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여성 연구

        정민아(Jeong, Minah)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5

        본고는 서구화된 대중문화가 형성되어 가다가 전쟁으로 상황이 급변하게 된 1930년대 일본에서 영화의 여성 재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는가를 오즈 야스지(小津安二郞)로 영화들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본다. 가장 일본적인 감독이라고 평가받는 오즈가 전통과 현대성의 충돌이라는 주제 아래 자신의 금욕적인 스타일을 확립하기 전인 1930년대에 연출한 <비상선의 여자(非常線の女)>(1933)와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淑女は何を忘れたか)>(1937)의 신여성 재현의 변화를 탐구한다. 본고는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1930년대 일본의 근대성과 내셔널리즘, 젠더담론, 정치로서의 근대문화의 복합적인 의미 변화를 담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도회주의와 유미주의, 소비문화의 시대였던 1920년대를 거친 후 전시체제가 확립되어가던 1930년대는 일본적인 것에 특권을 구하는 내셔널리즘이 전면에 부상하는 제국주의 문화로 재편되어갔다. 193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일상의 담론에서 변화되어가는 일본 모더니티가 이 시기 오즈 영화에서 나타나는 양상은 흥미롭다. <비상선의 여자>는 모던걸과 일본 전통적 여성의 대립 쌍에서 출발하여, 모던걸이 일본적 전통 여성상을 추구하는 것을 통해 좋은 여자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결말을 취한다. 이는 당시 젠더와 계급의 경계를 교란하던 모던걸을 향한 논란을 남성적 시각에서 정리하는 이데올로기 기능을 수행한다. 1937년 전시체제와 함께 신여성 담론은 현모양처론으로 공고화된다.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는 남성의 가정 내 권위를 돕는 현모양처인 가정주부로서의 여성상을 강조함으로써 당시 전개되었던 통합과 배제의 군사화된 국가 이데올로기에 동조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를 통해 본고는 국가적 통제가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시기인 1930년대 일본 사회에서 작가감독의 영화도 사회의 통제 체제를 피해갈 수 없었다는 점을 증명한다. Analyzing Ozu Yasujiro’s works will reveal how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Japanese films of 1930s when the course of westernizing of popular culture is abruptly hindered by a war. There are notable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New Woman in Dragnet Girl(1933) and What Did the Lady Forget?(1937). Those films of 1930s had been directed by Oz Yasujiro before he established his own ascetic style with the theme of conflict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he changes of representations mea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 in the discourses of Japanese modernity, nationalism, gender and modern culture as politics. Having gone through the 1920s of urbanism, aestheticism and consumer culture, in 1930s when the whole Japan was on a war footing, the modern Japanese culture was reorganized into an imperialist culture with nationalism in front. Ozu’s films of 1930s show changes of Japanese modernity in everyday discourses. Dragnet Girl opens with the opposition between a modern girl and a traditional Japanese girl, and concludes that the modern girl can be reborn as a good woman by following after the traditional Japanese womanhood. Its ideological effect lies in the fact that a controversy over ‘modern girls’ who had been disturbing to the social boundaries of gender and class was subsided by a masculine standpoint. When Japan entered into the war regime in 1937, the discourse of New Woman turned into a discourse of a good wife and wise mother. What Did the Lady Forget? highlights the character of a housewife who helps a man to keep his domestic authority, and collaborates with the militarized state ideology on integration and exclusion.

      • KCI등재

        이미지 없는 목소리, 아쿠스메트르에 대하여

        정민아(Jeong Minah)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5

        Even though film was bom without sound., sound has been in company with film exhibition. Because live music has been played, or explicateurs have stated stories even during the silent film era. In addition, voices of silent film have been in company with characters. Audiences have seen the voices by lips-movement of characters before insert titles. Audiences could paradoxically hear with their eyes, even if they could not hear with their ears. Nevertheless, film history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image, visuality and spectacles. In comparison, it is hardly to be said that the sound study in film has been actively proceeded. I will firstly scrutinize the sound theory of Michel Chion, who is one of the first theorist studying sound's characteristics over image in film, to analyze and discuss characters' voices without a perfect image-entity on the screen. Therefore I use Chion's original terms such as to read the implied meanings of Voice of a Murderer(2006) and Voice(2005), in which voices as characters in films drive narratives.

