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친화적 정책이 종업원들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효과

        정기선(KiSeon Chung),장은미(EunMi Chang)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1

        Despite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family-friendly policies as an emerging competitive resource to a company,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n employees' attitudes are very rare,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ith a multi-level frame,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practices on their commitment to the company. Data were collected from 11 companies and 351 employees in Seoul. Results show that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practices, rather than implementation at the company level, significantly enhanc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gender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the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as well as discussions are included. 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 방식의 일환으로서 가족 친화적 정책의 중요성이 배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일천하다. 본 연구는 국내 11개 기업 351명의 종업원들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화사차원에서 가족 친화적 정책을 활용하고 있는 정도는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 그렇지만 종업원들이 회사의 가족 친화적 정책활용에 대해 인지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도 높아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가족 친화적 정책의 인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남성 종업원들보다 여성 종업원들의 경우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나서 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What Makes Husband and Wif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Kiseon Chung(정기선),Yoshinori Kamo,Jihye Yi(이지혜)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간 비교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결혼만족도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 한국과 2004년 일본에서 각각 조사한 전국가족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5,308명의 한국인 성인남녀와 4,920명의 일본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혼관계에서의 한국과 일본 간 문화적 차이와 유사성을 살펴보기 위해 교육수준과 결혼기간, 가구수입과 재혼 여부를 통제한 가운데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에 있어서 비전형적인 부부결합(marriage gradients), 가족스트레스,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U자형 결혼만족도 변화패턴을 보였으며, 전 생애에 걸쳐 일관적으로 남편이 부인보다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공통적으로 배우자에 대한 깊은 신뢰와 관심, 성생활 만족을 포함한 질 높은 부부 상호작용이었으며, 한국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보다는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일본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nd to find its determinants in Korea and Japan.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surveys on family in these two countries including 5,308 Korean and 4,920 Japanese men and women living with their spouses. In order to see the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in marital relations, the effects of education, income, employment, marriage gradients (normative patterns between the spouses), family stress, and quality of conjugal interactions on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U-shape pattern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couples. In both countries husbands tend to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n wives over the entire life cours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re good qualities of conjugal interactions including deep trust and concerns for spouse and sex life satisfaction. For Korean couples good conjugal interactions is better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sex life, while for Japanese couples sex life i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지역감정과 지역갈등인식의 변화

        정기선(Chung Kiseon)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2

        본 연구는 1988년과 2003년에 설문조사된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역감정과 지역갈등인식이 지난 15년간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갈등을 둘러싸고 일반인들이 가지는 태도를 감정적 차원, 인지적 차원, 행동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감정적 차원으로는 각 지역민에 대한 내ㆍ외집단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인지적 차원에서는 지역갈등의 원인, 심화시기, 해결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응답자의 출신지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행동적 차원에서는 응답자의 출신지역에 따른 지역차별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지역민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1988년과 2003년 사이에 변화가 없었으며, 충청도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고 전라도사람이 가장 낮았다. 모든 지역민들이 강한 내집단편애성향을 보인다는 점과 전라도와 경상도사람들이 서로에 대해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은 두 시점 간 차이가 없었다. 그럼에도 전라도사람들의 내집단편애성향이 1988년에 비해 2003년에 상당히 줄어들었으며, 전라남도사람들이 경상도사람들을 싫어하는 정도도 상당히 줄어들었다. 지역갈등에 대한 인지적 차원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1988년에는 지역갈등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편향된 경제발전정책 탓으로 보았는데, 2003년에는 이런 경향이 현저히 감소하고 그 대신 지역주민의 의식과 정치인의 선거운동을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지역갈등해소방안으로 지역경제격차해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점은 1988년과 2003년 사이에 변화가 없다. 출신지역으로 인한 차별경험은 1988년에는 전라도사람들이 다른 지역민보다 현저히 높았었는데, 2003년에는 충청도사람들도 전라도사람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regionalism among Koreans during the last 15 year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social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in 1988 and 2003 and included many questions related to regional conflicts at that time.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regionalism or regional conflicts were analyzed at three dimension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On the emotional dimension the degree of likes or dislikes of each regional group is evaluated by the ingroup and outgroup. In order to tap social cognitional changes related to regionalism, the questions were asked: how people think about the causes of regional conflicts, when the regional conflicts became serious, and what are the solutions of current regional conflicts. The experiences of being discriminated due to their regional background were also asked and compared by the regional groups and years of surve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little changes in the ordering of people's preference for regional groups between 1988 and 2003: Chungcheong-Do people are liked the most and the Cholla-Do people the least liked. Secondly, people's tendency for ingroup favoritism has been somewhat reduced. It is particularly noticeable among Cholla-Do people. Chollanam-Do people's degree of dislike to Kyungsang-Do people has been lowered. In 1988 people tend to attribute the regionalism to the government's regionally un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1988, but in 2003 people tend to see the major reasons for regionalism from people's prejudice against regional groups and politicians' election campaign. Whereas Cholla-Do peopl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regional discrimination in 1988, Chungcheong-Do people report to experience regional discrimination as much as Cholla-Do people do. Som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has been discussed in conclusion.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이혜경(Lee Hye-Kyung),정기선(Chung Kiseon),유명기(Yoo Myungki),김민정(Kim Minju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5

