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법률용어의 번역

        정극원(JEONG, Kuk-Won) 유럽헌법학회 2007 유럽헌법연구 Vol.2 No.-

        In diesem Aufsatz soll die deutschen Rechtswörter auf koreanisch übersetzt werden und damit einige bestimmte deutsche Rechtswörter in Korea vorgestellt werden. Die Übersetzung der ausländischen Rechtswörter auf koreanisch ist sozu schwierig, erstens, welche Rechtswörter auszuwählen, zweitens, dazu genügende Facherkenntniss zu haben. Das ist nur sinnvoll, wenn diese Voraussetzung erfüllt ist. Im Bereich dieser Untersuchung geht darum, nur die vom Verfassungsrecht beziehenden Rechtswörter zu übersetzen. Hierbei wird drei Kategorie der deutschen Rechtswörter sotiert. erstens, Rechtswörter, die Rechtstheorie beinhalten, zweitens, die Rechtsbegriff beziehen, drittens, die nur Tatsache erklären. Die erste Übersetxungsmethode ermöglicht es, einen Beitrag zur Interpretation der koreanischen Rechtswörter zu leisten. beispielsweise die Theorie des sozialen Teilhaberechts, da diese Theorie das koreanische Verfassungsrecht von Deutschland übernommen hat. Und die letzteren beiden Versuchungen ermöglichen es, der Begriff der Rechtswörter zwischen deutschen und koreanischen verstehen und verglichen werden. z.B. die Rechtswörter des Lebensalters, der Verfassungsstreitigkeiten und der Zwei-plus-Vier Vertrag usw.

      • KCI등재

        토지비축사업의 법적 기초와 실현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1 土地公法硏究 Vol.52 No.-

        Land Banking System' refers to the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e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land market and purchases/reserves the land prior to the occurrence of speculative transactions or other public transactions in order to supply it when the speculative demands arise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public lots and controlling demand and supply. This is a new method to acquire the land according to the market function, which is deviated from the regulation-oriented policy by governmental intervention in land market. The land banking system has a few of advantages as follows: first, it can save the lot compensation cost; second, it can prevent privatization of the development profits; third, it can increase the market's control function in the public area (government). Korean constitution has the ground rules for land banking system which can play abovementioned roles. The ground rules include the reservation of law in the postface of Article 23,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obligation of exercising property rights in compliance with public welfare in Article 23,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expropriation, use and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required for public needs in Article 23, Section 3 of the constitution; social market economy order in Article 119,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obligations and restrictions required for use, effective and balanced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and in Article 122 of the constitution. Although the land banking system legislated by the constitution takes land banking, land selling in advance system and land expropriation as its legal means for acquisition, it has another advantage to reduce the conflicts with the land owners in that it acquires the land by means of purchase in principle. For the success of this land banking system, it should be a long-term project and its purpose should be general one. Its scale should be also large as possible as it can be. The issue in fulfilling such requirements is that a large amount of financial resource should be spent. Given the expenditure of national finance should be based on balance and growth,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o the land banking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ng at a national level.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통합과 선거구획정에 따른 법적 과제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6 No.-

