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민통치와 ‘자활’의 후기자본주의적 논리

        정수남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begins with raising the following problem: The self-help program has started with an anti-poverty policy, but practically it is dragging the poor into the administrative system, causing them to remain outside the market, reproduce poverty, and fall into the trap of welfare dependence. The way in which the post-capitalist system governs the labor market makes workers abandon entering the market by removing them out of the market. The working poor outside the market use the welfare system to re-enter the market, but the result is not anti-poverty or stable re-employment, but rather welfare dependence and poverty reproduction. Why does this paradox arise, and what mechanisms are created from this structural situation? To this end, I first explored the post-capitalist transformation of self-help dispositif. Next, I identified how the welfare field works, and finally examined the new conduct ethics required by different agents in the welfare field. Thus this study tries to emphasize the need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mocracy by revealing how the post-capitalism system works to produce and govern the poor.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자활사업은 탈빈곤 정책으로 출발했지만 실제로는 빈민을 행정체계 내로 포섭하면서 여전히 시장 밖에 머물게 하고 빈곤을 재생산하도록, 나아가 복지의존의 덫에 빠지도록 만드는 역설을 초래하고 있다. 후기자본주의체제가 노동시장을 통치하는 방식은 노동자를 시장 밖으로 퇴출시키면서시장 진입 자체를 포기하게 만든다. 시장 밖에 놓여 있는 노동빈민들은 재진입하기위해 국가의 복지제도를 활용하지만 그 결과는 탈빈곤이나 안정적인 재취업이 아니라복지의존과 빈곤재생산의 순환고리에 갇히는 것이다. 이러한 역설이 왜 발생하는 것인가, 이러한 구조적 상황은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창출되는가.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자활장치의 후기자본주의적 변형을 탐색했다. 다음으로 복지 장의 작동방식을 규명한 다음 마지막으로 복지 장의 행위주체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품행윤리를 살펴보았다. 이로써 본 연구는 후기자본주의체제가 빈민을 생산하고 통치하는 작동방식을밝힘으로써 빈곤과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관계설정이 요청됨을 역설하고자 했다.

      • KCI등재

        탈빈곤 실천의 체계적 모순과 빈민의 하비투스 :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으로

        정수남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or’s attempts to exit poverty and to reveal the reason for why such attempts fail to advance to self-reliance or poverty exit and become stuck in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poverty.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focuses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oor who are involved in self-sufficiency programs and reveal the paradox of the practice to escape from poverty. This paper explores (1) the process by which the interviewees have become poor in their lifetime; (2) the nature of self-support programs that thwart and perpetuate poverty at the same time; and (3) the process where the poor have established their own ident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us shown in their attempts to exit poverty. In particular, i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ir habitus, this paper delves into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ir efforts.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strategy against poverty and the emotional mechanism behind the reproduction of poverty. In conclusion, the poor who participate in self-sufficiency programs live as both implementers and dependents of the welfare system and learn to practice sense by using their poverty in a state of fear from welfare exit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This practice sense among the poor can be seen as an effect of the post-capitalist system governing poverty. 본 논문은 빈민들의 탈빈곤을 위한 실천들을 살펴보면서 그 실천들이 자립이나 탈빈곤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빈곤을 재생산하는 방향으로 고착화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필자는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빈민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들의 주관적 경험을 통해 탈빈곤 실천의 역설을 드러내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전반적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민들의 빈곤화 과정을 생애사적으로 탐색하고, 둘째, 자활사업은 빈곤화를 제어하는 장치이자 동시에 빈곤화를 지속시키는 제도적 장치라는 역설을 드러내고자 했다. 셋째, 빈민들의 탈빈곤 실천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위들을 통해 이들이 빈민의 정체성을 구축해가는 과정과 이에 따른 하비투스의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하비투스의 특징을 검토하는 부분에서 필자는 이들의실천 논리에 내재한 감정동학을 파악해보고자 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빈민의 실천에 내재된 감정동학을 살펴봄으로써 빈곤 재생산의 감정 메커니즘과 탈빈곤 전략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빈민들은복지체계의 수행자이자 동시에 의존자로서 살아가며 탈수급에 대한 두려움과 미래에대한 막막함을 지닌 상태에서 자신의 가난함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실천감각을 익혀간다. 빈민들의 이러한 실천감각은 후기자본주의체제가 빈곤을 통치하는 하나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모호한 경계, 전가된 희생 : 제주지역 네팔이주노동자의 건강행동과 사회문화적 역학관계

        정수남,이창호,김지희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2

        This article is about health behavior and socio-cultural dynamics of Nepalese migrant workers in Jeju,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migrant workers manage and maintain health statuses. Many studies have collected objective data to present poor health conditions among Nepalese migrant workers. However, this article highlights the health status and management focusing on the various social networks. Health cannot be explain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uses. Rather it requires to understand contexts of sociocultur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 where migrant’s past and contemporary experiences are shaped. Thus, this research suggests consideration of interdependency among distinctive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geographic location, working environment, relationship with employees, coworkers, as well as Nepalese communities and family at home country. By doing so, complex relationship of health status and management of Nepalese workers will be understood. Considering these structural problems, this article maintains that legal/institutional systems to maintain their basic social rights (including health right) should be guaranteed for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본 논문은 이주노동자의 건강과 건강행동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사회문화적 역학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네팔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자신의 건강을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주노동자의 건강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이들의 건강에 대한 심각성을 보고해왔다면, 본 연구 는 이주노동자들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 방식을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건강은 단순히 개인 내적인 신체적․심리적 상태로만 설명될 수 없고 행위자 가 어떤 상호작용 맥락 속에서 살아가는가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라는 특정한 지역, 특정한 작업장(문 화), 고용주와의 관계, 작업장 동료와의 관계, 네팔인공동체와의 관계, 네팔 본국에 있는 가 족들과의 관계 등이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되면서 이주노동자의 건강과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 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구조적 차원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들 이 한국사회에서 머무는 기간 동안 동등한 사회적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