친과 동거하는 것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차별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학 생들이 독서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친구들과 노는 시간, 여가취미시간을 잘 관리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가정요인과 관련하여, 다문화가정 및 한부모 가 정의 학생들을 지원하는 교육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 를 형성하고, 학생들의 차별경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olicy measure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sis wa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utilization of the GEP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2nd-year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reading time and self-study tim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meanwhile the time spent with friends and leisure time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mong the family factors, be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had a nega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but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yielded a negative effect. There are four points that can be concluded in this study. First, in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secure reading time and to create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ruct students to manage their time with friends and leisure time. Third, in relation to family factors, it is essential to make educational policy efforts to suppor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Fourth,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minimize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s.

      • KCI등재

        캄보디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스베이사우마(Svay, Souma),정제영(Chung, Jae Young),정예화(Jeong, Yehwa),장선희(Jang, Seon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대학생활 경험 수준을 살펴보고,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프놈펜에 소재한 대학(5개교)의 재학생 5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경험 척도(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SEQ)’ 문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에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교과목학습(Course Learning)’, ‘동아리 및 학생모임(Club and Organization)’ 경험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의 구축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대학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아리 및 학생모임에의 참여가 학업성취의 향상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experience of students in Cambodia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life experi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Cambodi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SEQ)’ questionnaire of 524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the city of Phnom Penh, Cambod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 Learning’, ‘Club and Organ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s have to install more infrastructure for students to easily use computers and the Internet inside the school, and to provide programs to develop ICT skills to all students. Second, college-base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for providing th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Third, students’ club and organization participation should be set up in college to find way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학생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조정실(Jo, Jung Sil),정제영(Chung, Jae Young),정예화(Jeong, Yehwa)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학생 전문보호시설의 프로그램이 피해 학생들의 치유와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A센터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위탁된 59명의 학교폭력 피해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eacher’s Report Form for Ages 6-18 : TRF)을 사용하였으며, 학교폭력 피해학생들의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문제행동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은 총점 수준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내재화된 증상, 외현화된 증상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DSM 진단척도 중 정서문제, 불안문제, ADHD, 품행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피해학생 치유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뿐만이 아니라, 학생들이 손실을 복구할 수 있도록 회복적 관점을 제도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healing and recovery program of a specialized protective facility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59 victims of school violence entrusted to Center A from 2018 to 2020;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paired samples t test.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s Report Form (TRF) was used as a test tool, and changes in problem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score level. Second, internalized symptoms and externalize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ird,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al problems, anxiety problems, ADHD, and conduct problems among the DSM diagnostic sca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gram to heal victims of school violence needs to be further expand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introduction of a restorative perspective is needed to not only protect students who have been victims of school violence, but also to recover their lo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