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심리 지원을 중심으로

        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신입생이 현재 하고 있는 진로준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진로준비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 신입생이 진로준비 중 받은 지지는 무엇인가?, 넷째, 대학 신입생이 앞으로 진로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받고 싶은 지지는 무엇인가? 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신입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을 실시하였다. CQR-M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영역 및 범주를 개발하고, 코딩팀을 구성하고, 영역 및 범주를 수정하고, 데이터를 수정된 범주에 코딩하였으며, 이후 반응의 빈도수를 결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이 현재 하고 있는 진로준비에서는 진로 관련 정보수집, 기본적인 스펙 관리, 아직 하고 있지 않음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진로준비의 어려움에서는 진로를 결정하지 않은데서 오는 어려움, 진로결정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 진로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대학 신입생이 진로준비 중 받은 지지에서는 부모님께 받은 지지, 친구 및 선배에게 받은 지지, 교수님께 받은 지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넷째, 대학 신입생이 앞으로 진로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받고 싶은 지지에서는 부모님께 받고 싶은 지지, 친구 및 선배에게 받고 싶은 지지, 평소 관계 맺고 있지 않은 타인에게 받고 싶은 지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입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절한 진로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of college fresh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30 first-yea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Busan. Data was analyzed by the CQR-M method. Data analysis developed domains and list of categories, selected a coding team, revised domains and categories, coded data into the modified categories. After that,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ies was described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new categories of career preparations for college freshmen, including career-related information collection, basic spec management, and those not yet completed, were derived. Second, in the difficulties of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d by freshmen of college,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the difficulty of not deciding the caree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fter the career decision,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ird, three categories of support received by college freshmen during career preparation were derived: support from parents, support from friends and seniors, and support from professors. Fourth, the three categories of support that college freshmen want to receive in the future are derived from the support they want to receive from their parents, the support they want from their friends and seniors, and the support they want to receive from others they don 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prevention of career guidance in college.

      • KCI등재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가능한 기여’ 인식의 차이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정소미(Somi Jeong),박태인(Tae I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에 따른 ‘가능한 기여’의 차이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빈도는 어떠한가?, 둘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연결 중심성은 어떠한가?, 셋째, 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가능한 기여’의 관계성은 어떠한가?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 수준에서 교양교과목 수준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참여한 대학생 49명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참여한 적이 없는 대학생 42명이기술한 키워드 403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 교육 참여에 상관없이 봉사활동, 캠페인 참여, 기부활동, 인식교육, 정책 참여는 두 집단 모두에서 ‘가능한 기여’의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두 개 집단이 공통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로 봉사활동, 캠페인 참여, 일상 속실천 등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질화된 경향성이 도출되었지만 연결 중심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도출된 참여/미참여의 전체 구조를 시각화한 지도에서 두 개 집단이 공통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전반적으로 동질성을 띠고 있지만 세부적인 관계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로써 대학생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능한 기여’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ossible contributions’ from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frequency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Second, what is the centrality of the connection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ossible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For this purpose, 403 keywords by 49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subjects and 42 college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education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campaign participation, donation activities, awareness education, and policy participation have emerged as core keywords for possible contributions in both groups. Second, homogenous trends were derived around core keywords such as volunteer work, campaign participation, and everyday practice that the two groups coul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mmon,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nection centrality. Third, the results of connectivity guidance visualizing the overall structure of participation/non-participation derived around sustainable development target education show that the two groups can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general,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detailed relationships. It wa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possible contribu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university students’ level as an effect of educatio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is study.

