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만 학생들과의 원격화상수업이 한국 초등학생들의 다문화역량 및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전희영(Jeon, Hee-young),임현우(Lim, Hyun-Woo)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3 영어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tercultural telecollaborative videoconferencing on Korean English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peaking ability. Fifty six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Being divided into two groups, they were given 24 hours of lessons designed based on the same cultural topics, contents, and language foci. Yet the less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2 hours' telecollaborative instructions including four times' direct videoconferencing with Taiwanese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fter the eight weeks'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orup. Both groups of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ies but there was no between-group difference. The students' actual English use during videconferencing classes varied in terms of the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indicating that multiple factors, such as topic familiarity, communicative strategies use, and anxiety, could influence students' actual English use in class. Overall,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positive effects of telecollabor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peaking ability. Discussion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In vitro 및 in vivo에서 검은콩 추출물의 육모 효과

        전희영(Hee Young Jeon),김승훈(Seung Hun Kim),김채욱(Chae Wook Kim),신현정(Hyun Jeong Shin),서대방(Dae Bang Seo),이상준(Sang J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검은콩의 육모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은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유두 세포의 성장 촉진과 모세혈관 확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C57BL/6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검은콩 추출물의 경구 섭취가 모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2% minoxidil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검은콩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모세혈관을 확장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성장기 모낭 유도 촉진 효과를 통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액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고 혈중 중성 지질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 혈액을 맑게 하고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어 육모 및 모발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은콩 추출물의 우수한 육모 효과를 확신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의 인체 효능 평가와 검은콩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을 규명하는 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민간에서 널리 알려진 검은 콩의 육모 촉진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검은콩 추출물이 혈액 순환 개선 및 모발 성장 주기 조절을 통해 모발 건강 개선 및 육모 촉진제로써 이용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black soybean (Glycine max: BB) prevents and alleviates hair loss. However, few studies have directly assessed the effect of BB on hair growth. We presently evaluated the mitosis induction on dermal papillae cell and mitogenic effect on NIH3T3 cells in vitro. To elucidate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in vivo, anagen induction and hair restoration were examined in a shaving model of C57BL/6 mice. We also conducted biochemical analysis of blood plasma. Significant stimulation of dermal papillae and NIH3T3 cell proliferation were observed by treatment of BB in a dose-dependent manner. BB markedly promoted hair growth and significantly improved blood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reduced lipid peroxidation and triglyceride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B has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and it is a potent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of hair loss.

      • KCI등재

        VEGF와 HGF에 의해 유도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

        전희영(Hui Young Jeon),김환규(Hwan Gyu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10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hepatocyte growth factor (HGF)는 강력한 혈관신생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이동하고 침윤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증식과 더불어 주변의 세포외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악성신경교종 유래 세포주인 U-373-MG 세포에 VEGF와 HGF를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와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처리를 통하여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VEGF와 HGF의 병용처리 시 VEGF와 HGF의 단독 처리 시보다 세포의 증식,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VEGF와 HGF 처리에 의한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 증가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를 MMPs 억제제인 BB-94를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이동 효과를 나타낸 HGF와 VEGF의 병용처리군 보다 세포의 이동이 32% 억제되었고 플라스민 억제제인 α2AP에 의해서도 29% 억제되었다. 또한 U-373-MG 세포의 침윤 역시 BB-94와 α2AP 처리에 의해 유의할 만하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VEGF와 HGF에 의한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증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을 증가시킨다고 여겨진다.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re potent angiogenic factors that have been used clinically to induce angiogenesis. To enable migration and invasion, cells must proliferate and secrete proteinases, which degrade the surrounding extracellular matrix.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ell prolifer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and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ma-derived U-373-MG cells induced by VEGF and HGF treatment. An additional goal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levat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contribu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nd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EGF and HGF-treated U-373-MG cells.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increas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i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they were treated with MMPs inhibitor (BB-94) and plasmin inhibitor (α2AP) prior to VEGF or HGF stimulation. The BB-94 and α2AP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as compared with the VEGF- and HGF-treated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hibition of MMPs and plasmin reduce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 KCI등재후보

        온도 자극 손상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시 비타민 C의 세포보호 효과

        전희영 ( Hui Young Jeon ),노정애 ( Jung Ae Noh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1

        The high-dose exposure of sun light would get seriously damaged human skin cells, leading to cytoplasmic contraction or nuclear fragment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vitamin C, a well-known antioxidant, affects on injury of HaCaT cells damaged by heat. The cell injury by thermal stimulus was determined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and MTT assay using human HaCaT keratinocytes. Also, protective effect of vitamin C against thermal stimulus-induced HaCaT cells was confirmed by MTT and LDH assays. The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p?0.01) reduced by thermal stimulus at 70℃ for 5 min, and pre-treatment of 200 μg/mL of vitamin C to the cells before thermal stimulus at 70℃ for 5 min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significantly (p?0.01) reduced the activity of lactate dehydrogenase (LDH).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min C is effective in regulating the cytotoxicity effects of HaCaT cells.

