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내러티브 특성: 내러티브적 사고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정수임 ( Sue Im Chung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와 Bruner가 제시한 두 가지 사고 양식 -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어떻게 관련되는 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여부로 학생들의 내러티브적 사고 경향을 구별하고, 우세한 사고 경향에 따라 인지적 성취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45명의 지질 답사 보고서의 텍스트 분석과 함께 답사지에 대한 회상 검사, 학업 성취도, 면담을 통하여 양적,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 텍스트 분석 결과, 학생들의 보고서에는 설명적, 논증적 텍스트와 함께 내러티브 텍스트가 상당 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야외 답사지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심리적 상황과 지구과학 학습 및 현행 교육과정의 특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내러티브 텍스트로 보고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3개월 후에 실시한 회상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지구과학Ⅰ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여학생들의 경우에만 더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다.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 여부로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 경향을 판단할 수 있는지 학생들과의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 내러티브 텍스트 사용과 사고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의 사례가 나타났다. 학습 내용에 따라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학생은 학습에 성공적이며 학업 성취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educational implication by analyzing the context of narrative texts, students’ narrative think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We investigated text types in students’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the reason why students favors narrative texts,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exts and their scientific knowledge reca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hought and academic achievement. All students used expository texts, 82% of them expressed argumentative texts, and 36% of them used narrative texts. It is likely that students use more narrative texts because students were in the context of outdoor activity and so, their emotional feelings were more activated than when they are doing lab activiti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earth science seemed to contribute more narrative texts in students’ reports. The post-test revealed that students with narrative texts recalled better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we have noted that female students whose reports contain narrative text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whose reports are without narrative texts. From in-depth interviews, we found that students who properly used both paradigmatic and narrative mode of thought were in a more advantageous position than those who used narrative thought only. It was also found that some narratively thinking students tended to feel uncomfortable with the way of learning or evaluating questions about science. In the future, a complementary approach of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 of thoughts would be encouraged by understanding students’ tendency of thinking.

      • KCI등재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정수임 ( Sue-im Chung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최근 30년 동안 과학 교육에서 평가를 다룬 국내 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과학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과거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교육 관련 평가 연구의 동향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 목적과연구 방법론, 연구의 주제어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73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했고, 대상, 교과, 연구 방법론, 연구 내용 등의 범주로 분류하여 각각의 논문을 분석했다. 연구의 동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시기에 진행된 국가 교육 과정의 변화와 평가와 관련한 대내외적 사건을 연계하여 설명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과학 교육에서 평가 연구의 전체적 동향은 국가 교육 과정과 평가 관련 제도의 변화를 반영한 경우가 많았다. 연구의 대상이나 주제가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에 편중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나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얻은 표준화된 자료를 통해 정의적 영역과 다양한 배경 변인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인지적 혹은 정의적 영역에 상관없이두 영역 모두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영역은 평가 도구로써 지필 평가와 수행형 평가 등을 다양하게 사용한 반면,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부분 지필 평가만을 실시하고 있었다. 평가 연구의 목적은 주로 실제 상황에서 실용적이고 응용적인 내용을 다루는 응용 연구와 평가 연구가 많았고, 연구 방법론도 양적 자료를 다루는 통계를 기반으로 한 방법을 사용했다. 분석 논문의 주제를 유사한 범주로 묶어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주제가 점점 일반적인 내용에서 구체화, 세분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그 동안 과학 교육 관련 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개념의 명료화와 관련하여 평가 도구를 정교화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 실증적 자료를 얻기 위한 방안 마련, 다양한 맥락으로 세분화된 평가를 수렴할수 있는 이론적 기초 정립, 양적 자료에 편중된 연구의 균형을 추구하는 연구 풍토의 개진, 평가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완성된 교육과 정으로 개선하는 기관과 체계의 정비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했다. This study seeks educational implication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science assessment in the most recent 30 years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published papers on science assessment, their purpose, methodology, and key word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e selected 273 research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by research object, subject, methodology, and content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earch trend, we also tried to contextualize papers’ theme in terms of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during the contemporary period. As a result, an overall research trend reflects changes in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events such as implementa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r performance assessment. There is an unequal distribution in various aspects of the researches, showing a superiority in cognitive domains than the affective ones. By using standardized data obtained through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superior to qualitative ones. Studies on cognitive domain use variously written- and performance-based tests, whereas most studies of the affective ones prefer written tests. Applied research and evaluation research are predominant comparing to basic ones, which most of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statistics. Lastly, we found out that key words and subjects tend to be subdivided and detailed rather than general and comprehensive, as time goes on. Such trend will be helpful to elaborate and refine assessment tools that have been regarded as a problem.

      • KCI등재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정수임 ( Sue-im Chung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5

