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평서문 읽기에서의 운율구 특성 비교

        정금수,성철재,Jung, Kum-Soo,Seong, Cheol-Jae 대한음성학회 2008 말소리 Vol.6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SD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in terms of the prosodic features. Materials are collected by the reading of Korean read sentences. They are composed of 10 declarative sentences, each of which was consisted of 5-6 words. Subjects are consisted of 10 ASD and 10 normal male children with a receptive vocabulary age of 5;0-6;5 years. We found out that both groups showed the differences not only in the tonal patterns at the end of the prosodic phrases, but also in both the degree of rising and falling slope related to pitch contour. While HL% and HLH% were highly emerged in sentence final position in normal group, HL% and HLH% were prominent in ASD group in the same position. LH% and LHL% IP types were observed only in ASD group in sentence medial position. The slope showing the variation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t the end of the prosodic phrase was twice as steep in the group of ASD children as in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 KCI등재

        자폐범주성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문장 읽기에서의 운율특성 비교

        정금수(Kum-Soo Jung),성철재(Cheol-Jae S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4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운율이 정상아동과 다르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 그럼에도 운율의 어떤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집단의 운율특성-기본주파수, 읽기속도, 조음속도, 운율구생성을 중심으로-을 문장읽기를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졌다. 방법: 연구대상은 수용언어연령이 5;0~6;5세인 자폐범주성 장애남아 1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남아 10명으로 하였다. 과제는 ‘-니다’체와 ‘-해요’체로 구성된 10개의 평서문으로 평균 5.2어절, 평균 16.9음절로 이루어졌다. 과제의 반복읽기를 통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K-ToBI 레이블링 체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전체 기본주파수는 자폐군이 정상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2) 읽기 조음속도는 자폐군이 정상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운율구 생성에 있어서는 한 억양구 내에 출현한 강세구수에서 정상군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4) 강세구를 문장 내 위치에 따라 3가지 유형-비억양구말 강세구/문중 억양구말 강세구/문미 억양구말 강세구-으로 나누어 읽기속도를 비교해본 결과, 3가지 유형 모두에서 자폐군의 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3가지 타입 중 문중 억양구말에 위치한 강세구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자폐군은 정상군보다 높은 기본주파수, 빠른 조음속도, 많은 억양구 생성을 보임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자폐군의 운율에 대한 일반적 통념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두 집단 간 문장읽기 운율특성에 전반적인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s & Objectiv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ve deficits in prosody and thereby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prosodic features shown by ASD and normal children when reading declarative sentenc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cluding fundamental frequency, the various speed aspects, and prosodic phrasing. Methods: The ASD group consi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normal group consists of preschool children. The experimental subjects consisted of 10 ASD and 10 normal children with a receptive vocabulary age of 5.0-6.5 years. They were all male children.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composed of 10 declarative sentences, each of which consisted of 5-6 words. All of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ad the sentences repetitively. Some of the sentences, which were naturally produced by the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some of th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the fundamental frequency was on average 40Hz higher in ASD children than in normal children. Second,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reading rate, bu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rticulation rate. Third,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accentual phrases (AP) and intonational phrases (IP). Discussion & Conclus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y included fundamental frequency, articulation rate, and number of accentual phrases in an intonational phr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