      • SCOPUSKCI등재

        클로로필 a가 UVB 유도성 산화적 스트레스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활성화 및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

        전희영(Hee Young Jeon),김정기(Jeong Kee Kim),서대방(Dae Bang Seo),이상준(Sang J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클로로필 a를 이용하여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손상 및 MMPs의 변화를 평가하고, 콜라겐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클로로필 a는 UVB에 의해 유도되는 ROS의 발생을 저해함으로써 그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물리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신호 전달을 방지하는 효능을 가지며, 지질 과산화 역시 억제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피부의 콜라겐, 탄력 섬유 등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여 피부 광노화에 대한 예방제로서 클로로필의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피부에 대한 클로로필의 효능은 DMBA 또는 TPA 등의 화학 물질로 유발된 피부암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효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본 연구와 같이 UVB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반응에 대한 클로로필 a의 효능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로로필의 피부암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피부 노화의 예방 관점에서 클로로필의 효능을 검토하고 확인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클로로필의 농도 의존적 효능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어 클로로필 효능의 농도 의존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클로로필의 농도에 따른 효능 및 세포 독성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동물, 인체효능 용량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가장 바람직한 효능을 나타내는 클로로필의 농도를 산정하기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피부 노화 예방을 위한 유용한 소재로서 클로로필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동물, 인체 시험을 통한 클로로필의 효능 검증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hlorophyll has many benefici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Chlorophyll has been also shown to have an excellent chemopreventive potential against skin tumor. Its preventive mechanism against skin tumor, however, has not been examined in detail. Furthermore, the effects of chlorophyll on UVB-induced cellular respons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Solar UV radiation, in particular its UVB component, is the primary cause of many adverse biological effect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photoaging and skin cancer. We investigated the preventive effects of chlorophyll a on UVB-mediated responses in human immortalized HaCaT kerationocytes and normal human fibroblast. We found that treatment of chlorophyll a markedly inhibited UVB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ipid peroxidation. Chlorophyll a also prevented UVB-induced MMP-1 expression and MMP-2 activation and increased Type I pN collagen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lorophyll a is a potent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UVB-induced skin cancer and photoaging.

      • KCI등재

        이슬람의 가상공간 인터넷과 e-무슬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전희영(Jeon, Hee-Young),조희선(Cho, Hee-Sun) 한국중동학회 2012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2 No.3

        Nowadays, the spread of the internet which is the field of activity of e-Muslims became a main trend even in Islamic world, and the Islamic web-sites increased very sharply in comparison to other religious web-sites. The reason of this outburst of Islamic web-sites is not irrelevant to the reality of Islamic society. The Muslims in most of the Islamic society feel that they are living under oppressiv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that their religion is recognized too negatively to the outside world. In this situation, young Muslims have entered into the cyberspace of internet which is characterized by anonymity, invisibility, interactivity, and disinhibition to express their feelings, ideas, and views which had been suppressed by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restrictions and constraints. But so called ‘e-Muslims’ who present their identities as Muslims on the internet could not be totally free from the mechanism of real society. And they present their linguistic, cultural,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identities in cyberspace directly or indirectly, sometimes in conformity with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the real society and sometimes in conflict with them.

      • SCOPUSKCI등재

        무모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 효과

        전희영(Hee Young Jeon),김정기(Jeong Kee Kim),김완기(Wan Gi Kim),이상준(Sang J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6

        In vivo에서 8주간의 UVB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커큐민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UVB에 의해 유도되는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증가와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이 커큐민의 섭취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커큐민이 피부 장벽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피부 장벽기능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 조절인자에 대한 커큐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커큐민은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커큐민이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고 세라마이드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커큐민이 피부 장벽 보호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식품 소재로써 커큐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간 보고된 커큐민의 낮은 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에서 유효한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curcumin has beneficial effects in a variety of skin diseases, including scleroderma, psoriasis, and skin canc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vivo and in vitro.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vivo, hairless rats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and curcumin was administered orally at a dosage of 150 ㎎/㎏ per day for 8 weeks.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epidermal thicknes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expression of filaggrin, a marker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serine palmitoyltransferase (SPT), a marker of the formation of the stratum corneum lipid barrier,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were analyzed. The in vivo results showed that an 8 week administration of curcumin markedly prevented the UVB-induced increase in TEWL. The UV-induced increase in epidermal thickness was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curcumin treatment. The in vitro results demonstrated the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curcumin on the expression of both filaggrin and SPT in HaCat cells, reflecting the notion that curcumin can induc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can improve the recovery of skin barrier func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urcumin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improvement of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 SCOPUSKCI등재

        경구용 생약 복합 조성물과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복합 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 효과

        전희영(Hee Young Jeon),김승훈(Seung Hun Kim),신현정(Hyun Jeong Shin),서대방(Dae Bang Seo),이상준(Sang J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경구용과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병용 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C57BL/6 model을 이용하여 검은콩을 포함한 경구용 생약 복합 조성물과 탈모 방지 의약 외품의 주요 효능 조성물로 구성된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복합 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경구용 생약 복합물을 섭취하거나 경피용 외용제외 도포하였을 때 성장기 모낭을 유도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승 효과는 외용제에서 나타나지 않은 경구제의 혈액 지표 개선 효과가 두 방법을 복합 사용할 경우 더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경구제와 외용제의 병용에 따른 상승 효과를 확신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5α-reductase를 비롯하여 탈모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지표들의 변화를 평가하고, 이러한 효과가 인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도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특이적인 효과가 아님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질을 이용한 평가가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간 막연하게 사용하였던 경구제와 외용제의 복합적인 사용이 기전적으로 구분되어 상승 효과를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모 치료법의 적절한 병용을 통하여 보다 나은 탈모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various treatments available for alleviating hair loss and combination treatments are commonly used, which are frequently questionable and in eff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oral herbal composition and topical hair tonic on anagen induction and hair restoration in a shaving model of C57BL/6 mice. Seven-week old mice were trimmed by electric clippers and treated with oral herbal composition and topical hair tonic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The combination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Moreover, it significantly improved total blood antioxidant capacity and reduced lipid peroxidation and triglyceride level, which was not observed in the topical hair tonic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oral herbal composition and topical hair tonic has a synergistic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and such synergism may be the result of the differing hair regrowth mechanisms concerning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