      • 스마트 시대 확장된 수행적 다큐멘터리

        정민아(Minah Jeong)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9 디스포지티프 Vol.6 No.-

        스마트 시대에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서비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뮤직비디오,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클립 등 엔터테인먼트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시사보도나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하나의 완성형 대안 플랫폼으로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다. 이에 다큐멘터리도 다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다큐멘터리는 특정 시기마다 나타난 새로운 움직임에 의해 발전해왔다. 주요 상영 기반이 극장에서 텔레비전으로, 그리고 온라인으로 이어지고, 21세기에는 유튜브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으로 양적으로 성장하고 형태 변신을 꾀하고 있다. 스마트 시대는 영화미학, 스크린 시공간을 다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그것이 생산한 네트워크 문화에 기초하여 생산자와 사용자의 위치 재구성을 촉진한다. 스마트 시대의 다큐멘터리는 현재 두 가지 주요 양식을 증대시키고 있다. 첫째, 기존 다양한 영상 소스들을 활용하는 편집 다큐멘터리, 둘째, 창작과 배급이 제도권 바깥에서 이루어지며 누구든지 도전하여 완성까지 도달할 수 있는 1인 크루 다큐멘터리 등이다. 스마트 시대 관객 또한 이러한 두 가지 증폭된 양식에 능동적인 수행자로서 참여한다. ‘보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으로서의 영화는 다큐멘터리의 수행성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보장한다. 본고는 최근 편집 다큐멘터리 및 1인 다큐멘터리의 사례를 통해 스마트 시대에 수행적 다큐멘터리가 어떤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In the smart era, SNS services such as YouTube, Twitter and Facebook, and OTT services are already near us as an alternative platform for news reporting and documentaries, as well as entertainment means such as music videos, movie or broadcast program clips. In response, documentaries are evolving into different forms. Documentaries have been developed by new movements at certain times. The main screening base runs from theaters to television and online, and in the 21st century, it is growing quantitatively and seeking to change its form based on a new platform called YouTube and OTT services. The smart era has not only diversified film aesthetics, screen time and space, but also facilitates repositioning of producers and users based on the network culture it produces. Documentaries in the smart era are now increasing two main forms. First, editorial documentaries utilizing existing diverse video sources, second, one-person crew documentaries where creation and distribution are conducted outside the institutional sphere and anyone can challenge and reach completion. Smart era audiences also participate as active performers in these two amplified forms. The film as "experience," not "see," guarantees the performance of the documentary in more diverse forms. Through the examples of recent compilation and one-person documentaries, this paper examines what forms of performing documentaries are being made in the smart era.

      • KCI등재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정민아(Jeong, Minah) 한국영화학회 2013 영화연구 Vol.0 No.58

        In November 26th, 2012, Institute for Research in Collaborationist Activities has released documentary Hundred Years’ War in Korea through Youtube site. After releasing the documentary produced by four documentary makers for a year, heated dispute has been risen among scholars, media and netizen. Controversy around Hundred Years’ War in Korea has become a social big issue wi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2012. After then, Society of the Propagation of Ideology for Founding Nation and New Daily-Syngman Rhee Forum have brought out documentary The Way of Life which has been produced to be opposed to Hundred Years’ War in Korea in March, 2013 through Youtube, too. Hundred Years’ War in Korea and The Way of Life have recorded enormous views in a short term and have drawn concerns from people with interest on Korean modern times. This article analyses documentary Hundred Years’ War in Korea, and tries to search for meanings of this documentary in terms of a documentary form and content. Also, this study diagnoses the possibility of documentary in the age of Youtube with this documentary which uses Youtube as new platform for documentary and attempt enlargements of persuasive documentary.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new documentary style which has been vitalized by new platform for distribution in the digital era, and explore its consequential meaning in the documentary history.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s interactive effects among the work and audience occurred from digital media.