        우리나라는 1991년 주민의 직접선거에 의한 지방의회의 의원을 선출하고 이어 1995년에 주민의 직접선거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장까지 선출하게 됨으로서 형식적으로 본격적인 지방자치가 이루어지면서 실질적으로도 지방자치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정구역의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통합에 의하여 결국 하나 혹은 다수의 지방자치단체가 소멸하게 된다는 점에서 행정체제의 개편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의 문제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인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하고 얽힐 수 있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대한 헌법적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에 의한 지방의회의원의 선거에 있어서의 선거구획정의 문제도 제기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해갈등과 상충의 문제를 오로지 공익의 관점에서 판단하여 결정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가치실현의 관점에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은 그 효율성과 경쟁력의 강화라는 목적의 실현에 기여하는 것이 되는 것이라 하지만 중앙집중의 심화현상으로 인하여 오히려 지방에 대한 중앙통제의 강화로 나타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이 중앙집중을 더욱 강화되게 된다면, 이는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실종으로 이어지는 것임으로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지금까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그 뿌리를 잘 착근해 온 지방자치를 송두리째 흔드는 지방정치의 중앙정치의 예속화를 초래하는 개악이 될 수 있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1조에는 “행정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부응하여 현행 지방행정체제를 개편하기 위한 추진기구 및 절차, 기준과 범위, 국가의 지원 등을 규정함 으로써 지방의 역량 강화, 국가경쟁력 제고, 주민의 편의와 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의 실현은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이라는 방안만이 능사가 아니라 오히려 지방자치의 정착과 지방분권의 강화 및 지역균형발전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통합의 실현을 위해서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4장의 ‘통합 지 방자치단체 및 대도시에 대한 특례 등’의 규정에 따른 예산(제25조), 특별지원(제26조)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 자치단체간의 통합시에 이러한 지원을 할 것이 아니라 현재의 각 기초지방자치단체에도 이와 같은 지원을 한다면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한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이라는 법적 근거에 의하여 행정구역의 개편 과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이 현실화되고 가시화될 것으로 보여 지고 있지만, 지방행정체제 개편추진위원회가 2011년 9월 8일 발표한 매뉴얼에 따르면 “그 추진에 있어서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통합건의서를 광역자치단체의 시ㆍ도지사에게 의견서를 제출하고, 시ㆍ도지사는 이를 지방행정체제 개편추진위원회에 원칙적으로 2011년 12월 말까지 제출하여야 하고, 개편위원회는 2012년 6월 말까지 시ㆍ군ㆍ구 통합방안을 대통령과 국회에 제출하며, 2012년 7월 이후에 지방자치단체간의 통합권고 및 지방의회의 통합의사를 확인한다.”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에도 불구하고 2011년 12월 말까지 기한안에 지방자치단체가 자발적으로 통합건의서를 내는 곳은 한곳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행정체제 개편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은 ‘아니면 말고’식의 우려로 끝나게 될 것이라는 염려가 제기된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의만으로도 나름의 의미를 축적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아니면 말고’식의 특별법이 될 경우 이에 대한 국가와 사회가 지출하게 되는 비용은 너무나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의 진행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라는 목적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가치실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신중하게 고려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Full-scale local autonomy has been achieved formally in our country by selecting local assemblyman of the entity in 1991, and then local governors by resident’s direct elections at 1995, but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reorganizations have been proposed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the local autonomy practically. Though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reorganizations have merits of being able to strengthen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but it could be said that matters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s or its integrations are very important constitutional issues nationally in that one or a lot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disappeared by integrations, and it would entangle and make conflicts from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interests sharply. And a matter of electoral district demarcation will be occurred in elections of local councils’ assemblymen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integrations, thus these interest’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have to rather be judged from value realizations’ perspectives in decentralization of power, not from public interests only. Integration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would contribute to goals such like its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s enhancement, but worries are being suggested that it could come out to central control’s reinforcement owing to intensified symptoms of centralism. If integration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become to strength centralism, this has to become on alert because it follows to disappearance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reorganization having been taken roots well while experiencing trials and errors till now could become a retrogressive revision that would cause subordination of local politics to central ones and thus shaking local autonomy completely. Chapter 1 of he Special Act on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s regulating “promotion organizations and procedures, standard and scopes, and national support etc for reorganizing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by coping with rapid changes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s, and aims at contributing to local competency’s enforcement, national competitiveness’s enhancement, and resident’s convenience and welfare’s promotions”. Realizing such purposes is rather available through local autonomy’s settlement, decentralization’s enforcement, and region’s balance developments than considering the method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ntegrations as the top priority. For realizing integrations, Chapter 4 of he Special Act on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s regulating budget (Article 25) and special supports (Article 26) etc according to ‘exemptions on integrated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large cities,’ but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re able to be strengthened if same supports are made to current each basic local autonomous entity instead of doing such supports to the integrated city between autonomous entities. Though administrative district’s reorganization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integrations are shown as being visualized and actualized by legal bases like he Special Act on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but it regulates that “In its promotions, MayorㆍCounty headmanㆍDistrict leader submit their opinions to MayorㆍProvince Governor, and then the latter submit it to Promotion Committee for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Reorganizations till end June, 2012 in principle. And then the Committee submits integrated plans of local administrative bodies to President and National Congress, and confirms integrated recommendations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integrated willingness of the local council after July 2012.” However, regardless of these regulations, there were not any local autonomous entities that submit integrated proposals voluntarily within the deadline of end December, 2011.

