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조'와 '행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정승안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4 부산연구 Vol.12 No.-

        현실사회이론의 적합성과 더불어 2010년대 접어들며 진행되고 있는 세계체제의 위기는 이미 주류 경제학이나 주류의 사회과학적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다고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복귀나 마르크스주의적인 체제분석만이 대안이 될 수는 없는 시대이다. 이 글은 구조와 주체에 대한 현대적인 쟁점을 정리하려는 것이다. 각종 포스트주의의 범람과 신사회운동의 성장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다.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의 주체개념이 한계 상황에 도달했다고 해서 포스트모더니즘처럼 주체를 쉽게 기각하고 해체시키는 것만이 대안이 될 수 없다. 고전적인 주체의 해체는 그에 걸맞는 새로운 형태의 주체 구성의 과제를 제기한다. 더불어 주체개념의 새로운 인식은 구조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도록 한다. 구조의 분석없이 주체를 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구조주의 이후 주체의 개념이 어떻게 전환되었는가를 간단하게 살펴보고 새로운 주체구성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가를 제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학에서 전통적으로 논의되는 구조와 주체의 문제를 논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구조주의운동과 그 해체과정을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더불어 포스트구조주의 이후 새롭게 등장하는 신사회운동을 고려하여 새로운 주체구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 부산지역의 점복문화와 일상생활

        정승안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0 부산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경남지역의 주민의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복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근본적인 점복의 논리의 사회학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주팔자로 불리는 점복은 한국인의 심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쳐 온 전통적인 사유양식중의 하나이다. 컴퓨터가 가장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도 점복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것은 분명한 사회적 사실로 존재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는 동안 전통적인 사회적인 관계와 생산양식은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생활세계는 공동체나 사회적인 의례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의해서 조직되고 있다. 최근의 점복은 '재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는 카타르시스나 '심리적인 위안'의 수단으로까지 여겨진다. 그리고 개인의 생활세계의 설계나 공동체의 통합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여전히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점복의 본래적인 정신은 개인의 운명론이 아니라 생활세계의 설계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체의 통합성과 목적의식적인 역사의식의 방향제시를 하고자 하는 본래적인 정신을 회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마음과 사회와의 동행, 유승무의 마음사회학의 이론적 논의와 구조

