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납 투여된 마우스의 신장에서 활성탄 처리 효과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정민주,윤중식,정경아,김영호,노영복,Chung, Min-Ju,Yoon, Jung-Sik,Chung, Kyung-A,Kim, Young-Ho,Roh, Young-Bok 한국현미경학회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2

        본 연구는 마우스에 납이 투여되었을 때 납독성에 대한 활성탄 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은 8주령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남(30mg/kg)과 활성탄(40mg/kg)을 1일/1회씩 경구 투여하여 3주, 6주째에 신장을 적출해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납 단독투여군의 경우 사구체에서는 기저막이 두꺼워지고 돌출현상이 나타났으며 족돌기의 융합 현상이 나타났다. 세뇨관 세포에서는 미세융모의 소실이 나타났으며 세포질의 상부에 크고 작은 액포, 미세소체, 용해소체가 중가되었다. 사립체, 무과립형질내세망 및 과립형질내세망 수조 내강의 팽대와 과립형질내세망으로부터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납-활성탄 투여군의 경우 사구체에서 기저막은 층의 구분이 뚜렷하였고 족돌기는 규칙적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세뇨관 세포에서 미세융모의 변화는 없었으며 액포, 미세소체, 용해소체의 수가 감소되었다. 기다란 모양의 사립체와 리보솜이 부착된 과립형질내세망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EM상에서 납 단독투여군에 비해 납-활성탄 투여군에서 조직학적 손상이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어 활성탄이 마우스의 신장에 미치는 남의 독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For investigation of the activated carbon on the mouse kidney treated with Pb, the activated carbon (40 mg/kg) and Pb (30 mg/kg) were treated orally for three and six weeks, respectivelly, and observed by the electron microscope. On the glomerulus of the group with only Pb, the basal membrane thicked, projected, and the foot processes fused. O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the number of microvilli were decreased and the number of vacuoles and lysosome increased on the cytoplasm. The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um were extended and ribosomes dropped from the ER. On the giomerulus of the group with Pb-activated carbon, the basal membrane and the foot processes were merely changed. O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the shapes and number of microvilli were not changed and the number of vacuoles, microbodies, and lysosomes decreased. The shapes of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um observed almost similar with control group. Th at is, elongated mitochondria and attached ribosomes to endoplasmic reticulum. As result, the activated carbon has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oxicity of lead in the mouse kidney in the view of electron microscope.

      • KCI등재

        활성탄이 납 중독된 흰쥐의 간장에 미치는 조직학적 연구

        정민주,노영복,Chung, Min-Ju,Roh, Young-Bok 한국현미경학회 2002 Applied microscopy Vol.32 No.2

        본 연구는 흰쥐의 간장에서 납 독성에 대한 활성탄 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은 $7{\sim}8$주된 150 g 내외의 Sparague-Dewley계 웅성 Rat를 사용하였다. lead acetate (500 ppm)를 1주 2회 복강 투여하였고 활성탄(40 mg/kg)을 1일/1회씩 경구투여하여 4주, 8주째에 간장을 적출해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납 단독투여 4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핵은 약간 함입되어 불규칙하였으며 핵막은 팽대되어 내외막과 핵공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납-활성탄 투여 4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은 리보솜이 부착된 정상적인형태로 관찰되었다. 다수의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핵은 둥근 형태로 관찰되었다. 납 단독투여 8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더욱 심하게 팽대되어 공포화를 나타냈다. 사립체는 더욱 팽창되서 사립체능이 절단, 손실되어 낮은 전자밀도를 나타냈다. 핵은 약간 함입되어 불규칙하고 핵막이 팽대되었다. 납-활성탄 투여 8주군은 일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팽대되었으나 리보솜이 부착된 정상적인 형태로 핵 주위에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사립체는 약간 팽창되었고, 핵은 정상으로 보였다. For investigation of the activated carbon in the rat liver toxicated by lead. Aniamls used $7{\sim}8$ weeks to Sparague-Dewley rat (150 g). The lead acetate (500 ppm) were injected and activated carbon (40 mg/kg) were treated orally for four and eight weeks, respectivelly, and observed by the electron microscope. The group with only lead for 4 weeks, The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were extended and ribosomes dropped from the rER. The group with lead-activated carbon for 4 weeks, The number of lysosomes increased. The shapes of nucle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observed almost similar with nomally. The group with only lead for 8 weeks, The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were more extended. The group with lead-activated carbon for 8 weeks, the nucle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as observed nomally.