      • KCI등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양식적 진화

        정민아 ( Minah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다큐멘터리 연구는 빌 니콜스의 양식 분류법에 따른 정의에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제작자의 목소리 개입 유형에 따라 여섯 가지 양식으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다큐멘터리 시장 확대, 뉴미디어 환경, 상영 플랫폼 변화 상황, 여기에 정치적 이슈와 맞물려 다변화하고 있는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를 볼 때, 위 분류 방식은 한계를 가진다. 본고는 21세기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를 새롭게 분류하고 이론화하고자 제작자 정체성, 영상산업 환경, 상영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액티비즘 다큐멘터리, 휴먼 다큐멘터리, 저널리즘 다큐멘터리, 아트 다큐멘터리 등 네 가지 양식을 개념화한다. 본 연구는 한국 다큐멘터리를 스타일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각각의 다큐멘터리 양식이 현재 어떤 특징을 가지고 진화하고 있는지 정의내림으로써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연구의 기틀을 다지고자 하는 의의를 가진다. Documentary film studies have largely influenced by Bill Nichols’ definition of documentary styles which is categorized by six styles according to the type of voice intervention by the filmmaker. However, Nichols’ classification has limitation in analyzing current Korean documentary films that are diversify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ocumentary film market, the new media environment, changes in screening platforms, and political issues. In order to theorize Korean documentary films in the 21st century, this paper conceptualizes four styles: activism documentaries, human documentaries, journalism documentaries, and art documentaries based on filmmaker identity, cinema industry environment, screening platform, and so on. The meaning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Korean documentary film studies by categorizing documentaries based on their styles and defining what characteristics each documentary style is currently evolving.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과 담론 전개 방식

