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기반산업 발전을 위한 입지분석과 발전전략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정명기(Chung Myeong-Kee) 한국정책과학학회 200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5 No.2

        Knowledge-based economic development, which has been regards as an indispensible strategy in the course of economic recovery has been fruitful in Korea. From 1998, the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industrial policy for developing venture businesses. And recently, various branches of government, especiall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have collectively made industrial policy for the future. These policies intend to make Korea into the 10th largest country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establish a base for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these policies, knowledge-based industries in Korea thriving, as can be seen by industries' growth, the increase of venture companies, the growth of IT-related industries, and the expansion of the e-commercial market. In addition, the Chungnam local government pay the concern for knowledge-based economic development. The local government responded to regional economic recession.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economic potential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knowledge-based industries based on Chungnam provinces. Thus we need to find a way to aggregate the information that we have been choosing the target industries for this region. The measures selected have been chosen at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shift-share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we recommended the target industries as follows: semi-conduct industry, car-electronics industry, contents industry and a ginseng related food industry. For the condensed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utilized knowledge to combined traditional industries. The companies need to maximize productivity in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ies through facility investment and R&D investment. The local government will provide IT related infrastructure. That is a one of the precondition for regional IT development.

      • KCI등재

        북경현대자동차의 생산방식에 관한 연구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2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은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메이커간의 격렬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독일메이커들은 시장개방초기부터 중국 국내 유수국유기업과의 합작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왔고 일본의 주요 메이커들도 80년대 후반부터 중국시장 진출을 본격화하였다. 이에 비해 한국메이커들은 중국정부의 산업정책에 의해 시장진입에 많은 제약이 있었고 국내시장의 환경 때문에 중국에 가장 늦게 진출한 해외 자동차업체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동안 중국 자동차시장에서 한국자동차업체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했다. 북경현대는 2013년 1백 3만대를 판매하여 5.9%의 시장점유율 을 기록하여 VW, GM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이런 북경현대의 성공은 7개월이라는 최단기 해외공장 건설과 시장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한 생산방식의 구현에 있다. 이 논문은 북경현대의 성공과 경쟁력을 결정짓는 생산방식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국내 母工場으로 부터 어떻게 이식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북경현대자동차의 생산방식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경현대의 생산방식은 국내 아산공장의 생산방식을 모델로 하여 중국에 이식한 것으로 테일러.포드주의에 기반을 둔 자동화에 의존하는 유연한 생산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산공정을 모듈화하여 작업자의 숙련을 가능한 배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립라인의 공정을 가능한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현장의 노동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생산방식에 따라 노동자의 훈련과 보수체계가 경쟁업체에 비해 열악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노동시장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량적 유연화에 의한 유연화 전략이 더 이상 경쟁력을 담보할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정기술의 높은 자동화율은 현장노동자의 다능공화를 불필요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설비의 보전과 관리는 주로 엔지니어에게 의존한다. 이 같은 전형적인 로우로드 전략은 내수시장 중심을 중심으로 한 중국정부의 신산업정책으로 인해 임금상승과 노사갈등의 소지를 안고 있어 생산방식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The success of Hyundai’s operation in the Chinese automobile market is caused by high quality and low cost production strategy. The company’s success in China stems from many institutional contexts that may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factors: 1) expedient construction of the overseas plant. BHMC started production within 7 months after ratification of its joint venture; 2) early established production capacity to cope with the abrupt increase in demand; 3) operation efficiency at a lower cost with improved quality. BHMC’s production model from Hyundai guaranteed its operation efficiency; 4) an efficiently integrated supply system.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duction, the Korean suppliers moved to accompany Hyundai with its push into China, which played a role in stabilizing and supplying qualified parts to BHMC; 5) an established optimal dealer distribution to capture fast growing demand from small and medium cities; 6) introduction of new modern models. BHMC were allocated the responsibility for the assembly of advanced models. The reduced modernity gap of models between home and the local partner helped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Chinese marketThis features a typical low-road strategy based on minimizing worker involvement and maximizing automation, which is a sharp contrast to a lean production system. From the beginning, it is obvious that BHMC struggles to improve its current market position amid fierce competition. In this regard, the company is faced with raising wages and labor disputes which must be modified for this management strategy to have long-term success in the Chinese automobile market. It is difficult to predict how the company can escape from it and become a competitive advantage.