      • KCI등재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실행에 나타난 문제양상과 지도 방안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실행에 나타난 문제 양상을 탐색하고, 국어과 예비 교사들에게 필요한 수업 실행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 지역 A대학교 국어과 예비 교사 45명의 수업 자료와 심층 인터뷰 자료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 예비 교사들이 수업 목표와 관련하여 동기 유발 활동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 수업에 필요한 지식이나 개념을 불완전한 형태로 변환하는 문제, 교수법을 잘못 적용하는 문제, 교실 의사소통에 능숙하지 못한 문제, 수업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런 문제들이 국어 교과 내용 지식과 교수 내용 지식의 문제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고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업 실행 전략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반성적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atic aspects occurr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taught by pre-service teachersFor this purpose, subject instructions implemented by 45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in Daejeon were examined and Some of them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probl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blems faced by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a failure to appropriately propose motiv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course objectives in the class, inappropriate explanations on the concepts necessary for the class, application of in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s,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lassroom, and finally, inadequate evaluation of course contents. And then, this study proposes reflective teaching portfolio activities as a strategy to solve these problems.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비한 국어과 "갈등 해결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정민주 ( Min Ju Chung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28

        This study focused on ‘conflict resolution skills’, which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critically reviewed how these skills are cover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discuss how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covered in preparation for the switch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conceptualized conflict resolution skill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by OECD (2005) and studies on Korea language curriculums. This study reviewed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content currently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review revealed the following negative aspects: (1) the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content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concentrated in the stage of middle school; (2) conflict resolution content is mostly segmented into ‘conversation’, ‘discussion’, and ‘debate’; (3) there is redundant detailed content in the same learning stage; and (4) content elements related to conflict resolution skills are either insufficient or biased toward one side.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a change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협상의 개념과 전략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본고는 대인간 갈등 대처 능력에 대한 교육적 필요성을 인식하고, 갈등에 대처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서 ``협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협상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협상의 국어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상의 개념과 전략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국어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 하였다. 기존의 협상 개념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재개념화하기 위해서 협상의 개념적 속성을 검토하되, 기존 집단 화법 유형인 토론, 토의와 어떻게 변별될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불어 협상 참여자의 양면적 성격을 국어교육 관점에서 어떻게 주목해야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협상 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이익`` 변인의 특성을 살피고, 추구되는 이익에 따라 달리 활용될 수 협상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협상은 참여자들이 추구하는 이익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전략이 있으며, 타협 전략은 네 가지 전략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협상 전략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협상 전략이 화법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으로 상위 인지 활동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Negotiation on the Korean Education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e concept and strategies of Negotiation and is investigated the way in which we apply them to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re-conceptualized Negotiation on the Korean Education perspective. and draw a comparison among group communication genre. And also, It focuses on Negotiation strategies and a variable factor, ``interests`` which affects strategies. and I discuss four types of strategy according to one`s aims to negotiate. Finally, I suggest that negotiation strategies can be used through meta-cognition practice for applying to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 KCI등재