        정민아(Jeong, Minah)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68

        2016년을 시작하며 한국 사회를 들끓게 하는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기름을 부은 또 하나의 사건이 있었다. 일본군 ‘위안부’를 연구한 학술서인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 박유하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명예훼손으로 불구속 기소된 사건이다. 그녀는 일제의 총칼에 ‘강제로 납치된 어린 소녀’라는 고정된 위안부 상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위안부의 실체를 일제의 조선 식민지 지배 성격과 연관하여 설명하는 것에서 나아가 동원의 ‘강제성’보다는 ‘자발성’에 방점을 찍는 논리를 폄으로써 조선 내부의 가해자를 지목한다. 그간 ‘위안부’ 문제가 미디어 재현물로 그리 많이 만들어지지는 않았다는 사실은 조금 놀랍지만, 다큐멘터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진지하고 성찰적으로 다루어졌으며,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최초의 일본군 ‘위안부’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1995)는 한국 최초의 극장 상영 다큐멘터리다. <낮은 목소리>는 이후 시리즈로 2편(1997)과 3편(1999)이 더 만들어졌다. 그 밖에 <침묵의 소리>(1998),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2007), <그리고 싶은 것>(2012) 등이 있다. 그리고 2015년에 ‘위안부’ 문제에 이전과 다룬 관점으로 접근하는 <레드마리아2>(2015)가 제작되었다. 본고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담론화된 1990년대 초를 기점으로 1995년에서 2015년까지 만들어진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3부작,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레드마리아2> 등 5편에서 ‘위안부’ 담론의 변화와 함께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의 다양한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낮은 목소리> 연작의 ‘위안부’ 피해자를 카메라에 담기, 알리고 이해하기를 거쳐,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의 한국과 일본 여성들과의 연대 투쟁, 그리고 <레드마리아2>의 가부장적 민족주의 시각에서의 ‘위안부’ 담론에 대한 비판까지 ‘위안부’ 다큐멘터리는 다양한 시각으로 현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들은 20년에 걸쳐 다채롭게 발전한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양식의 변화도 잘 보여준다. 여성에 대한 폭력 일반은 개개인의 우연적이고 사사로운 갈등에 의해서가 아닌, 사회전체 구조로서의 성차별과 관련되어 있다. 전쟁이나 무력 갈등 시 상대편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정치적 입장을 막론하고 남성들의 중요한 투쟁 전략의 일부다. 따라서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몸은 남성들의 상징적 전쟁터가 된다. 강제이건 자발적이건 간에 타인의 신체를 침해하는 것은 어떠한 논리를 동원한다해도 부정의하다. 20년에 걸친 ‘위안부’ 재현 미디어는 ‘위안부’ 담론의 진화와 함께 이러한 인식에까지 나아가고 있다. ‘The Comfort Women’ issue represents the worst sufferings of colonized Korea and necessarily became the biggest ground for the present anti-Japanese sentiment. There are various signified found in the issue; the paradigm of patriarchal nationalism rendering the issue as disgrace to the nation, and performativity that the subaltern declare themselves as a historical agent and overpass the nation. The beginning of the year 2016 saw another incident adding oil to fire of ‘the Comfort Women’ issue that had already been boiling up Korean society. Park Yu-ha, the author of a book entitled The Imperial Comfort Women, an academic research on the Japanese army’s sex slaves, was indicted on the charges of defamation to the victims. In the book she protests against the stereotype of ‘a young girl kidnapped’ at gunpoint of Japanese army. Explaining the reality of the comfort women in relation with the n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underscoring ‘spontaneity’ rather than ‘forcibleness’ in the mass mobilization, she points out the perpetrators inside the Korean society. It seems rather surprising that there have not been many media representations of ‘the comfort women’. ‘The comfort women’ issue has rather been addressed in a documentary form with earnest and reflection, and the resulting films played very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s independent documentaries. The Murmuring(Byeon Yeongju, 1995), the first documentary film on the comfort women also was the first documentary film played at thea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The success of The Murmuring continued to its sequels(1997 & 1999). The films like The Sounds of Silence(Kim Daesil, 1998), My Heart Is Not Broken Yet(Ahn Haeryong, 2007), The Big Picture(Kwon Hyo, 2012), and Red Maria 2(Kyung Soon, 2015) also deserve mention. In general violence against women is not a result of individual and coincidental conflicts but it has to do with gender discrimination embedded in the whole social structure. During a war or an armed conflict sexual violence against the women on the opposite side has been considered as a part of winning strategies by men. In a patriarchal society women’s bodies become a symbolic battlefield among men. With force or spontaneity violating other person’s body cannot be justified in any logic. The media representations of ‘the comfort woman’ for the last 20 years, with the evolution of the discourses on ‘the comfort women’, have reached such understanding.

      • KCI등재

        1980~1990년대 동아시아 여성 스타덤 - 강수연, 공리, 장만옥의 국제영화제 수상작을 중심으로 -

        정민아(Jeong, Minah)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7

        본 연구는 동아시아 여성 스타가 세계영화영화계에서 확립한 이미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이 특정 시기 내셔널 시네마의 브랜드로 의미화된 양상을 살펴본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제적, 문화적으로 크게 약진하던 시기에 아시아 각국의 영화산업은 글로벌 여성스타를 내세워 세계시장을 공략하고자 했다. 본고는 동아시아 영화의 여성스타가 주요 국제영화제를 가지고 있는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어떤 이미지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글로벌 시대로 돌입해가던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강수연, 공리, 장만옥의 스타 이미지를 분석한다. 세 여성스타들이 자신의 영화에서 구축한 이미지는 상징기호로서의 자연 및 암울한 시대의 문화적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 여성스타들은 각자에게 최고 영예를 안겨준 임권택, 장이모우, 관금붕 감독이 본격적으로 세계예술영화계에 작가로서 이름을 알린 대표작에 등장했다. 이들 스타덤은 동아시아 세 국가가 세계예술영화계에 내셔널 시네마 이미지를 대변하는 얼굴로 작용했으며, 서구의 시선뿐 아니라 스스로 오리엔탈리즘을 전시함으로써 세계무대에 효과적으로 진입하고자 했던 내셔널 시네마의 진출 전략의 일부가 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ardom established by East Asian female stars in the global film industry, which has been symbolized as a brand of National Cinema at a certain time. When East Asian countries made great strides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e film industries of Asian countries wanted to target the global film market with global female stars. It analyzes the stardom of Kang Soo-yeon, Gong Li, and Maggie Cheung in the 1980s and 1990s, when they were entering the global era to see how female stars of East Asian films were accepted around Western Europe, which has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e three female stars appeared in representative films that made their names known in the global art film industry in earnest by directors Im Kwon-taek, Zhang Yimou and Stanley Kwan who received the highest honor. These female stars served as a representative faces for each National Cinema in the global art film industry, and became part of the National Cinema"s strategy to effectively enter the world stage by displaying self-Orientalism as well as Western perspectives.

