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남자 높이뛰기의 기록변천 과정 연구

        정범철,빙원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4 스포츠인류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 남자 높이뛰기의 기록 변천 과정의 연구를 통해서 한국 육상 경기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남자높이뛰기의 최초기록은 1926년 조선-만주 대항대회에서 김영낙(개성)이 세운 1m66로시작이었다. 2년 뒤 장원천(경사)이 1m75를 기록하였고, 1937년에는 김원용(체신국)이 1m85를 수립하며 1m80대에 진입시킨다. 1939년부터1956년까지 기록이 정체되다가 1957년 이광호(춘천농대)에 의해 1m90에진입한다. 1970년대에는 박상수(고려대)의 활약이 돋보였는데, 그는 1971 년 최초로 2m를 넘었고, 1974년에는 2m13까지 끌어올린다. 1984~85년에는 신이식(서울체고-한체대)이 2m17부터 2m20까지, 1987~1990년에는 조현욱(진주고-부산대)이 2m22를 시작으로 2m26까지 기록을 높여갔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이진택의 시대였는데, 그는 1993년 최초로 2m30 을 넘었고 1997년에는 2m34까지 기록했으며 아시안게임에 2연패 및 세계대회에서 활약하였다. 20년간 가까이 기록이 정체되다가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우상혁(상무)은 2m35를 기록하였고, 2022년에는 2m36까지뛰어넘으며 한국 기록을 수립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history of Korean athletics through the study of record changes in the Korean men's high jump.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record changes in the Korean men's high jump,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ocess of record changes over time from 1926, when the first record was established, to the present day in 2024. Therefore, the process of record changes in the men's high jump was explored by categorizing the period of 1926-57 as the 'early development period of Korean jugendo', the period of 1957-97 as the 'international performance period of Korean men's high jump', and the period after 2000 as the 'world challenge period of Korean high jump'.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athletics.

      • KCI등재

        육상선수들의 사회적 지원과 회복탄력성 및 운동스트레스의 관계

        정범철 한국사회체육학회 201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eilince of athletes on exercise stress. The result 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athletes on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coach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ptimism and relationship. Friend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ympathy ability,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athletes on exercise stress was examined. Coach support showed negative effect son athlete ‘s environmental exercise stres s and exercise stress during training. Third, the effects of relsiei nce of athletes on exercise stress were examined.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showed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exercise stress, exercise stress during training, and exercise stress during competition. Causa lanalysis had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 l stress and exercise stress except exercise stress during the race. Communication had negative effect on exercise stress during competition except environmental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stress during train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육상 남자 세단뛰기의 한국기록 변천사

        정범철,박영준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 남자 세단뛰기의 한국기록변천과정을 경기기록사 방법으로 첫 한국기록이 수립된 192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살펴보았다. 남자 세단뛰기의 첫 한국기록은 1926년 조선신궁대회에서 용산중의 김한태가 세운 13m20이었다. 1934년에 이용학(대구고보)이 14m08의 기록을 경신하면서 14m대에 진입하였다. 1937년부터 1941년까지 김응권은 15m23을 시작으로 하여 15m86까지 당시에 세계적인 기록을 수립하며 한국 세단뛰기의 기록 발전에 앞장섰다. 이후 41년간 기록이 정체현상을 보이다가 1984년 한체대의 박영준이 15m89의 새로운 한국기록을 수립하며 16m37(1987)까지 기록을 끌어올리며 16m에 진입한다. 1990년도에 들어서면서 성남시청의 박민수는 16m40을 시작으로 16m73까지 기록하였다. 2005년에 김덕현(조선대)은 16m78을 수립하였고, 2006년에 17m10 의 한국기록을 세우며 한국남자 세단뛰기는 17m벽을 돌파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record transitional process of Korean men’s triple jump from 1926 when the first Korean record was established to 2019 through the method of event record history. The first Korean record of men’s triple jump was 13m20 established by Kim, Han-Tae of Yongsan Moddle School, in Joseon Singung Competition of 1926. The record entered the range of 14m when Lee, Yong-Hak(Daegu High School) broke the record of 14m08 in 1934. From 1937 to 1941, Kim, Eung-Kwon led the record development of Korean triple jump by setting the world-class records of the time, starting from 15m23 to 15m86. After that, the records for 41 years were stagnant. In 1984, Park, Yeong-Joon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established a new Korean record of 15m89, and then raised the record to 16m37(1987), which was the moment of entering the range of 16m. In 1990, Park, Min-Soo of Seongnam City Hall established records from 16m40 to 16m73. In 2005, Kim, Deok-Hyeon(Chosun University) established a record of 16m78. When he set the Korean record of 17m10 in 2006, Korean men’s triple jump broke through the wall of 17m.