      • KCI등재

        독일 국가규범통제위원회의 역할과 성과에 관한 고찰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68 No.-

        본 연구는 독일의 국가규범통제위원회의 역할과 성과를 살펴보고, 2000년도에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하게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입법평가에 있어서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일은 입법평가에 관하여 의회와 정부차원에서의 오랜 논의를 거쳐 입법평가기관으로서의 국가규범통제위원회를 설립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입법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오늘날 입법의 양적 증가에 의한 규범의 홍수가 문제되고 있다. 입법의 양적 증가는 궁극적으로는 질적 수준의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하더라도 질적 제고가 없는 단순한 양적 증가는 입법에 투여되는 엄청난 국가적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며, 입법의 홍수에 의한 과다규제에 의하여 국민생활의 불편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1990년 말부터 독일에서는 “더 좋은 입법”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입법평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 주된 내용은 첫째, 규범의 홍수 및 과다규제화를 방지하고, 둘째, 정치적 조정에 의한 개입의 효과성 향상, 셋째, 정책결정과정에서 법률의 의도하지 않은 부수효과 및 비용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독일은 2006년 8월 14일 연방의회에서 ‘관료주의 해체 및 보다 개선된 입법’을 위한 「국가규범통제위원회 설치에 관한 법」을 통과시키고서 국가규범통제위원회에 의한 입법평가를 하나의 제도로서 구체화시켰다. 국가규범통제위원회의 행정이행비용의 산출, 현재고 측정, 행정 간소화를 위한 연방정부와의 협력 및 규제철폐를 위한 국제적 협력 등에 대하여 권한을 가짐으로서 행정이행비용의 절감과 규제철폐에 있어서 큰 성과를 내었다. 나아가 그 권한의 행사의 범위를 행정이행비용 측정의 강화, 유효기간부여와 평가,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심사, 연방의회입법에 대한 사전심사 등으로 까지 확대하여 법안의 입법평가는 물론 의회입법에 대하여서도 통제기능도 가지게 되었다. 우리의 경우 독일의 국가규범통제위원회처럼 법안에 대한 사전의 통제방법은 없고 다만 사후에 헌법재판에 의한 통제가 있다. 국회입법에 대하여 입법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것은 입법이 이루어지고 난 후의 평가이며, 설사 입법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대안을 도출한다 하여도 결국은 다시 국회에서의 개정에 의하지 않으면 논의에 불과하게 되어 입법평가의 실효성이 높지 않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입법평가의 실효성과 실용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국가규범통제의 제도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한 점에서 연방의 모든 입법에 대하여 행정이행비용의 심사와 규제철폐의 두 가지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독일 국가규범통제위원회의 역할과 성과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roles & performance of the German National Norms Control Committee, and present useful implications on preparing institutional gadgets for legislation evaluation having been lively discussed also in our nation since year 2000. Germany went through long discussion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administration regarding legislation evaluation, and founded the National Norms Control Committee as a legislation evaluation body, through which it executes systematic, effective legislation evaluation. Problems today lie with a flood of norms resulting from an quantitative surge in legislation. The quantitative surge in legislation has its positive aspect in that the surge may eventually lead to enhanced legislative quality, but a merely quantitative surge with no enhanced quality sucks up tremendous national energy put in legislation procedures and excessive regulation coming from a flood of legislation causes inconvenience to our daily life. To prevent these harmful consequences, Germany started to discuss legislation evaluation as a means of securing "better enactment" around the end of 1990, among whose major contents are first, prevention of flooding norms & excessive regulation, second, enhancement of efficiency via political adjustment & intervention, and third, preparation of institutional gadgets against the side-effects & expenses unintended by pertinent laws through policy-deciding procedure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nation's Federal Parliament passed「The Act on Installation of National Norms Control Committee」 intended to dismantle bureaucracy & secure better legislation' in 08. 2006, thus specifying legislation evaluation by the Committee as an institution. The Committee has reaped huge outcomes in terms of calculating administrative execution costs, measuring the current balance, cooperating with the federal government for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internationally collaborating for nullification of restrictions and etc. Further, it got to have not only the function of evaluating legislation but also the function of controling the parliament's legislation by enlarging the scope of its authority to reinforced measurement of administrative execution costs, bestowment/ evaluation of valid period, review over feasibility of methodologies, prior review of the federal parliament's legislation and etc. In our case, we don't have prior control methods like Germany's National Norms Control Committee, but only have specific norms control via post-event constitutional trials. Though laws made by the congress are evaluated, the evaluation takes place after laws are enacted. Though an optimal alternative is drawn out via legislation evaluation, it has low effectiveness since it will remain as a mere discussion unless it gets revised by the congress again. Accordingly, our case also necessitates building up a system for national norms control that will guarantee the effectiveness & practicality of legislation evaluation. In this regard, the roles & outcomes of German National Norms Control Committee mainly carrying out review over administrative costs of all legislations & nullification of restraints bear much implication to us.