        정승안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4차산업혁명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오늘날 학계에도 통섭과 융합 그리고 소통과 같은 통합적인 학문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른바 과학적인 방법론이라는 실증적 방법의 한계는 이미 다양한 차원에서의 이론적 현실적 합성의 위기와 맞물리며 논의된 지 오래이다. 현대 문명의 위기에 대한 관심과 이론적 위기에 대해 동양사상과 사회과학과의만남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고, 많은 성과들이 도출되었다. 이제는 한 발 더 나아가 사회과학적 논의와 동양사상을 대립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융합적, 학제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기도 한다.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유승무의 ‘마음사회학’ 또한 이러한 동양사상적 관점에서 현대사회학의 이론적 논의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의 주류 사회학이 서구에서 수입한 학문과 이론적 틀에 의존하고 있으면서도 한국의 전통적인 사유양식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이미지가 강화되어왔다는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한 유승무의 논의는 한국인의 의식의 심층에서 작동하고 있는 사회사상에 대한 연구를 통한 ‘한국적 사회학’을 찾아가는 과정에 서 있다. 그의 이러한 관심은 서구적관점에서의 동양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들에 회의하며 그 한계성을 절감하고 불교와 사회, 불교사회학의 틀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불교와 사회의 연기법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에서 최초의 ‘불교사회학’의 영역을 개척한 바 있다.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유승무는 마음과 관련한 기존연구의 경향과 최근 사회학계의 감정사회학에 대한 흐름들을 꼼꼼하게 살펴보고 비판적으로 조망한다. 이를 통해한국적 사회학에 대한 탐색은 ‘마음’을 줄기로 해서 전형적인 ‘합심사회’ 로서의 전근대 전통사회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부터 이른바 ‘마음과 사회의 동행에 대한 학문’으로서의 마음사회학을 제시한다. 마음사회학적관점에서 ‘마음구성체’ 또는 마음구성체의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며, 마음공동체와 사회변동이론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로도 이어진다. 이러한 ‘마음과 사회와의 동행’을 실천적으로 모색하는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기제로서 그는 ‘소통’에 주목한다. 소통이 실천을 매개하고 담보하는 토대이자 상호작용 메커니즘이 되어야하고, 소통이 사회진보를 위한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서는 사회과학적 접근과 사회진보를 위한 마음사회학의 실천적측면이 제시된다. 다양한 한계와 비판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마음’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는 세계화시대의 실천적 가능성을 지닌다. 연기적 논리를 통해 ‘다른사람’과의 의미구성과 소통양상에 대한 분석이 세계화시대의 소통양상과 마음을 해석할 수 있는 키워드가 되고도 남음이 있는 것이다.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핵심은 ‘배려’이다. 이를 새로운 시민사회의 덕목으로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장치로서 이보다 더 명확하게 제시하기 어려울 것이다. 앞으로도 세계화시대의 보편적 시민사회의 윤리로서 마음과 사회에대한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이유이다. Even academia today, referred to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creasingly interested in integrated academic research such as consensus,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The limitations of the empirical methodology of the so-called scientific methodology have long been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crisis of theoretical reality suitability in various dimensions. Interest in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theoretical crisis have led to various attempts to meet Eastern thought and social science, and many achievements have been drawn. Now, rather than looking at social science discussions and Eastern thought from a confrontational perspective, it is also approaching from a complementary, convergent, and interdisciplinary level. From this oriental ideological perspective, Yoo Seung-moo’s ‘Sociology of the Mind’, which I would like to introduce here, can also be an example of attempting a new search for a theoretical discussion of modern sociology. Yoo Seung-moo’s discussion, which started with a critical perception that mainstream sociology in Korea has strengthened its negative evaluation and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way of thinking while relying on academics and theoretical frameworks imported from the West, stands in the process of finding "Korean sociology" through research on social thought operating in the depths of Korean consciousness. His interest skepticism of basic views on Eastern society from a Western perspective, reduced its limitations, and went on to study Buddhism, society, and the framework of Buddhist sociology, and pioneered the first field of "Buddhist sociology"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a Buddhist and social acting approach. Furthermore, Yoo Seung-moo examines the trend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mind and the recent trends in emotional sociology in social studies in a critical way. Through this, the search for Korean sociology presents an empirical study of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as a typical "society" with the "mind as the stem, to the so-called "study of the mind and society’s companionship." From a psychosocial point of view, it tries to understand the social change of the ‘mind construct’ or the mind construct, and it also leads to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community and the theory of social change. He pays attention to ‘commun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in a device that practically seeks such ‘accompanion with the mind and society’. The argument that communication should be the foundation and mechanism of interaction that mediates and guarantees practice, and that communication should be able to lead to practice for social progress suggests a social science approach and a practical aspect of psychosocial for social progress. Despite various limitations and critical discussions, sociological research on the ‘mind’ has practical potentia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meaning and communication patterns with ‘other people’ through acting logic can become keywords that can interpret communication patterns and mind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core of social relations is ‘consider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present this more clearly as a theoretical device to present it as a virtue of a new civil society. This is why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interest in research on the mind and society as a universal civil society ethic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동양사상에 나타나는 관광의 의미와 현대적 시사점

        정승안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1 관광레저연구 Vol.33 No.3

        Since Corona Pandemics swept the world society, the world has faced unprecedented barriers. The experience of travel,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ing suppressed may be the first scene we face si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ourism brought about by the proces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owadays, when capitalistic development locks and constrains huma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within the boundaries of capital, we think about another meaning of tourism and travel through Corona. Tourism is bound to be formed based on the history or culture of the society. Also, society and culture have their own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form or trend of tourism is a phenomenon and a distinct social fact.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unique phenomena of society and culture in the study of tourism. Therefore, since all forms of tourism a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situation, conditions, and historical conditions, it has its own meaning to look at the principles and attitudes of daily life and life of Koreans to understand the tourism phenomenon. The issue of leisure, culture, and tourism is one of the key topics of interest in traditional leisure and cultural sociology, but the discussion of the oriental traditions, traditional culture, and principles of daily life is only a literary level. Here we attempt a poetic approach to the meaning of leisure society and tourism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iental perspectives and sociological theories