      • KCI등재

        산업노동연구 : 한국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생산과 노동조합의 대응 ; 한국자동차산업의 생산의 세계화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10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자동차산업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현대·기아자동차그룹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해외공장 신설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에 성공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자동차기업으로 입지를 굳히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전략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해외 현지공장과 국내 모공장간의 생산 카니발이즘을 해소하기 위해 협의적 세계화(bargained globalization)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노사 양측은 협력적 갈등해결 모델(cooperative conflictual solution model)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세계 공장간의 연계생산을 위한 조직능력을 강화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아직까지 수익성과 가동률에 있어서 안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해외공장 문제규모경제의 실현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구성(productmix)가 요구된다. 넷째, 현대·기업자동차그룹의 글로벌경영전략이 세계시장에서 착근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효율성, 현지적응력, 혁신능력 등이 담보되어야 가능하다. 생산의 세계화가 확대되어질수록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조직하고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인재육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모공장과 해외공장간의 분절된 생산체제가 모듈화의 진전으로 모델간 시차가 급격히 줄어들고, 해외시장에서의 경쟁심화로 신모델 투입시기가 짧아지면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통합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현지생산의 최적화를 위해 현지 인적자원개발이 요구된다. 인도와 체코공장에서 발생했던 노사분규와 수익성만을 강조하다 미국 현지공장에서 인적자원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도요타의 위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해외현지공장은 물론 국내공장의 노동자들에게도 숙련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대·기자동차그룹의 글로벌 전략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low road 전략에서high road 전략으로의 방향모색이 필요하다. The article is focused on how Korean automobile industry have globalized their production and own production and what impacts the globalization of production has upon its domestic production. Major points of discussion will be the hypothesis of institutionalism; that is, the claim that companies use offshore production to stimulate the globalized production system. A review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strategic framework, in relation to management, organization and globalization, has been discussed with a view to factors that led Hyundai-Kia Motors to enormous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time 2000s Hyundai-Kia Automotive Group began to shift more and more from a simple multinational company to a globally operating transnational company. Globalization, as a dynamic market mechanism, has also made a rapid structural and strategic change not only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product diversification, consumer oriented marketing and portfolio investment.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Hyundai-Kia led by expansion of production volumes based on low road strategy. This strategy pressures toward for combining the economies of scale with multi-domestic structure based on manufacturing sites in the different regions. Despite the ragged state of the auto industry worldwide, Hyundai & Kia are emerging from the global crisis as the winners, on track to take part of the global market share, as well as raising in US sales volumes. Thanks to a little success during the recession Hyundai & Kia have been driving a standalone strategy which appeared as expansion of opening overseas automotive plants in emerging

      • KCI등재

        한국자동차산업의 생산의 세계화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20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자동차산업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현대·기아자동차그룹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해외공장 신설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에 성공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자동차기업으로 입지를 굳히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전략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해외 현지공장과 국내 모공장간의 생산 카니발이즘을 해소하기 위해 협의적세계화(bargained globalization)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노사 양측은 협력적 갈등해결 모델(cooperative conflictual solution model)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세계 공장간의 연계생산을 위한 조직능력을 강화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아직까지 수익성과 가동률에 있어서 안정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해외공장 문제는 규모경제의 실현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구성(productmix)가 요구된다. 넷째, 현대·기업자동차그룹의 글로벌경영전략이 세계시장에서 착근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효율성, 현지적응력, 혁신능력 등이 담보되어야 가능하다. 생산의 세계화가 확대되어질수록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조직하고 관리 운영할 수있는 인재육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모공장과 해외공장간의 분절된 생산체제가 모듈화의 진전으로 모델간 시차가 급격히 줄어들고, 해외시장에서의 경쟁심화로 신모델 투입시기가 짧아지면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통합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현지생산의 최적화를 위해 현지 인적자원개발이 요구된다. 인도와 체코공장에서 발생했던노사분규와 수익성만을 강조하다 미국 현지공장에서 인적자원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한 도요타의 위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해외현지공장은 물론 국내공장의 노동자들에게도 숙련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대·기아 자동차그룹의 글로벌 전략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low road 전략에서high road 전략으로의 방향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자동차기업의 생산의 세계화: VW과 BMW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독경상학회 2011 經商論叢 Vol.29 No.3