      • KCI등재

        택지개발사업에 있어서 민간에 대한 수용권부여의 문제점 검토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0 No.-

        우리의 택지개발촉진법에는 원활한 택지조성을 위하여 민간에 의한 토지수용권을 부여 하고 있다. 문제는 택지는 전국적 단위의 일반성.광범위성으로 인하여 민간에 의한 수용권 부여는 전면적 토지수용권의 부여로 나타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특정 영역에서의 민간에 의한 수용권보다 더 엄격하게 정하여야 한다. 나아 가 민간 또는 민간기업에 의한 토지수용에 의한 공익사업은 국가나 공공단체의 사업처럼 사후적․계속적 실현이 보장되어 있지 아니한 점에도 문제가 있다. 이들에 있어서는 본래의 기업목적인 영리추구가 당해 공익사업의 수행과 조화를 이룰 수 없을 때 그 공익사업의 실현은 소홀해 지거나 포기될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민간에 대하여 토지수용권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공공부분이 수행하는 것보다 그 요건과 행사에 있어서 보다 더 엄격하게 규정하여 공익성을 더 고양시킬 수 있게 하여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을 어느 정도 걸러낼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민간에 의한 토지수용은 공공기관에 의한 수용과는 달리 사업의 계속적 수행을 강제할 수단이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민관협동법인에 의한 토지수용의 방식에 의하게 하는 것도 방안이 된다. 민간협동법인의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민간기업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에도 그 이행을 완성할 수 있는 국가나 공공기관이 남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Korean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romotion Act grants the eminent domain by the private sector for smooth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The problem is that due to the national generality․extensiveness of residential land, grant of eminent domain by private sectors would be shown a full-fledged grant of eminent domain. To resolve such problem, it should be defined more rigorously than eminent domain by private sectors in another specific area. In addition, unlike national works or government business, public services by expropriation by private sectors or private enterprises cannot assure continuous ex-post achievement in profits. If their genuine purpose, pursuit of profits doesn't come up with the conduct of competent public work, there is always a risk that the achievement of the public work would be neglected or given up. In case of granting eminent domain to private sectors, the requisite and use should be regulated more strictly rather than one of public sector to enhance the public interest and sort out companies with the object of the pursuit of profits to some degree. Also, unlike expropriation by public institutions,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ompulsory measure to continue the performance of a project in expropriation by private sectors. A way to resolve this problem can be expropriation by public-private corporation. In case of a process is done by private joint corporation, even if a private enterprise back out, a state or public institution that could finish the performance will remain and complete the project in the long run.

      • KCI등재

        토공과 주공의 통합에 대한 비판론적 검토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2 No.-

        Korea Land Corporation and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re public enterprises. A public enterprise is an enterprise managed directly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or their corporations for social public welfare. A public enterprise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private enterprise in that it is an enterprise operated under the direct or indirect participation of national governments or others, but means a business managed for social public welfare, i.e., a business to provide goods or services needed for the life of people or residents. Korea Land Corporation aims to “contribute to the healthy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y accelerating the efficient use of land resources and promoting the synthetic use an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rough the acquisition, management, development and supply of land(Korea Land Corporation act, article 1).” Korea National Hosing Corporation aim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people's life and enhancement of public welfare through the construction, supply and management of housing and improvement of inferior housing(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ct, article 1).” Compared with Smend's consolidation process theory, the consolidation of public enterprises should be promoted in an ultimately personal, functional and material consolidation's point of view in order to realize its completion. There should be a legal review in the end in such consolidation. This is just the request from a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 state