      • KCI등재

        Across Borders of Documentary and Fiction

        Minah Jeong(정민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07 씨네포럼 Vol.8 No.-

        이란 감독 압바스 키아로스타미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그리고 삶은 지속된다〉, 〈올리브 나무사이로〉 등 ‘코커 삼부작’이라고 불리는 세편의 영화를 통해 아시아는 물론 서구 관객들을 매료시키며 새로운 제3세계 영화언어로 이란 영화의 정체성을 확립한 작가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정작 1997년 〈체리향기〉로 칸느영화제 황금종료상을 수상하자 작가로서의 감독과 그의 영화에 대한 평가가 양분되기 시작했다. 동시에 칸느가 유명인사가 된 감독을 비즈니스를 위해 이용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러한 논쟁의 첨점에 위치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는 이후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주리〉와 다큐멘터리 〈ABC 아프리카〉를 통해 만들어진 작가라는 비난에 대해 실력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최근의 실험 영화 행보를 통해 여전히 논쟁 상에 있다. 어쨌든 그는 아시아가 낳은 존경받는 국제적 거장임은 확실하다. 키아로스타미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은 가공되지 않은 소박한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스타일로 영화화한다는 점이고, 그의 이러한 스타일을 가장 잘 표현하는 작품 중 하나가 〈클로즈업〉이다. 이 영화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을 섞은 작품이지만, 기존의 유사 다큐멘터리나 페이크 다큐멘터리가 보여주는 허구성과 시네마 베리테의 경계 넘나들기와는 완전히 다른 차원을 보여준다. 영화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을 매우 유용하게 직조하면서 내러티브 궤도나 드라마적 해결방식을 교란한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영화는 “예술은 삶을 비추고, 삶은 예술을 비춘다.”는 모더니즘적 명제를 실천하며, 삶의 자폐선을 명징하게 드러낸다. 〈클로즈업〉은 픽션인 전반부와 다큐멘터리인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는 가난한 한 실업청년이 우연히 유명 감독 모흐센 마흐말바프 행세를 하게 되어 영화촬영을 미끼로 한 가족에게 사기행각을 벌이게 되는 과정을 당사자들이 재연하는 픽션이다. 또한 후반부는 청년이 피해자 가족의 고소로 감옥에 들어가고, 키아로스타미는 판사의 동의로 재판장면을 영화로 찍고, 청년은 진짜 마흐말바프를 만나 회개하며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실제 사건을 다큐멘터리로 따라간다. 영화는 연대기순으로 사건을 따라가지 않고 픽션과 다큐멘터리가 섞인 흐름 안에서 시간 또한 의도적으로 뒤바꾸는 전략을 택한다. 감독 자신이 드러나고, 이란 영화산업을 비꼬며, 서구적 영화언어를 무시하는 낯선 스타일은 관객에게는 오히려 ‘자기 반영성’의 미학을 상기시킨다. 키아로스타미는 독특한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픽션영화에서도 늘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현대 이란 영화의 특정 미학으로 자리 잡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제3세계 시네마 베리테와 포스터모더니즘적 자기 반영성의 결합은 키아로스타미를 이해하는 특별한 키워드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