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2-7세 정상아동의 /ㅅ/ 와 /ㅆ/ 말소리 발달 연구

        전희정(Hee Jung Cheon),이승환(Seung Hwa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음장애아동에게서 가장 자주 대치되는 말소리인 /ㅅ/ 와 /ㅆ/ 의 발달 및 습득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다. 2- 7세 정상아동 286명을 연구대상으로 60개의 그림카드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ㅅ/ 와 /ㅆ/ 에 해당되는 4개의 말소리, 즉 [s], [s], [s], 그리고 [s']를 검사하였다. 그리고 19개의 반응범주를 사용하여 2명의 평가자가 전체 아동의 반응을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ㅅ/ 계열소리는 [s], [s], [s], 그리고 [s']의 순서로 발달되었으며 다른 모음에 비해 /이/ 모음 앞에서 가장 먼저 습득되었다. 또한 /ㅅ/ 계열 소리는 생략 및 /h/ 로부터 시작하여 치경파열음(/ t/ , /t'/ 또는 /th/), 파찰음(/c/ , /c/ 또는 /ch/), 구개마찰음(/s/ 또는 /s/), 그리고 치간마찰음(/Θ/ 또는 /Θ/) 등의 과정을 거쳐 발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 s/ (lax) and / s / (tense), which are most frequently substituted Korean speech sounds by children with articulatory-phonological disorder s. Two hundred and eighty- six subject s aged 2- 7 year 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y picture cards were used to elicit the children s productions of four Korean sounds, [ ], [ ], [s], and [s ], which correspond to the allophonic realizations of the two Korean sounds / s/ and / s / . All the test procedures were tape- recorded and the responses of all subject s were evaluated by two examiner s. The result 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developmental sequential order of the target sounds were found to be [ ], [ ], [s], and [s ]; (2) It was found that the target sounds were acquired fir st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yllable preceding / i/ ; (3) In terms of omissions and substitutions, the fricative consonant s in concern are fir st omitted, and then substitutions with either alveolar stops (/ t/ , / t / , or / th/ ) or affricates (/ c/ , / c / , or / ch/ ) occur , which is followed by the substitutions with palatalized fricatives (/ / or / / ). In the next stage, the interdental fricative of / / substitutes for / s/ or / s /.

      • KCI등재

        동사의미역강화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동사 및 명사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

        곽은정(Eun Jung Kwag),성지은(Jee Eun Sung),김연희(Yun-Hee Kim),전희정(Hee-Jung Ch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사 의미역을 활용한 동사네트워크강화 중재를 통해 동사이름대기 과제에서 수행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실어증 중증도가 경도에서 중도에 해당하는 좌반구 손상에 기인한 실어증 환자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어증 환자에게 동사 의미역을 활용한 동사강화중재(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를 실시하여 중재한 동사의 효과크기와 중재하지 않은 의미 관련 동사로의 일반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명사이름대기 및 실어증지수의 변화를 사전-사후평가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자 3명 모두에서 중재효과를 나타났으며, 특히 대상자 1의 경우 큰 중재 효과크기가 관찰되었다. 또한 중재하지 않은 의미 관련 동사 이름대기 자극에서도 대상자 모두 일반화 효과를 보였으며, 명사이름대기와 실어증지수에서의 사전-사후검사에서도 수행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동사 의미역을 활용한 네트워크강화중재는 중재한 동사뿐만 아니라 중재하지 않은 의미 관련 동사에까지 일반화를 가져오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영어권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서, 한국어 동사중재에서도 의미역을 활용하는 것이 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산출능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 (VNeST) is a semantic treatment to improve lexical retrieval of content words in sentence context by promoting systematic retrieval of verbs and their thematic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NeST on Korean individuals with mild to moderate aphasia. Methods: Three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due to a stroke in the left hemisph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reatment followed the steps of 1) naming of the target verbs, 2) generation of three agents or themes for target verb, 3) generation of corresponding agents or theme, 4) answering to wh-questions about agent-theme pairs, 5) semantic judgment of each sentence, and 6) naming of the target verbs.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Effect sizes of the treatment were also obtained.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on trained verbs in all participants. They also presented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ained verbs. In addition, participants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on noun naming tasks, and aphasia quotient increased in the post-treatment phases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phase.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VNeST was effective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from English speaking individuals with aphasi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alidate the treatment efficacy by including more participants with various severity and types of aphasia.

      • KCI등재

        CILT 중재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구어의사소통능력과 정보 전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윤진(Yoon Jin Han),성지은(Jee Eun Sung),김연희(Yun Hee Kim),전희정(Hee-Jung Ch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목적: 집중적인 치료일정 안에서 구어사용을 극대화 하도록 구조화된 치료프로토콜인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이하 CILT)는 지난 10여년간 많은 연구들을 통해 실어증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이는 중재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비유창성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특징을 고려한 CILT 중재가 표준화된 검사로 나타나는 구어의사소통능력과 Correct Information Unit (이하 CIU)분석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전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루 140분(2.3시간)총 10회의 CILT 중재를 약 3주간의 집중적인 일정으로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설계로 중재 전에 비하여 중재 후의 파라다이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PㆍK-WAB)의 실어증 지수,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의 총점, 총 CIU수, CIU 비율, 분당 CIU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CILT 중재 실시 후 PㆍK-WAB 실어증지수와 K-BNT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CIU분석의 총 CIU수, CIU 비율, 분당 CIU수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CILT 중재가 실어증환자에게 효과를 보이는 접근 방법임을 지지하며, CILT 중재에 포함된 다양한 요소별 중재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CILT) focuses on improving acquired expressive language deficits after stroke by applying intensive, short-term therapy with a heavy emphasis on verbal languag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outcome of a CILT program in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The study investigated verbal language abilities through standardized test measures and language sample by Correct Information Unit analysis.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6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caused by left hemisphere stroke.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A 10-day/2.3 hours a day CILT intervention case series were performed with 6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following left CVA. Procedures involved card activities using high and low frequency picture stimuli with communicative relevance at 4 levels of complexity, in a small group with a SLP. Participants took turns verbally asking for a card from their partner. A barrier was placed between participants to ensure that they could not use gestures or hand writing to facilitate their requests. In this study, the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erformances of all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Wilcoxon Signed-Ranks Test.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phasia Quoti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Aphasia Battery in the post-treatm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2)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in the post-treatm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3)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rrect Information Unit analysis in the post-treatm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 CILT program using intensive and forced-use verbal language modality was beneficial to verbal language performance of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