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수준 및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정복희 ( Bok-hee Chong ),박진주 ( Jin-ju Park ),정상미 ( Sang-mi Chung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6 신경치료 Vol.20 No.2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raft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and function for patients dementia living in a local community. Methods A Craft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was conducted 10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on 9 patients with dementia who are admitted to nursing hom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and function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nd after 8 weeks using MOCA, K-MMSE, ACL, K-GDS, K-IADL, Grip Strength and 9-Hole Peg test. Results All the evaluation showed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except for MOCA. Conclusion The craft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dementia.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ous Craft program that would also require ongoing research i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hand function recovery of dementia.
일개 지역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
정복희(Chong, Bok-Hee),김정자(Kim, Jeong-Ja),양충용(Yang, Chung-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농작업자에게 스트레칭 운동을 적용하여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 대상은 28명의 일개 지역 농촌거주자가 참여하였으며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스트레칭군(n=13, 59.67±4.77세)과 대조군(n=15, 61.44±10.41세)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작 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신체 6부위에서 통증의 강도와 하루시기 중 통증변화에 따른 통증의 강 도를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트레칭군에서는 4주 동안 전체 12회의 스트레칭 치료가 실시 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통증의 특성에서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트레칭 적용 4주후, 스트레칭 군에서 팔/팔꿈치관절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관절부위와 하루 중 통증정도가 치료 전에 비해 그리고 대조군에 비 해 각각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스트레칭은 지역사회 주거 노인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의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management on musculoskeletal joint pain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farmers. The study included 28 residents who lived in a rural community. All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stretching group (n=13, 59.67±4.77 year-old) or the control group (n=15, 61.44±10.41 year-old).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Pain severity of 6 body areas caused by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ain severity on day time variations were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on a self-assessed questionnaire. The stretching group was administered stretching therapy (45 min, 2 sets, warming up and cool down, main exercise; total 19 stretching kinds of subset 5 fields) for 12 times for 4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eneral social and pain characteristics. After 4 weeks of stretching, the stretch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t almost all joint pain scores except arm/elbow, and day time variation scores of pain compared to both baseline scores, and with control group scor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tretching therapy is one of the most useful modalities to manage musculoskeletal pain in community-based elderly farmers.
IT 시대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정자,정복희,오명화,Kim, Jeong-Ja,Chong, Bok-Hee,Oh, Myung-Hwa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13세 미만의 장애아들 둔 아버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응답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38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장애아동과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K-PSI-SF)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K-PSI-SF 하위 항목 가운데 부모의 고통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까다로운 아동, 그리고 역기능적 상호작용 순이었다. 둘째, 아동의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스트레스는 진단명과 마비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al distress of disabled children's fat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 fa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ho are under 13 years old and undergoing rehabilitation treatment in G city And 38 questionnaires excluding data with inadequate answer were adop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general peculiarities of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thers, and K-PSI-SF of par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disabled children's fathers, parental distress got the highest score and difficult child and dysfunctional interaction are next in sequence in the sub items of K-PSI-SF. Secondly, fathers' stress upon the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iagnostic categories and paralysis area. Thirdly, fathers' stress upon fa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level and age.
일개 지역 보건소 및 경로당 이용 노인의 보행능력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
강은영(Kang, Eun-Yeong),정복희(Chong, Bok-He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이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보행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노인의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아 추후 보행능력에 따른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조기발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19년 3월 15일부터 동년 5월 31일까지 군산 보건소 및 군산시 부향 하나로 아파트 경로당을 이용한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MMSE-DS(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Dementia Screening)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평가를 진행하였고, GMWT(Groningen Meander Walking Test)를 이용하여 보행평가를 진행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지기능과 보행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s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과 보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의 U Test와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 결과 인지기능과 보행능력 요인 간 상관관계는 없었고 보행 시 변수요인 간 출발시간, 도착 시간, 시간 합만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인지기능과 보행능력간의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인지기능이 저하되더라도 신체기능이 좋은 경우 보행 능력이 유지되므로 노인에서 지속적인 신체활동과 하지근력 강화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realistic difficulties of social welfare in day care center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f 78 social workers working in daycare center in the area B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Questionnaire was 20 item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and needs on occupational therap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0.0. Results : Sixty-three (80.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know occupational therapy, and 63 respondents(80.8%) occupational therapy is necessary.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day care center said the occupational therapy is the most necessary to improv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and realistic difficulties to provide users occupational therapy include space shortage, burden on cost and so on. Conclusion : In order to implement occupational therapies at the daycare center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laws and suppor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establish the b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지역 요양시설 치매환자에서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의 인지와 손기능에 대한 효과
강은영(Kang, Eun-Young),정복희(Chong, Bok-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게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우울, 수부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일개광역지역 소재 요양원에 입소한 환자를 중심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9명의 전체 21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신체활동을 포함한 현실인식 훈련, 점진적 단어소실기법, 수공예 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심의 인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서 인지기능, 우울정도, 수부근력과 수부조화운동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5). 그 결과 본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은 치매환자에서 우울감소와 수부근력 및 수부조화운동,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유용한 중재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치매는 주로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조기중재를 통해서 환자의 잔존기능 유지와 사회복귀를 위한 다양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evaluate the effect of a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hands function for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local community.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f 10 weeks focusing on the occupational therapy i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2 on 21 patents (experimental group: 12, control group: 9) with dementia who are admitted to nursing homes in a metropolitan reg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level, hand strength, and hand coordination 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ognitive program (p<.05). In conclusion, the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dementia. Because the therapeutic goal for dementia treatment is mainly concentrated on the amelioration of dementia symptom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ous cognition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maintained the patient’s residual functional capacity and returned to the social community through the early detection and the early intervention.
김정기 ( Jeong Ki Kim ),백현희 ( Hyun Hee Paek ),정복희 ( Bok Hee Chong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visual perceptual therapy on recovery of visual perception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abilities of daily living activities for stroke. Method: 47 stroke patients received visual perceptual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MC in Jeonju. The half-hour daily therapy was conducted for 6 weeks for the individual patient who in total had 36 sessions. Result: The cerebral infarction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VPT raw score(p<0.001) and visual perceptual processing time(p<0.01). Both groups revealed highly significant scores at MMSE-K and MBI total score(p<0.001). Both right and left cerebral hemisphere impairment groups show marked difference at the scores of MVPT raw score and MBI total score(p<0.01), regardless of speech disorder MVPT raw score was highly significant(p<0.001)MMSE-K, MBI total score showed significant variances at the non-speech disorder group(p<0.001). Conclusion: Visual perceptual therapy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on recovery of visual perception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