        국어 교과서 협상 단원에서의 ‘서희 협상’ 제재 활용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정민주(Chung, Min-ju)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적 사례인 ‘서희 협상’이 현재 국어과 협상 단원 제재로서 빈도 높게 다뤄지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해당 사례가 협상 담화의 교수․학습 제재로서 적절하게 구현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희 협상’은 고려 성종 12년에 발생한 고려와 거란의 전쟁에서 거란의 장수였던 소손녕을 상대로 서희가 담판을 벌여 전쟁을 막고 강동 6주를 회복시킨 성과를 냈던 역사적 사건을 이른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서희 협상’ 관련 선행 연구와 국어과 협상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분석 기준을 설정하고 교과서에서 ‘서희 협상’ 제재를 활용한 방식이 협상 교육 관점에서 적절한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상 전 갈등 상황을 알 수 있는 맥락 정보를 축소하여 제시한 경우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려와 거란이 외교적 단절 상태였던 배경 정보와 협상 전에 거란이 고려를 공격했던 두 번의 전투에 대한 정보를 축소하거나 아예 생략한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협상이 벌어진 상황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라 할 수 있다. 둘째, 협상에서 갈등 당사자들이 드러내는 표면적 문제와 그 이면에 담긴 근원적 요구를 학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단원이 구현되지 못한 경우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거란이 고려를 침략한 이유와 관련하여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근원적 요구가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부족하였다. 이는 협상의 내용 요소인 ‘상대방의 근원적 요구 파악하기’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던 협상 전략의 사용 맥락을 구현하지 못한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협상 교육 관점에서 협상 전략은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재 글에서 협상 전략을 단순히 찾아 적는 활동에 그쳐 있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whether this case is properly implemented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the discourse of negotiation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Korean historical case of ‘Seo Hui’s negotiation’ is frequently covered as material for the negotiations chapter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eo Hui’s negotiation’ refers to the historical event in which Seo Hui negotiated with Khitan (Liao) general Xiao Sunning in the war between Goryeo and Khitan in Year 12 of King Seongjong’s reign, which prevented a full-scale war and regained six counties of Gangdo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 of negoti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evious studies on ‘Seo Hui’s negoti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and standard for research, and examined whether the way this material of ‘Seo Hui’s negotiation’ is used in the textbook is appropriate in terms of education in negotiation.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ases in which information on certain context that showed the conflicts before negotiations was reduced. More specifically, the background for the diplomatic cessation between Goryeo and Khitan, or information on the two battles in which Khitan attacked Goryeo before the negotiations, was reduced or omitted altogether. This can be an issue because learners could not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 negotiations were made. Second,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the chapter failed to convey the problems on the surface revealed by the parties of conflict in the negotiations, as well as their hidden fundamental demands. More specifically, the chapter did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true fundamental demands of Khitan with regard to why they invaded Goryeo. This does not help students learn the main function of negotiations, which is ‘capturing the fundamental needs of the others’. Third,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context of using the negotiation strategy that had led the negotiations to success was not provided. In terms of education in negotiation, negotiation strategies must be presented in a way that learners can actually use and apply to real life. However, the activities merely required students to find the negotiation strategies within the text, not having them applied to the real context.

      • KCI등재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에 관한 고찰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연구는 예비 교사의 수업 실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에서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을 고찰하였다. 효과적으로 수업 목표를 제시한다는 것은 학습자들이 수업 목표를 능동적으로 이해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습 동기 유발 활동과 연계하여 수업 목표를 제시해야 하고, 그 과정에 학습자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비 교사들의 수업 실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업 목표와 동기 유발 활동의 배치 양상과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이라는 동기 유발 요소를 활용한 수업 목표 제시 양상 세 가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각 양상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도 함께 지적하였다. 그리고 예비 교사들이 수업 목표를 도출하는 과정에 학습자들을 어떻게 참여시키는지 살펴본 결과, ``교사 주도형``과 ``교사·학생 대등형`` 양상 두 가지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교사 주도형`` 양상이 주로 발견되었다. 예비 교사들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을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 교사의 수업 실행 능력 제고 차원에서 학습 동기 유발과 수업 목표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전략들을 다양화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 목표를 제시하는 데에 학습자를 능동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교수 화법 전략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 논의를 시작으로 예비 교사 교육의 실질적인 지도 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of presenting the learning goals of ones who will soon teach students in Korean language class for the goal to improve teaching ability of pre-teachers. Under the suggestions that the learning goals must be presented in line with motivation strategies for learners` to understand learning goals voluntarily, this study analysed the matters of their teaching-learning scenes. As a result, it found out the differences in presenting learning goals utilizing motivation factors, and disposition types between learning goals and motiv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pre-teachers used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 factors in order to draw learning goals. In the cases where interests of learners were utilized and where interests and relevance of learners were utilized, it discovered a problem aspects. When the learning goals was shared by students and pre-teachers to achieve it effectively, ``teacher leading type`` and ``teacher-student equality type``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irst, it needs to teach the way to link learning goals with motivation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bility of pre-teachers. Second, it needs to teach effective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hich leads students to understand learning goals with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실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협상 담화의 교과서 실행 양상 탐구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를 강조한 국어과 교육과정 관점에서 `협상` 담화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실제` 중심 교육과정의 의도가 학교 현장에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특정 담화 유형과 제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담화의 실제적 맥락을 제공할 수 있는 담화 생산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본고는 현행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어떻게 실행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협상` 담화 관련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 구현 양상의 적합성을 검토해 보았다. 9학년 교과서 12종을 협상 담화의 유형 및 제재, 협상 담화의 내용요소를 차원에서 검토한 결과, 동일한 성취기준인데도 교과서마다 다르게 해석하여 구현한 양상을 포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협상 담화의 생산 측면에서 볼 때, 내용요소 간 통합 양상이 외형적 통합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협상 담화의 실제 맥락을 구현해 내지 못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chievement standard of negotiation discourse is embodied i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emphasizes actuality. To properly put into practice the intentions of the curriculum, discourse production activities providing an actual context for discourse based on precise understanding of specific discourse patterns and topics must be offered to learners. Keeping this in mind, this study reviewed the suitability of textbook implementation by focusing on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the negotiation discourse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is implemented in textbooks. A review of 12 types of ninth-grade textbooks at the level of negotiation discourse patterns and topics and of the elements of content in negotiation discourse showed that individual textbooks implemented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However, despite such diversity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negotiation discours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content was merely external and the actual context of negotiation discourse was not implemented.