      • 위기의 현대사회와 운세산업의 현재적 의미

        정승안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0 부산연구 Vol.8 No.2

        사회변동이 급격히 진행되는 시기에 있어서 규범과 가치관 정체성은 극도의 혼란상을 보이기 마련이다. 다양한 형태의 아노미와 사회적 규범의 해체 그리고 상징통합의 실패를 통한 집합의식의 해체현상은 두드러진 사회현상으로 부각된 지 오래이다.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모든 사회적 관계는 발달된 기술이나 증대된 생활세계의 합리성만큼이나 일상생활세계와 삶의 위기의식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지배적인 의식과 담론 및 사상들이 민초들의 생활세계에서 일관된 통합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이며 당면한 위기와 어지러움을 넘어서고자 하는 일상과 생활세계에 근거하여 사회적 사실들을 설명하고자 하는 사상들은 진가를 발휘하기 마련이다. 민초들은 자신들만의 논리와 내부적인 역동성에 근거해 자신의 생활세계를 재생산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위기의 다양한 양상을 웅변하고 있는 것을 ‘사주’, ‘철학’, ‘명리’, ‘타로카드’와 같은 점복과 운세와 관련한 사회적 현상들에서 읽어볼 수 있다. 현대사회의 위기는 합리성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주의’와 ‘실증주의’의 위기이다. 생활세 계의 심층에서는 생활의례들은 오히려 일관된 형태로 재생산되고 있으며, 또 다른 ‘재미’를 찾아간다. 우리는 이를 점복의 산업화 현상을 통해 현대사회의 다양한 형태의 위기의 이면을 읽어볼 수 있다. 결국 부단히 재생산되고 있는 일상생활 ‘삶 그 자체’에 대한 성찰성과 ‘생활세계의 재발견’을 통해서야 비로소 현대사회의 위기 극복의 단초를 찾을 수 있을것이다.

      • KCI등재

        1980년대 한국의 학생운동과 부림사건의 현재적 의미

        정승안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The student movement in Korea had a great influence on social transformation and politics. In particular, the 1980s was the so-called "era of student movement." The study of student movement history explain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Korean social democracy and social movement.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veal the spirit of the time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reflective reconstruction of democracy in our times.Here,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flow of the student movement in the 80s and the meaning of the ‘Burim-incident’.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flow of the student movement in the early 80s will be examined, and attention will be paid to the exercise history meaning and background of the ‘Burim-incident’. And through the Bourim-incident, we take a look at some of the implications of today's student movement. In general, student movements refer to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systematically respond to various problems or political or social issues on campus.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e period around the 1980s, when Korea's student movement, which was cut off through the Korean War, emerged as the mainstay of the popular social movement toward a national organization, was the beginning of a full-fledged student movement. The situation in the early 1980s and the evalu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led to various debates within the student movement. That's what the so-called ‘Moorim-Hakrim’. The "National League of democratic students"-“Haklim” case was initiated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Burim case was created. However, the Busan pro-democracy movement was not carried out systematically That days. Although the Burim case was not the result of organized preparation and resolution, it was composed of the manipulation and coercion of power. As a result, the Burim-incident became a symbolic event for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Busan. Students' movement forces in Busan, which had been formed spontaneously, began to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wake of the Burim-incident. It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entire civil society movement as well as the student movement in the Busan area. Reflections also followed on the new organization of social movements. In particular, following the trend of the Burim-incident, one can see that it is in line with the main general argument of the student movement that the awareness and awareness of the initiative of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production of trained activists as members of the civil society. This is a point that needs to be noted in today's student movement. 한국 학생운동은 사회변혁운동과 정당정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1980년대는 이른바 ‘학생운동의 시대’였다. 학생운동사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회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구조 및 동학을 설명해 준다. 그리고 당대의 시대정신을 밝히고 우리시대 민주주의의 성찰적 재구축의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여기서는 80년대 학생운동의 흐름과 부림사건의 의미에 대해서 조명한다. 학생운동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80년대 초반 학생운동의 흐름을 살펴보고, 부림사건의 운동사적 의미와 배경에 주목한다. 그리고 부림사건을 통해 오늘날 학생운동에 던지는 몇 가지 함의를 짚어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운동이란 학생들이 교내의 다양한 문제들이나 정치사회적 문제나 쟁점들에 대해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활동을 지칭한다. 한국전쟁을 거치며 단절된 한국의 학생운동이 전국적 조직을 지향하며 대중적 사회운동의 주축으로 등장하는 1980년대를 전후한 시기가 본격적인 학생운동의 시작이라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980년대 초반의 정세와 광주항쟁에 대한 평가에 따른 다양한 학생운동내의 논쟁들로 이어진다. 이른바 무림-학림이 그것이다. 전국민주주의학생연맹-학림사건의 수사과정에서 발단이 되어 부림사건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부림사건 당시 부산지역의 민주화운동은 체계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했다. 비록 부림사건이 조직화된 준비와 결의에 의한 결과물은 아니었고, 권력의 조작과 억지에 의해 구성되었다지만 결과적으로 부산지역의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사건이 되었다. 자생적으로 형성되던 부산지역의 학생운동 세력들이 부림사건을 계기로 다양하게 분화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전개되는 부산지역의 학생운동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운동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운동의 새로운 조직화에 대한 성찰들도 뒤따랐다. 특히 부림사건의 흐름을 따라 가다보면, 학생운동의 선도성에 대한 인식과 자각 그리고 훈련된 활동가들을 시민사회의 구성원으로의 배출했다는 학생운동의 주요한 일반적인 논거와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학생운동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지점이다.