      • KCI등재
      • KCI등재

        국민행복 실현의 동반자로서 사회적 약자의 보호에 관한 일고찰

        정극원(JEONG, Kuk Won) 유럽헌법학회 2013 유럽헌법연구 Vol.14 No.-

        2012년 12월 19일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박근혜대통령은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실현을 가장 우선적인 실천과제로 제시하였고, 이에 발맞추어 정부의 각 부처와 나아가 국가정책연구원 등이 앞 다투어 창조경제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창조경제를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국민의 행복실현이다. 국민행복의 실현에 있어서 한 가지 간과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로 소수자 또는 사회적 약자 보호의 문제이다. 사회적 약자 및 사회적 소외계층에는 그 대상으로서 장애인, 노약자 및 다문화가족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영역별로 정치적 영역ㆍ경제적 영역 및 사회적 영역으로도 분류할 수 있다. 소수자의 보호 또는 사회적 약자의 보호는 보다 완전한 사회통합을 이루는 계기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보다 진전된 선진국가로 나아가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 점에서 헌법의 중심문제가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생략하고 헌법 상 규정된 각 영역별 사회적 약자의 보호에 한정하여 일고찰하고 그 대안적 방안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루게 되는 것은 첫째, 정치적 영역에서의 사회적 약자의 보호(기탁금제도에 관한 것임), 둘째, 경제적 영역에서의 사회적 약자의 보호(농ㆍ어민 및 중소기업의 보호ㆍ육성과 소비자보호), 셋째, 사회적 영역에서의 사회적 약자의 보호(특히 시각장애인의 보호) 등이다. 창조경제를 통하여 실현하려고 하는 것이 눈앞의 경제부흥과 나아가 이러한 경제부흥의 지속적인 발전을 구가하는 것이라 하여도 그 내용면에서 소수자 혹은 사회적 약자의 보호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창조경제와 사회적 약자의 보호를 통한 사회통합의 실현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 또한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당연히 누릴 권리가 있으며,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영역에서 국민으로서 행복실현의 향유에 있어서 예외자가 아니라 동반자임은 너무나 자명한 것이다. President, Park Geun hye to have win on election on December 19 2012 proposed Creative Economy and realization of national happiness. And moving pari passu with the proposition, each government ministry and National Strategy Institute are drawing up a plan of Creative Economy. The goal of Creative Economy is definitive realization of national happiness.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or the weak through the realization of national happiness is a problem that cannot be ignored. The weak and neglected class of people include the old and the infirm, the disabled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they are classified as political, financial and social domain. It is crux of the matter of constitution that protection of minorities or the weak come into social integration futhermore it become the touchstone of advanced nation. This research paper dispense with theoretical discussion only just consider protection of areal the weak at the set constitution. And supplementarily suggest an alternative.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as in the following; 1st, protection of the weak in the field of politic -details about donation system; 2nd, protection of the weak in the field of economy -protection of farmers and fishmans, promotion of small and medium firms and protection of consumers; 3rd, protection of the weak in the field of society -especially details about the blind. The policies of Creative Economy must consider protection of minorities and the weak in contents although the policies seek short-time economic development or continuous economic growth (in objective). In that regard it is a problem common to both, if anything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by Creative Economy and protection of the weak. Minorities and the weak have the human right to enjoy debase and value as human. And it is obvious that they are partners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not outlier of enjoying happiness as people.