        본 논문은 독일 자동차기업이 생산을 세계화하는 과정과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글로벌생산체계에 대한 독일 특유의 특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일의 대표적인 자동차생산업체인 VW은 이미 60년대부터 세계시장을 위한 세계화전략을 추진하였다. 90년대 경영위기를 대대적인 구조조정으로 극복한 후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모듈화와 플랫폼 통합을 기반으로 한 생산의 세계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특히 신흥시장에 대한 공격적 진출로 세계금융위기에서도 가장 좋은 경영성과를 기록하였다. VW은 이러한 공격적 경영으로 말미암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 반면 BMW는 로버 인수를 통해 소품종 대량생산에 의한 세계화를 지향하였으나 실패하고 이 경험을 토대로 프리미엄급 특화시장에서의 생산의 세계화 전략을 채택한다. 이를 위해 현지 생산 공장의 신설보다는 현지 업체와의 조립생산을 원칙으로 하는 전략을 선호하게 된다. 특히 브랜드파워 유지를 위해 해외공장 신설보다는 유연화에 기초한 국내공장 건설로 생산의 세계화에 대응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VW과 BMW 모두 미국과 일본 업체의 세계화 방식과는 달리 상이한 방식 즉 협의적 생산세계화에 기초하고 있다. 협의적 생산세계화는 신자유주의자나 글로벌주의자들이 주장하듯이 생산의 공동화, 노동과 임금조건의 악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내산업의 경쟁력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추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생산의 세계화를 단지 기능적으로 접근하는 이윤의 극대화전략으로 채택한 것이 아니라 경제 행위자들 간의 갈등과 타협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조직화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독일 자동차산업이 보여주는 협의적 생산세계화는 독일의 이중적 노사관계와 제도적 장치의 산물이기는 하지만 생산의 세계화로 인해 노사갈등이 비등해지고 있는 한국 자동차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제적 행위자들이 효율적인 산업조직과 노사관계를 만들어간다면 생산의 세계화가 노동조합에게 양보교섭만을 강제하는 수단으로 기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article is focused on how German automobile industry have globalized their production and own production and what impacts the globalization of production has upon its domestic production. Major points of discussion will be the hypothesis of institutionalism and hypothesis of Gemran industrial model.; that is, the claim that companies use offshore production to stimulate the globalized production system. A review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strategic framework, in relation to management, organization and globalization, has been discussed with a view to factors that led VW and BMW to enormous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time 1990s VW and BMW began to shift more and more from a simple multinational company to a globally operating transnational company. Globalization, as a dynamic market mechanism, has also made a rapid structural and strategic change not only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product diversification, consumer oriented marketing and portfolio investment.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VW led by module production system and platform unification. This strategy pressures toward stronger ties and real global cooperation of all organizational units on regard of product structure and market strategies. Concerning its globalization trajectory the BMW followed a premium segment strategy based on CKD production in periphery. This strategy pressures toward for combining the economies of scale with economies of scope. The particularity of production globalization in german car makers develops by influence of workers and employees interests and bargaining on the plant and company level. This process of bargained globalization reinforced domestic production and job security in contrary to neoliberal`s hollow-out argument.

      • KCI등재

        독일의 근로시간계좌와 노동유연성에 관한 연구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독경상학회 2010 經商論叢 Vol.28 No.2