      • KCI등재

        학사경고 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사경고 관련 국내 수행 연구 8편을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각 연구에 포함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와 주요 변인(출판유형, 프로그램 개입 영역, 프로그램의 효과 영역, 프로그램 운영 형태, 대상, 통제집단 유무, 회기 수, 인원)을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4112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 프로그램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술지에 게재되었을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입 영역에서는 동기강화를 주제로 하였을 때, 프로그램 효과 영역에서는 시험 불안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 형태에서는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대상에서는 학사경고 2회 누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이 있을 때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프로그램의 회기는 10회기 미만의 회기 구성일 때, 프로그램 참여인원은 31명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학사경고자 대상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effects of the support program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To this end, 8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of various variables included in each study were calculated using meta-analysis method. Also,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uppor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and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publishment type, program intervention area, program effect area, program operation type, subjects, control group presence, number of sessions, number of people) were deriv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was -0.4112.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centering on the main variables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 when published in a journal. In the area of program intervention, the effect size was large for the topic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Also, in the program effect area, the effect size was large for the test anxiety. In the form of program operation, the program operat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and in the subjects of program,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th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accumulated twice was large. The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size. When it was less than 10 sessions,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31, the effect size was large. Lastly, we discuss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등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

        박태인(Tae In Park),정소미(Somi 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고등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이해’를 주제로 한 교양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55명과 고등교육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참여한 적이 없는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척도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첫번째 우선순위’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이 기여 가능한 목표에서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고등교육에서 실시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기획과 실제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wareness and effectiv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s important a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to help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our country’s higher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5 college students who taking the subject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50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never participa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lated to higher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measure of global civic awarenes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 found th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in the “first priority”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goals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help in the planning and the actual ope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의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3년제 대학의 유아 교육과 여학생 2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육실습을 다녀 온 학생 106명을 실험집단으로, 교육실습을 다녀오지 않은 114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교육실습 전과 후에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불일치 척도, 정서경험 척도를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실습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기불일치 중 이상적 자기,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긍정적 정서경험과 부정적 정서경험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후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긍정적 정서경험이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후의 이상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심리·정서적 개입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abou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 between pre and post-teaching practice. There were 220 particip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completed self-efficiency scale, self-discrepancy scale, and emotion experienc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homogeneity tes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t turned out that two groups were same. Second, after teaching practice,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Moreover,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negative emo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est. Finally, suggestions abou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effective us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74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긍정적 정서경험 척도, 정서인식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 정서인식,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 각각 유의미 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교사 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교육과 같은 방법을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emotion awareness and teacher efficacy between positive emo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by 74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sing positive emotion experience scale, emotion awaren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job satisfaction sca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measured variables. Also, structure equation model test about model of this study and goodness-of-fit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motion experience, emotion awarenes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emotion awareness had no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ird, teacher efficacy had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Fourth, emotion awareness and teacher efficacy had double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intervention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s’ counseling and training.

      • KCI등재

        대학 내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황영아(Hwang youngah),이선희(Lee Sunhee),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대학 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선행연구 고찰 및 요구조사를 토대로 프로그램(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14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보완하는 절차에 따라 최종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하였다.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건강한 대학생활을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목표로 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①‘진단 - 지원 - 적응 -성장’의 단계를 통한 개인의 성장 도모, ②학습자 요구 및 특성을 고려한 ‘정서·심리, 학습, 진로, 대학생활 적응’ 영역 설정, ③‘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지원’이다. 셋째, 세부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으로는 심리검사의 경우, 학령기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사에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심리검사를 추가하였다. 상담은 정서·심리(자기이해), 대학생활 적응, 학습, 진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은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애설계, 정신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주제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향후 성인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program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studies related to adult learners and a demand survey for adult learners,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14 experts. Based on the expert opinion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mple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aimed at learning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 order to ensure a healthy university life. Second,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ogram was ① facilitating personal growth through the stages of ‘Diagnosis-Support-Adaptation-Growth’, ② area division of ‘Emotions, Psychology, Learning, Care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consideration of adult learner needs and characteristics, ③ systematic support considering the level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 Third,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Psychological tests were add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Counseling centered on emotion, psychology (self-understand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learning, and career. Education included topics aimed at promoting life design and mental health,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ed a practical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and provided source for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adult learn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