      • KCI등재

        헌법체계상 환경권의 보장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2

        오늘날 현대국가에 있어서의 환경보호의 문제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의 숙명적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과제로서의 환경권의 보장에 대하여 각국에서는 법률의 단계에서 보장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헌법에서는 기본권으로서 규정하여 보장하고 있다. 즉 헌법 제35조 제1항에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제2항에서는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에 관하여는 법률로 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 제35조의 환경권은 주관적 공권성을 가지는 기본권이다. 환경권은 국가작용의 기준과 지침이 되며, 입법에 있어서의 해석기준이 된다.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의 등장은 연혁적으로 오래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규범내용에 대하여서도 정립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하겠다. 따라서 환경권은 입법형성의 의하여 권리의 구체화가 이루어진다. 입법형성에 의한 권리의 구체화에 있어서 환경권의 보장이 다른 기본권보장의 강화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보호에 대한 강한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다른 기본권의 제한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환경권의 보장이 다른 기본권의 제한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있어서 환경권의 보장과 마찬가지로 다른 기본권의 보장도 같은 척도로 보장될 수 있게 하여야 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환경권의 보호대상을 보다 자연환경에 맞게 명확히 하여, 환경권의 보장이 특히 다른 기본권과의 관계에서의 다른 기본권을 제한하는 것으로서의 보장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보장으로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Der modernen Staat ist angesichts der Schicksalaufgabe des Umweltschutzes zu einer schwierigen Gratwanderung gezwungen. In Korea ist das Umweltrecht verfassunsrechtlich verankert, so es um Grundrecht. Im Jahre 1980 verfürte die koreanische Vverfassung(KV) unter der Überschrift “Rechte und Pflichten der Staatbürger” das Umweltrecht als Grundrechte. Art. 35 Abs. 1 KV: Alle Staatbürger haben das Recht, in einer erfreulichen Umwelt zu leben. Der Staat und alle Staatbürger haben haben die Pflicht, die Umwelt zu schützen. Abs. 2: Inhalt und Ausübung der Umweltrechte wird durch Gesetz bestimmt. Ausweilich normiert Art. 35 KV ein Grundrecht, es sich um einen subjektiven Anspruch des einzelnen handelt. Dadurch ist der Umweltschutz eine Richtlinie oder Direktive für das staatliche Handeln, auch für die Auslegung von Gesetzen und sonstigen Rechtsvorschriften in Bedeutung. Heirnach normiert auch Gesetzgebungsauftrag, um den Inhalt der Umweltrechte zu bestimmen. Der weite Gestaltungsspielraum des Gesetzgebers folgt daraus, inwieweit der Einzelner sein Umweltrecht ausübt. Es scheint auf Grund der Realisierung der öffentlichen Interesse das Umweltrecht verstärken, Dagegen werden die anderen Grundrechte abchwächen. Im Verfassungsrechtssystem sind die anderen Grundrechte ein real gleiches Mass an Umweltrecht garantieren.

      • KCI등재후보

        위험사회에 대한 대응과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의 내용

        정극원(JEONG,Kuk Won) 유럽헌법학회 2011 유럽헌법연구 Vol.9 No.-

        오늘날 고도로 발달한 기술문명은 위험에 대한 예측은 물론 위험에 대한 대비능력을 높여주고 있지만, 최근 아이슬란드의 화산분출과 일본에서의 대지진과 같이 과학의 발달을 이룬 인간의 능력으로서도 쉽게 대처할 수 없는 통제불능의 대량위험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이러한 위험에 대비하고 재난을 복구하기 위하여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을 제정하고 있다. 법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토를 보존하고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제를 확립하고, 재난의 예방ㆍ대비ㆍ대응ㆍ복구 그 밖에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재난은 사전적 예방을 통하여 본래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지 사후적 복구를 통하여서는 그 완전성이나 재정면에서 너무나 큰 대가를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적 재난의 예방과 사후적 재난관리의 절차는 재난의 대비와 복구에 있어서 예견되는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재난이 발생한 후 기관간의 혼선으로 인하여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효과적인 복구에 전념하는 것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최우선적인 과제가 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재난대응에 있어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포괄적 대응이 필요한 것이다. While present highly advanced technological civilization not only anticipate a risk but develop preparedness ability for a risk, it has been shown that large risks being out of control such as current volcanic eruptions in Iceland and the big earthquake in Japan which cannot be easily handled even with human capacity achiev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 case of Korea,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was enacted to prepare such risks. The act establishes the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s and safety of the stat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preserve the territory and protect the life, body and property of people against various disasters, and provides the requirements on preventionㆍpreparednessㆍresponseㆍrecovery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re is a problem; prevention can obtain the primary effect against disasters but post-recovery should pay a heavy price in terms of completeness or fina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cted problems on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post management of disasters regarding preparedness and restoration of disasters. With this, it is to make the stat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contribute to effective restoration after a disaster as their top priority not just being busy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because of confusion among them. To heighten the effect of the response to disasters, a comprehensive response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