        본 연구는 1980년대 말 친척방문과 함께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국내 이주현상을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현상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서 식당종업원 또는 가정부로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 56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구술사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친척방문으로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한국유입이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격차로 조선족들에게는 돈벌이의 기회로 활용되면서 점차 노동이주로 변화하였으며, 한국이 조선족의 국내유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실시하자 혼인이주가 노동이주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여성이 한국에서 취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돈을 모으기도 수월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혼인이주와 함께 이주의 여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조선족의 한국이주는 가족전략적 차원에서 결정되는데, 가족주기와 계층적 지위에 따라 선택하는 가족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다. 조선족 여성의 한국취업에 확대가족과 남편의 지원은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부부이산 혹은 가족이산은 자녀탈선과 이혼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주과정에서 조선족 여성은 주체적으로 한국이주를 결정하고, 친정식구연결망을 형성하는 등 적극적인 삶의 자세와 강인한 여성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Chinese migration to South Korea which begun in the mid-1980s. The data is from in-depth interviews of 56 Korean-Chinese women who work as domestic servants or restaurant employees. The following issues were addressed during the interviews: 1) why the Korean-Chinese migration is more feminized than other Asian migration to Korea; 2) what role the migrants families play 3) what impact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has upon their families.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is interpret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the ‘transnational fami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to Sout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diaspora to a labor migration due to the economic ga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n-Chinese migrate to Korea to earn mone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often limits their entry, thus international marriage is sometimes opted as a means to gain entry into Korea. Moreover, Korean-Chinese women are more likely to migrate to Korea because it is easier for them to find a job and save money there. The strategies adopted by Korean-Chinese families to enter Korea usually depend on the family’s life cours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China. It is essential for the women to ge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families in order to migrate overseas. However, long periods of separation sometimes lead to divorce and child deviation. Nevertheless, the Korean-Chinese female migrants have demonstrated strength and determination.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정기선(Kiseon Ch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차별의식에 대한 전국규모의 조사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 갖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적 태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일반 가치와 편견적 태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비정규직과 학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낮았다. 그 밖의 동성애자나 자발적 무자녀 가정, 편부/편모 가정의 자녀 등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은 매우 강한 편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는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조직생활과 관련한 여성의 능력에 대한 편견과 기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의 정도는 표준편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우리 사회에 이들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가지는 일반 가치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등 및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보편주의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되어 있는 반면, 권력 가치는 소수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편견적 태도를 줄이고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관용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minority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m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people’s consciousness of discrimination. As a result of a measurement of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a group, irregular workers and people with lower academic careers were the least victimized by prejudice. Discrimination towards those in minority groups such as lesbians/gays, voluntary childless families, single parent families, and so forth, were reported to be very serious matters. The older the subjects were and the lower their education backgrounds, the more severe the prejudice was towards such minority grou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nority group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niversal values which emphasize equality and social justice tend to make people more supportive of minority groups, whereas values derived from power are linked t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inority groups.

      • KCI우수등재

        국내외 한국기업의 외국인력 관리에 관한 비교 연구

        이혜경(Hye-kyung Lee),정기선(Kiseon Chung),이정환(Jungwhan Lee),설동훈(Donghoon Seol)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3

        본 연구는 국내외 한국기업이 외국인력을 고용하기 시작한 지 10년이 넘는 현 시점에서 한국식 관리방식의 이론적 위치를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문화권의 노사 각각은 한국식 관리방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식 관리방식을 강압적인 측면과 온정적 측면으로 재구성하고, 성, 연령, 교육수준, 회사경력, 직급 등 관리자 및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과 문화적 태도, 기업의 소유권, 노조유무, 규모와 업종이라는 기업특성, 그리고 진출국 또는 인종 변인이 한국식 관리방식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국내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189개 제조업체와 중국, 베트남, 필리핀 및 인도네시아 4개국의 59개 한국투자기업의 최고경영자, 한국인 관리자 및 외국인(현지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었다. 주요발견은 첫째, 국내외 한국인 근로자(관리자)와 외국인(현지인) 근로자들은 한국식 관리방식을 강압적이며 동시에 온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둘째, 이러한 인식에는 문화차이 인식과 기업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셋째로, 개인적, 기업적 특성을 통제하여도 국가 또는 인종에 따라 한국식 관리방식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This paper conceptualizes how Korean managers and foreign (or local) workers perceive Korean labor management style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companie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surveys conducted in Korea (n=380 Korean workers and managers and n=742 migrant workers from China, Vietnam,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and in four Asian countries (n=226 Korean managers in overseas Korean firms, n=1,078 local workers in the same countries where migrants come from). The study found that 1) both Korean managers and migrant (or local) workers perceive Korean management style paternalistic as well as authoritarian; 2) Perceived cultural differences of managers and workplace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and industries affect their perceived management style; and 3) Korean management style is perceived differently by nations or ethn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