        노동시장 구조변화를 설명하는 핵심적 주제어는 “유연성”이다.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유연성 개념은 지난 20여년 간 이 분야에서 많은 이론적 쟁점들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구조조정, 생산물 시장에서의 가격경쟁 및 비가격경쟁, 노동시장에서의 노동수급의 불일치, 인적자원관리 등의 분야에서도 주목받아왔다. 독일 경제가 호황국면에 접어든 1970년대 산별단체협약을 통해 주 40시간제를 도입하면서 노동시간 단축이 본격화되었고 불황기였던 1980년대는 고용안정을 목적으로 주 35시간제와 유연한 근로시간제도가 도입되었다. 특히 1980년대 중반이후 독일은 근로시간과 공장 가동시간을 분리하고 선택적 근로시간제도를 도입하여 국제경쟁력 향상을 꾀하였다. 이러한 노동시간 유연화에 근로시간계좌제가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노동시간 유연화의 진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독일의 근로시간계좌의 구조 및 운영방법,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국내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유연성과 노동시간 조정이라는 임시적 유연화에 대한 분석적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독일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근로시간계좌는 변동시간구좌, 연간노동시간구좌, 장시간구좌 등의 3가지 유형이 있고 노사 모두 대체적으로 이 제도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근로시간계좌에 적립된 채권에 대한 처분과 보상방법에 대한 노사 이해대립이 표출되고 있고 기업 파산과 근로자의 직장이동에 따른 채권에 대한 제도적 보완장치도 필요하다. 독일의 노동시간유연화 정책이 거시경제적 차원에서 고용안정과 기업의 유연성 제고에 따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제도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산별교섭체계에서 기능할 수 있는 고용의제에 대한 다층적 교섭구조가 제도적으로 구축되어져야 한다. 아울러 고용기금, 고용보험 등과 같은 법제도적 보완 장치가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탄력적 근무시간제 도입을 가로막고 있는 근로기준법의 개정도 필요하다. A constant increase in labor flexibility remains an essential competitive strategy of enterprises. One component of this process is the expansion of time volumes and the extension of time horizons with respect to redistribution of individual working time. Such a development alters not only the day-to-day work-life balance, but also the entire life course of employees. The trend towards greater flexibility of working hours appears to be unstoppable. It is primarily determined by working time accounts which are being used as a vehicle for a comprehensive change of work patterns. Depending on demand, they allow unequal allocation of daily or weekly working hours. It lead to decoupling of working and operating hours. This paper discusses the working time accounts in Germany. The traditional working time model is undergoing profound changes. Variable distribution patterns based on working time accounts are taking the place of uniformly distributed working times. Before I embark on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is theory of an employment policy combining flexible and reduced working hours, I would like to begin by outl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of working hour and competitiven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nsion between the demands of economic efficiency and worker`s needs. It starts by outlining the outlin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lexible forms to then investigate the regulatory structure of working time accounts. First part, I introduce numerous new variants of working time accounts, which have been added to this original model. In next part describe both the creation and use of working tome accounts. Then, illustrates the limits for working time accounts in the viewpoint of account balances. More generally, the paper should not lead to assessment that workers feel that flexible forms of working time are completely problem free and automatically create a win-win situation. Nevertheless, the working time accounts is one of backbone to keeping job security based on working time sharing. From this point, Korean industry sectors discuss profound introduction of working time accounts as to increased economic efficiency and life quality of workers.

      • KCI등재

        독일 노사관계 변화에 대한 쟁점들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독경상학회 2016 經商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2000년대 초반 적록연정이 추진한 일자리 적극화법, 하르츠법, 아젠다 2010 등과 같은 ``적극화 노동시장정책(Aktivierende Arbeitsmarktpolitik)``과 고용 관련 법제도의 ``탈규제화 조치(Deregulierungsmaßnahme)``로 2차 세계대전 이후 견고하게 유지되어왔던 독일의 전통적 노사관계 변화에 주목한다. 전통적으로 독일 노사관계는 정교한 제도적 구성과 중앙 집권적으로 조직화된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한 산별교섭과 공동결정제도라는 이중적 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독일 경제발전의 한 축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경제의 서비스화 등으로 개방조항과 양보교섭이 확대되고 낮아진 노조가입률과 새로운 직종별 노조의 등장으로 인한 기존 산별노조의 정치적 영향력이 감퇴는 전통적인 노사관계 및 단체 협약제도에 파열음을 일으키고 있다. 제도적으로 안정적 노사관계의 토대를 이루었던 기업별 단일협약(Traifeinheit)이 2010년 법률적으로 파기되면서 노조 간 경쟁을 위한 전략적 차별화가 확대되고 단체교섭에 대한 법률적 규제와 노사 간 자율규제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노사관계는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산별조직 원칙과 단일 노조원칙을 견지하면서 코포라티즘적 기제가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개방조항이 확대되고 사업장차원에서의 단체협상이 확대되었지만 임금수준 등과 같은 산업별 내지 지역별로 결정할 사항에 대해 산별노조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개별 기업차원의 협약체결권을 인정 하는 유연성을 보여줌으로써 노동조합이 노동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조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아울러 사회적 시장경제제도의 핵심적 가치인 공동 의사결정제도를 통한 동반자적 관계정립과 이를 통한 산업현장에서의 안정적인 노사관계의 유지는 산별단위노조의 변화와 단체협약의 다양화를 독일식 노사관계 모델의 붕괴로 평가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단체협약의 다양화와 탈집중화는 독일 노사관계가 새로운 경제사회의 환경변화에 조응해 가는 적응과정이라고 평가된다. This paper argue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explor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relations in Germany. German trade unions that are affiliated to th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DGB) have continually been losing members. The erosion of trade union density is often attributed to mega-trends in the economy. These mega trends include globalization, the shift towards a service sector economy, the increasing use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world of work, the individualization of life styles, the increase in atypical employment, and the ageing of population and workforce alike. These factors are accompanied by a weakening of trade union power. In this article,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negotiations and the new contours of corporatism are analysed with respect to Germany. At the moment we are witnessing a decentralization of formerly central negotiations and their differentiation in the direction of collective and or concession bargaining at the level of the firm. Survey findings reveal that despite deteriorating bargaining conditions, cooperative attitudes prevail among works councils. It is still an open question as to whether these developments are the foundations for a new form of corporatism.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paper, therefore, is that a rescaling of industrial relations in taking place, which dos not necessarily men an end to social market system but, rather, profoundly new qualities of collective bargaining.

