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식의 의지’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한 푸코와 니체의 사상적 관계에 대한 고찰

        정대훈(Daehun Jung)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푸코가 ‘지식의 의지’ 개념을 주조해내는 과정은 푸코의 니체 독서의 고유한 면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 글에서 한편으로 ‘충실한’ 니체주의자로서 푸코가 자신의 과제 수행을 위해 어떻게 니체의 특정 통찰을 채택·활용하는가를 보여주고, 다른 한편으로 필자의 관점에서 중요한, 하지만 푸코의 사상 형성에서는 누락된 또 다른 통찰이 니체의 사상 전개 과정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푸코가 고고학으로부터 계보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니체의 계보학적 통찰을 프랑스 인식론의 전통으로부터 주조해낸 ‘지식’의 개념과 결합하여 ‘지식의 의지’라는 개념을 만들어내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2∼4절). 그 다음으로 필자는 이 과정에서 니체의 계보학적 통찰이 비중 있게 채택되는 반면 그의 인간학적 통찰은 채택의 문턱을 넘지 못함을 밝히고, 니체가 인간학적 통찰을 출발점으로 삼아 어떻게 서양 형이상학의 자기지양의 논리 속에서 자신의 길을 찾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5∼6절). 마지막으로, 인간학적인 사유를 극복하는, 니체와 푸코 각자의 방식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 글을 끝맺을 것이다(7절). The process by which Foucault develops the concept of ‘will to knowledge’ shows the unique aspects of Foucault’s Nietzsche reading. In this article, I show how Foucault, as a “faithful” Nietzschean, adopts and uses Nietzsche’s specific insights to carry out his tasks, while on the other hand I want to show, from my point of view, how another insight, which Foucault has hidden in his Nietzsche rea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Nietzsche’s thought process. For that, I first examine how Foucault created the notion of ‘the will to knowledg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archeology to the genealogy by combining Nietzsche’s genealogical insight with the concept of ‘knowledge’ which he has developed from the tradition of French epistemology (§§2∼4). And then I explain that Nietzsche’s genealogical insight are adopted in this process as an important element, while his anthropological insight is not integrated into the ideas developed by Foucault, and how Nietzsche, proceeding from anthropological insight, finds his own way in the logic of the self-sublation of Western metaphysics (§§ 5∼6). Finally, I will conclude this article with a comprehensive review of Nietzsche’s and Foucault’s ways of overcoming anthropological thinking (§ 7).

      • KCI등재

        정신의 도야(Bildung)

        정대훈(Daehun Ju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6

        본고의 목적은 예나 시기 헤겔 철학에서 도야(Bildung) 개념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이 개념이 갖는 ‘근대적’ 측면들을 드러내어 도야 개념 일반 및 헤겔의 도야 개념에 대한 통상적인 표상과 구별되는 도야 개념을 헤겔 철학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이 시기에 어떻게 헤겔이 삶의 자기형성의 형이상학에서 정신의 도야의 역사철학으로 이행해 가는지를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 스케치하고 (2절), 다음으로 예나 시기의 “체계기획” 원고들과 『정신현상학』 ‘법상태’ 절 사이에 구조적으로 재구성가능한 상호참조적인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위 이행과정을 통해 형성된 도야 개념의 특징적인 면모들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다 (3절). 위 두 단계로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도야 개념은 근대 문화에 고유하고도 되돌릴 수 없는 특징인 극단적 분열과 규범적 공백상태를 표상하는 ‘죽음’을 자신의 도야를 위한 내재적 계기로 삼는 ‘정신’ 개념과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보여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present a concept of Bildung in Hegel, which differs from the general conception of it or what is hitherto regarded as Hegel’s concept of Bildung. For this I emphasize the modern aspects of the term by showing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Bildung in Hegel’s philosophy in Jena. In concrete terms, I first sketch in chronological order how Hegel at this time passes from the metaphysics of the formation of life to the philosophy of history of the Bildung of the spirit (2nd section), and then I show the peculiar aspects of the concept of Bildung that are in this transition constituted by representing the inter-referential relationship to be reconstructed in structural point of view between the “Systementw ürfe”-manuscripts and the section “legal state” in Phenomenology of Spirit (3rd section). It is shown through this two-stage investigation that the concept of Bildung is associated with that of the spirit, which contains for his Bildung that death as an internal moment, which represents the state of extreme division and normative vacuum as characteristics irrevocably peculiar to modern culture.

      • KCI등재

        니체의 『비극의 탄생』에서 개체화의 문제

        정대훈 ( Daehun Jung ) 서양근대철학회 2018 근대철학 Vol.11 No.-

        본 논문은 『비극의 탄생』을 모든 문화적 형성의 기본 문제라 할 수 있는 개체화 문제의 관점에서 재독해하고자 한다. 『비극의 탄생』의 재독해를 통해 드러날 수 있는 개체화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개체와 개체화의 과정은 서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니체는 개체적 주체와 이 주체가 개체화되는 과정을 분리시키는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디오뉘소스적-아폴론적’이라고 부를 수 있을 이 개체화 과정의 구조가 ‘개체를 발생시키는 개체화’와 ‘개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개체화’의 기본적인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전자의 차원은 불연속성과 비가역성을 기초로 하는 상징과 비유의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되고, 후자의 차원은 직접적 긍정과 탈주체화를 특징으로 하는 변신(變身)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 두 차원은 개체화라는 하나의 과정의 두 측면을 이룬다. This article will reinterpret The Birth of Tragedy in view of the problem of individuation that is a basic problem of all the cultural formation. The basic point that can be presented out of the re-reding of the text is that in the individuation process individual and individuation are not structu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Nietzsche criticizes the way of thinking that separates the individual subject from the individuation process. This individuation process, which can be called dionysian-apollinian, and, which can be known through reading of The Birth of Tragedy, consists out of two basic dimensions of individuation that generates individuals and individuation that continues in individuals. The former dimension is constituted by the mechanism of symbol and analogy based on discontinuity and irreversibility, and the latter is centered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direct affirmation and desubjectiviation. These two dimensions form two aspects of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