        이 연구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인지적·정의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불일치 사례를 분석 했다. 30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성취도를 양적 자료로 수집했고, 그 중 33명의 학생을 면담한 질적 자료를 분석했다. 주로 검사 도구의 측면에서 불일치 사례의 원인과 유형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양적 자료인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 영역 각각에서 과목별, 구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었고, 특히 두 영역 간 성취도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도 20% 이상 분석되었다. 선택한 진로와 진학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학 학습을 조절한 사례, 학교 과학과 과학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 등의 사례가 면담을 통해 발견되었다. 도구로 측정한 양적 자료와 학생들의 면담 내용인 질적 자료를 비교한 결과 스스로 반응한 양적 자료와 다르게 자신을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검사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검사 도구와 관련된 불일치 유형은 ‘문항 개발자가 의도한 개념과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간 차이’와 ‘표현된 반응과 속마음 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용어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될 때 자의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반응하는 경우가 전자에, 사회적 바람직성이나 자아 방어 기제에 의한 반응 왜곡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정교화하려는 노력, 학습 경험을 획일적으로 고정시키는 평가 개선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some of the discrepanci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cusing on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cademic and affective achievement score of 308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s quantitative data, and 33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qualitative data. We examined the causes and types of discrepancies in terms of testing tools. As a result from quantitative data,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a big difference between subjects in cognitive achievement, and constructs in affective achievement. More than 20% of the students did not match tendency between achievements in two areas. Through interviews, some examples such as intentional control of science learning for future study and careers, different responses b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science and science, appeared. A comparison of quantitative data by testing tool between qualitative ones and interviews showed conflicting result, where most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differently from their own quantitative data. That is due to th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testing tools. Two types of discrepancy related to testing tool are found. One is ‘the concept difference between the item developer and students,’ the other is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exposed response and their real mindset.’ These are related to the ambiguity of the terms used in the tool and response bias due to various causes. Based on this study, an effort is required to elaborate the testing item that matches students’ actual perception and to apply students’ science learning experience to testing item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전시물 활용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지혜(Ji Hye Lee),정수임(Sue Im Chung),찬미(Chan Mi Jung),김선희(Seon Hee Kim),이지희(Ji Hee Lee),최영진(Young Jin Choi),윤리나(Ri Na Yoon),신동희(Dong Hee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3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특별하고 빼어난 자연물일 뿐 아니라, 우리의 문화, 정서, 역사가 반영된 자연 문화재다. 천연기념물의 기념적, 원생적, 향토적, 역사적, 대표적, 특수한 가치는 과학 및 환경 교육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천연기념물은 본질적으로 융합성과 내러티브 특성을 가지며, 천연기념물센터는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교육 장소다. 천연기념물센터의 개별 전시물에 초점화된 스토리텔링 학습은 학습 대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학습자가 소통과 의미 만들기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과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과 명승의 과학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센터 전시물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 과정에서 학습 대상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성찰, 학교 교육과의 연관성, 스토리텔링 설계원리, 전시물과의 공감과 소통, 학습자의 연령과 수준 등을 고려했다. 페르소나, 감정 이입, 비유, 플롯, 심미적 경험, 시간성 등의 여섯 가지 스토리텔링 요소에 기반 한 매머드, 진도개, 철새, 명승지, 제주도, 석회 동굴 등의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pots are not only exceptional natural structure but also natural cultural properties that reflect our culture, emotions, and history. Commemorative, primitive, local, historical, representative, and specific scientific values of natural objects are likely to be used as educational subjects. Natural monuments have inherent convergence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al Monument Center is an educational place where empathy and communication are available. Storytelling learning focused on the individual exhibits in the Natural Heritage Center enables learners to mak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o internalize learning contents and values by engaging in communication and meaning making proces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Natural Heritage Center exhibit using storytelling to realize the scientific, environmental educational value of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pot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cognitive and definitive reflection on learning objects, relation with school education, principles of storytelling design,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exhibits, learners’ cognitive level were all considered. Based on the six storytelling factors such as persona, empathy, analogy, plot, aesthetic experience, and time, w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s about mammoths, Jindogae, migratory birds, scenic spots, Jeju island, and limestone caves.

      • KCI등재

        환경교육의 장(場)으로서 천연기념물센터의 전시 특징 분석

        이선경(Sun-Kyung Lee),박지영(Jeeyoung Park),고선영(Sun Young Ko),유은(Eun-Jeong Yu),윤리나(Ri Na Yoon),정수임(Sue Im Chung),신동희(Dong Hee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4

        이 연구에서는 전시 및 교육 기능을 담당하는 천연기념물센터의 전시 학습 환경에 대하여 다각적 탐색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전시물과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특징, 전시물의 물리적 특성, 관람객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만족 및 요구 등에 대해 탐색되었다. 교육과정 연계분석틀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했으며, 전시물의 물리적 특성은 전시 매체, 전시설명방식, 전시 활용유형 등의 다양한 전시 유형을 토대로 했다. 또한 관람객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만족 및 요구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람객 설문 조사 및 면담이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천연기념물 센터의 전시물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등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과학 관련 교과인 과학사 등의 교과 내용에서도 문화적 차원에서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사회과 영역에서도 천연기념물의 인식과 가치와 연관해서 일부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이 탐색되었다. 전시물의 물리적 특성으로는 대체로 자연물 대상의 표본 등의 고정 전시가 많았으며, 글과 그림을 활용한 패널 중심의 설명이 다수를 차지하여 관람자의 수동적 관람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람객의 설문 조사와 면담에 따르면 표본이나 동물 박제 등의 천연기념물 전시는 매우 인상적이며, 이는 천연기념물의 가치와 보존에 대한 인식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천연기념물의 대표적 표본이나 박제 등의 일부 전시를 재구성하고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한다면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확대되고, 자유학기제 시행에 활용 가능한 환경 교육의 장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s to reveal educational value of Korean National Heritage Center through contents analysis on exhibitions and visitors’ opinions. The study includes comparisons between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xhibitions, explor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s. The multipl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s were explored based on the type of display, text explanations, and display techniques. Visitors’ experiences and impact were gathered from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in which interests amongst on the exhibitions, benefits from visiting and their requirements. The data showed that the contents of exhibi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science subjects such as “Science”, “Biological Science”, “Earth Science”. “The history of Science” also contains the cultural aspects of some exhibitions. Furthermore, the sociology subjects was found to be a useful for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s and values on national heritage monuments. Secondly, most of the exhibitions were static natural specimens, have explanation panel with text and image. Even though these type of fixed exhibitions considered as a stimulation of a low level of engagements, attendees on a survey and interview reported their admire the specimens and stuffs of the Korean natural heritages, and their awareness of its importance and conservation efforts from visiting. The Korean Natural Heritage Centers can serve as a remarkable fie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developing and manag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of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