      • KCI등재

        화법 교육을 위한 협상 담화 절차의 구조화 방안

        정민주(Chung, Min-ju)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9

        본 연구의 목적은 협상 담화 수행 절차의 교육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학습자들이 협상 담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육용 절차를 구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협상 과정의 구조를 ‘협상 실행 과정’과 ‘협상 담화 수행 과정’으로 나눠 살피고 협상 과정 및 절차에 대한 논의를 교육과정과 협상 이론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선행 논의를 바탕으로 협상 담화 절차를 ‘시작-조정-해결’ 3단계 아래 8개의 하위 행동 요소로 구조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시작 단계에서는 ‘입장 및 요구 사항 표명하기’, ‘의제에 대한 협상 가능 범위 공표하기’를 설정하였고, 조정 단계에서는 ‘정보 탐색을 위한 질문하기’, ‘상대방의 답변 점검하기’, ‘대안 제시 및 정당화하기’, ‘상대방 대안을 수용하기 위한 조건 제시하기’를 설명하였으며, 해결 단계에서는 ‘최종 합의안 확정하기’, ‘합의 이행을 위한 합의문 작성하기’를 설정하였다. 시작 단계와 해결 단계는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조정 단계는 각 하위 요소를 회귀적으로 넘나들며 수행하도록 설정하였다. 더불어 학습자의 협상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에서 협상 담화 절차를 교수․학습할 때 유의점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educational procedures for learners to efficiently perform negotiation discourse. To this end, the structure of the negotiation process was first divided into a “negotiation execution process” and “negotiation discourse process,” and the discussion of the negotiation process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curriculum and negotiation theory.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negotiation discourse procedure was structured into eight sub-elements under the “opening-problem solving-resolution.” Specifically, the components “expression of position on the issue” and “publication of negotiable scope” were placed in the opening stage, “questioning for information search,” “checking for counterparty answers,” and “proposing and justifying alternatives”, “presenting conditions for accepting the other person’s alternatives” were placed in the problem-solving stage, “confirming the final agreement” and “writing an agreement for implementing the agreement” were placed in the resolution step. The opening and resolution stages were based on sequential execution, but the problem-solving stage was set to be performed regressionally across each sub-element. In addition, points to note when teaching and learning the negotiation discourse procedure in the vein of cultivating a learner"s negotiation competence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고부 갈등 대화에 나타난 불평 화행의 실현 양상과 교육적 시사점

        정민주(Chung, Min-ju) 국어교육학회 2017 국어교육연구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versations between wives and mothers-in-law in multicultural households, which are more likely to see conflicts of varying degree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s, so as to seek out better communication education for multicultural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its analysis on the strategic criteria and context of complaint speech acts observed between wives and m others-in -law in multicultural households.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direct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included ‘criticizing the other’s action s’ and ‘direct reproach ’, while in the case of indirect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stating justifications’ and ‘roundabout criticism’ were the most commonly observed. Looking at the context wherein the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were actualized , ‘criticizing the other’s actions’ and ‘stating justifications’ were found commonly in the speech of both wives and mothers-in-law. In particular, the strategy of ‘stating justification s’ occurred in the speech of mothers-in-law who wanted the wives to comply with the Korean lifestyle or way of thinking, as well as in the speech of wives who sought to explain how their actions were justified. Also, ‘direct reproach’ was observed only in the speech of mothers-in-law,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the mother-in -law ’s higher social standing relative to the wife. We also found that, on occasions where wives followed the ‘roundabout criticism ’ strategy, this was met with forceful complaint speech acts on the part of mothers-in-law . Specifically, when wives responded to complaints fromm others-in-law with speech such as “I’ll do as I see fit” and “Leave me be”, these responses were found to provoke forceful complaints on the part of mothers-in-law.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derived the implication that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multicultural learners should be carried out in view of ‘mutual adjustment and conci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