      • KCI등재

        장대높이뛰기 선수의 운동과정과 삶에 대한 질적연구

        정범철,빙원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대높이뛰기 선수의 운동과정과 삶을 조명하여 장대높이뛰기 선수들을 이해하고 장대높이뛰기의 스포츠문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결과 첫째, 장대높이뛰기 선수들은 육상종목 선수로 출발했지만, 중학교 이후 선생님의 권유로 종목을 전환하였다. 하늘을 나는 쾌감 등의 매력으로 장대높이뛰기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은 종목의 특성상 높이와 바람이라는 외부환경에 대한 공포, 그에 따른 부상에 대한 두려움(트라우마)을 겪고 있다. 셋째, 선수들은 적은 인프라와 얇은 선수층 임에도 불구하고 국가대표로서의 자부심과 외국인 지도자의 신뢰로 인해 만족하고 있었다. 결론 장대높이뛰기 선수들의 운동과정과 삶을 이해하는 이 기획을 통해 대한민국 장대높이뛰기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으며, 장대높이뛰기에서도 제2의 우상혁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육상 남자 800m의 한국기록 변천사

        정범철,김복주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육상 남자 800m의 한국기록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첫 한국기록은 1926년 조선신궁대회 에서 황대선(평북)이 세운 2분14초3이었다. 1932년부터 41년까지 오태경(진남포)과 손기정(양정고), 류장춘(체신 국), 김혁진(동경)이 기록을 경신하였고 마라톤의 손기정도 800m에서도 활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947년에 이윤석 (고려대, 1분57초1)에 의해 2분대를 돌파하였다. 1954년부터 58년까지 심상옥은 4차례 한국기록을 수립하며 1분52 초3까지 단축시켰다. 1960년 초반은 정경모(1분51초8)가 기록을 경신하였고 후반에는 박석관이 활약하며 기록을 단 축시켰다. 1981년에 김복주는 1분48초47로 1분50초대로 단축하는데 성공한다. 그는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에서 금 메달을 차지하며 한국 800m가 아시아에서 정상에 서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90년에 이진일(경희대)는 1994년 과 98년 아시안게임을 대회 2연패를 비롯해 총 3회의 한국기록을 경신한다. 그는 94년 종합선수권에서 1분44초14의 기록으로 대기록 수립하였다. 2000년 이후 아시아 육상은 중동국가의 아프리카 귀화선수들을 중심으로 한국 800m 선 수들은 설자리를 잃어갔다. 한국 남자 800m는 이처럼 한 때 아시아에서 최강이었기 다시 우리의 찬란한 위상을 되찾길 바란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men's 800m race in Korea are reviewed. The first Korean record was 2:14.3 made by Hwang Dae-seon(Pyeongbuk) at Joseon Shrine Athletic Meeting in 1926. From 1932 to 1941, Oh Tae-gyeong(Jinnampo), Son Kee-jeong(Yangjeong High School), Ryu Jang-chun(Chesinguk) and Kim Hyeok-jin(Donggyeong) renewed highest records, and Son Kee-jeong of marathon also took an active part in 800m race. In 1947, the record of faster than 2 minutes was made by Lee Yun-suk(Korea University, 1:57.1) in 1947. From 1954 to 1958, Sim Sang-ok established Korean records four times and shortened record to 1:52.3. In early 1960s, Jeong Gyeong-mo(1:51.8) broke the record, and in late 1960s, Park Suk-gwan shortened record. In 1981, Kim Bok-ju succeeded in shortening record to faster than 1:50 by establishing 1:48.47 of record. He won gold medal at Seoul Asian Games in 1986, playing a critical role in making 800m race of Korea the best in Asia. In 1990, Lee Jin-il(Kyunghee University) broke Korean records three times including the first place at Asian Games in 1994 and 1998. He set a milestone at All-round Championships in 1994 with 1:44.1 of record. After 2000, the status of 800m race in Korea fell greatly in Asian Athletics due to African athletes naturalized to Middle East. Men's 800m race of Korea used to be the best in Asia, so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glorious status will be rest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