      • KCI등재

        서애 류성룡의 생애와 사상의 현대적 조명

        정승안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3

        Many evaluations are mixed in dealing with the lives and fate of great people or characters who have historically left traces. However, in the era of rapid chaos and crisis, the value of a hero or a leader with outstanding leadership shines even more prominently. After going through a national crisis, it is also natural that interest and re-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leaders, who have mostly survived the era of chaos and crisis, increase. As a television drama featuring Seo-ae Ryu Seong-ryong was screened, social interest in Seo-ae increased. Above all, the great thing is that by leaving a historical record called "Jingbirok," it was possible to vividly experience the reality of 400 years ago.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as in the expression "old future," it is demanding "punishment" for tomorrow as an uncertain risk society. This is also exquisitely in line with the interest of sociologists who want to find a solutio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has deeply hung over Korean society today. Recently, research and views on Seoae Ryu Seong-ryong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eadership, business administration, history, and poli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thought on the study and practice of Seo Ae Ryu Seong-ryong. This is why we are trying to study this. Although it was more than 400 years ago, Seoae Ryu Seong-ryong, who was prominent a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fac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hows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we face the constant war and the aftermath of the collapsed leadership. Ryu Seong-ryong's excellent insight as a scholar and politician shone in the turbulent times of the Imjin War. He led by coordinating the conflicts expressed by opposing the public sentiment of the displaced people and the factions as bureaucrats in the mediation. As a result, his leadership could save the country from the brink of defeat. However, after the war, he was discriminated against in front of the king's envy with the Bungdang forces who were in check. Nevertheless, he leaves without regret and shows typical of Asian leadership. This contrasts with the behavior of shallow "bureaucrats" in today's era of rapid social change and value dissonance, and has great implications for reading the times and modern views. This discussion focuses on looking at the life of Seo Ae Ryu Seong-ryong. It is a process of exploratory work that looks at the meaning of his life and life in today's modern society in an poetic way and finds the meaning of the present. Through this, the present meaning can be found. 역사적으로 자취를 남긴 위인이나 인물들의 삶과 운명을 대하는 데 있어서는 많은 평가들이 혼재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급격한 혼란과 위기의시대, 이른바 난세에는 영웅이나 뛰어난 리더십을 지닌 지도자의 가치가더욱 두드러지고 빛을 발한다. 국가적인 위기를 겪고 나면 대부분 혼란과위기의 시대를 헤쳐나간 리더와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이 증가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서애 류성룡을 주인공으로 하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상영되면서 서애선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한 바 있다. 무엇보다도 위대한 것은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역사적 기록을 남김으로써 400년 전의 실상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게 하였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정작 ‘오래된 미래’라는 표현에서처럼 불확실한 위험사회로서의 내일에의 ‘징비(懲毖)’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오늘날 한국사회에 짙게 드리운 위기적 상황에서 해법을 찾고자 하는 사회학자의 관심과도 절묘하게 맞물린다. 최근에는 다양한 리더십이나 경영학, 역사학, 정치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서애 류성룡에 대한 연구와 조망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서애류성룡의 학문과 실천에 대한 사회사상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찾아보기어렵다.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이유이다. 400여 년 전이었다고는 하나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을 맞이한 위기의 시대적 상황에서 도학자이자 정치가로서 두드러진 면모를 보였던 서애 류성룡 선생에 대한 조명은 오늘날의 정보화와 세계화를 중심으로 하는 4 차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코로나펜데믹과 끊이지 않는 전쟁의 모습들, 무엇보다도 무너진 리더십의 시대적 잔상과 대비되며현대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류성룡이 갖춘 학자이자 정치가로서의 뛰어난 식견은 임진왜란이라는 난세에 빛을 발했다. 이반된 백성들의 민심과 당파로 대립하며 표출되는 갈등을 조정에서 관료로써 조율하며 이끌어나갔다. 결과적으로 그의 리더십은 나라를 패망의 위기에서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에는견제하는 붕당세력들과 임금의 시샘 앞에서 차별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미련없이 떠나며 동양적 리더십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과 같은 급격한 사회변동과 가치부조화의 시기에 보이고있는 천박한 ‘관료’들의 행태와 대비되며 시대읽기와 현대적 조망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논의에서는 서애 류성룡의 생애를 조망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그의 생애와 삶이 오늘날의 현대사회에 지니는 의미를 시론적으로 조망하며 현재적 의미를 찾아나서는 탐색적 작업의 과정이다. 이를통해 현재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