      • KCI등재

        모듈생산방식에 따른 부품조달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을 중심으로

        정명기 ( Myeong Kee Chung ) 한독경상학회 2007 經商論叢 Vol.25 No.3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유연생산방식과 적기생산방식을 국지적으로만 실험하던 현대차 그룹은 2000년 현대모비스의 설립과 함께 모듈생산방식으로 전환이 본격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히 생산방식의 변화를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론적, 정책적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다. 이 글은 모듈생산이 진전됨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부품공급시스템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은 모듈화에 따라 부품의 생산과 공급이 완성차의 서열정보에 따라 강제되면서 부품업체들은 슈퍼모듈서플라이어, 일반모듈서플라이어, 일반 서플라이어 등으로 분절되고 그 지위와 역할이 공급사슬 안에서 분화되었다. 이런 중층적 시스템 하에서 부품설계에서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인 생산동기화를 위해서는 부품업체들과의 공동 목적과 업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직화·협업화가 필요충분조건이다. 현대차의 모듈화 전략이 자회사인 현대모비스를 시스템 통합전략자로 이용하여 부품업체들에 대한 통제력과 지배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만 이루어진다면 현대차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국내부품업체들이 설계기술능력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모듈전문화 업체로 발전되지 않고서는 완성차업체의 모듈화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모듈화에 따른 부품조달체계의 새로운 구축과정에서 현대차의 모듈화 능력과 원가 통제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부품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통한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가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ularization in Hyundai Asan plant. The concept of modularization suggest that there are at least three facets: 1) modularization in product architecture (modularization in design) which has been discussed quite often in field of management of technology; 2) modularization in production and modularization in inter-firm system (outsourcing subsystem in larger units to outside suppliers). These three facts have often been mixed up, causing in discussing modularization. Hyundai Asan plant has focused on modularization in inter-firm system. Until now, they has not addressed modularization in product architecture. This paper aims at probing into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inter-firm subsystem and is structur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provides a definition of modularity in product architecture. The second section examines the mixed motives of Hyundai Asan plant to go modular. It is argued that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motives predispose company to choose a different path to outsource modules based on supplier`s capabilities. The last chapter considers the implication of modular system for supplier relationships. One interesting aspect of modularization in inter-firm system is change in contracting patterns and the overall subcontracting relationships This process is having twofold effect. One the one hand, the restructuring, through commonalization of parts and single sourcing will reduce the number of suppliers and achieve significant economies of scale and improved productivity or quality. On the other hand, affiliated firms and large and medium sized firms have been pressured due to increased specialization, to improve their technical abilities because they will need them when competing with suppliers on whom they are so dependent. The closed transaction under modularization in inter-firm system can provide monopoly rents to the Hyundai by weakening the parts manufacturers` bargaining power and setting monopoly prices. This hierarchical subcontracting network is advantageous to the assembler, who has the power to drive down cost. Under the fierce sales competitions in the global markets, it is critical issues to Hyundai`s survival to further enhance its own technological capability of R&D and manufacturing operations as well as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its products,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upgrading the competitiveness of its car brands. To improve the quality, Hyundai must succeed with appropriate inter-firm relation. Although the empirical details of this paper are about the Hyundai Asan plant, much of the findings have relevant implication for auto industry as who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