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州地域의 우물을 통해 본 時代別 都市變遷 硏究

        전혁기 한국문화사학회 2020 文化史學 Vol.0 No.53

        본고에서는 청주지역에서 발굴조사 된 통일신라~조선시대 우물을 형식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시간성을 검토하여 변천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주지역의 시대별 도시변천 양상을 검토하였다. 청주지역에서 확인된 통일신라~조선시대 우물은 평면형태가 Ⅰ(상부 원형+하부 방형 : ), Ⅱ(상하부 원형 : ), Ⅲ(상하부 방형 : )으로 분류되며, 단면형태는 a(中廣形 : ), b(中狹形 : ), c(筒形 : ), d(上廣下狹 : ), e(上狹下廣 : )으로 분류된다. 통일신라시대는 Ⅰa( - ), Ⅰb( - ), Ⅰc( - ), Ⅱc( - )형식이 축조되었다. 우물은 바닥에 방형의 목재를 대고 벽석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상부는 원형으로 마무리하는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단면형태는 중광형ㆍ중협형ㆍ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축조되었다. 이 당시 우물은 西原京의 도시조성 및 확장성에 따라 무심천 서쪽에서 일부는 무심천 건너 동쪽으로 축조공간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고려시대는 Ⅰd( - ), Ⅱc( - ), Ⅲc( - )형식이 축조되었다. 우물은 석재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바닥을 조성하고, 통형으로 올라가 원형으로 상부를 마무리하는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우물은 이전시기에 비하여 서쪽은 사직동 일대, 북쪽은 북문로 2가 일대, 동쪽은 문화동, 남쪽은 모충동 일대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연속되는 무심천을 중심으로 도심이 재편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무심천 동쪽의 우물은 고려시대의 나성축조 및 도심 경영과 관련 있으며, 무심천 서쪽은 용화사와 흥덕사 등의 사찰경영과 관련된 도심공간의 재편성을 추론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Ⅱc( - ), Ⅱe( - ), Ⅲc( - )가 축조되고 있다. 우물은 석재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바닥을 조성하고, 상협하광형 또는 통형으로 올라가 원형으로 상부를 마무리하는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 확인되는 우물은 청주읍성 내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고려말의 홍수와 청주읍성을 새롭게 축조함으로써 읍성을 중심으로 도심이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well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o Chosun Dynasty that were excavated and surveyed in the Cheongju region to identify the changes and transformations by examining temporality.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paper reviewed the historical changes and transformations of cities in Cheongju by period.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Ⅰa(-), Ⅰb(-), Ⅰc(-), Ⅱc(-) forms were constructed. The main format of construction of the wells was to put square wood on the floor to start to build wall stones then to finish the upper part in a circular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was found to be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wide-middle type(中廣), narrow middle-type(中狹), and cylindrical type.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places of the wells at the time could be found as some were constructed in the west(ⅠaㆍⅠb) of Musimcheon while others were in the east(ⅠcㆍⅡc) of Musimcheon according to the urban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Seowon-Kyoong (西原京). In the Goryeo Dynasty, the forms of Ⅰd(-), Ⅱc(-), Ⅲc(-) were built. The method mainly used to build wells involved laying stones to form the floor in a circular shape, building up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nishing the upper part in a circular shape.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wells tend to expand to Sajik-dong area to the west, Bukmun-ro 2-ga area to the north, Munhwa-dong to the east, and Mochung-dong to the south. Thi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city center around Musimcheon,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addition,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wells in the east of Musimcheon ar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city enclosure in the Goryeo Dynasty and urban center management, while the wells in the west of Musimcheon relates to the restructuring of the urban space in regards to the management of temples such as Yonghwasa Temple and Heungdeoksa Temple. n the Chosun Dynasty, Ⅱc(-), Ⅱe(-), Ⅲc(-) were being constructed. The wells were mainly built by the form of making the foundation in a circular shape using stones, building up in a narrow-top-wide-bottom or cylindrical shape, then finishing the upper part in a circular shape. The wells that could be identified in the Chosun Dynasty are concentrated inside Cheongjueupseong Fortress, which shows that the urban center was concentrated around the Eupseong due to the floo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new construction of Cheongjueupseong Fortress.

      • KCI등재

        충주 탑평리 황새머리 백제고분군의 양상과 그 의의

        전혁기,신지향 고조선단군학회 2023 고조선단군학 Vol.51 No.-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architecture and funerary objects of Baekje tombs, centering on exploring the Hwangsaemeori ancient tombs nestled in Chungju Tappyeong-ri. With a foundation rooted in archaeological discoveries, it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period when Baekje expanded into and established its presence in the Chungju region. In Hwangsaemeori burial mound, the excavation has brought to light stone chamber tombs and stone-lined tombs. Remarkably, these tombs belong to the Hanseong-Baekje era and have been uncovered in this area for the first time. The stone chamber tombs exhibit square or rectangular forms featuring arch-shaped ceilings, reminiscent of the Songsan-ri and Suchon-ri architectural styles discovered along the Han River, Miho River, and Geumgang River Basins. The stone-lined tombs have corners that alternately embrace a rounded or right-angled articulation. The construction style of these tomb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types based on the materials used: cut 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flat cut stones and small flagstones, and large flag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e evolution in shape is eloquently portrayed as the corners transition from rounded to right-angl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shift from utilizing cut 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rough flat cut stones and small flagstones, culminating in the large flag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e funerary objects consist largely of jars and cups. The jars are mostly paddled patterns. Notably, one long-necked jar with a wide rim, embodying a central style, was discovered. Straight-necked jars were not found. In contrast, mounted cups and flat cups were unearthed in significant quantities. These ancient Hanseong-Baekje tombs unearthed in the Chungju region are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e late 4th century through the mid 5th century. Importantly, they offer invaluable insights into the timeline of Baekje's territorial expansion into the Chungju area, thus contributing to our understanding of this historical progression. 본고는 충주 탑평리 황새머리 고분군을 대상으로 구조와 부장유물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백제의 충주지역 진출과 점유시기에 대해 시론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황새머리 고분군은 충주지역에서 백제 한성기의 석실묘와 석곽묘가 처음으로 확인된 곳이다. 먼저 석실묘는 평면형태가 방형과 장방형이며, 천장구조는 궁륭형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강, 미호강,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先송산리형과 수촌리형의 형태와 유사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석곽묘는 모서리의 형태가 말각과 직각으로 구분된다. 벽체는 할석‧괴석, 편평할석‧소형판석, 대형판석‧괴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이는 모서리의 형태가 말각→직각, 벽체의 축조 방식이 할석‧괴석→편평할석‧소형판석→대형판석‧괴석으로 변화하는 백제 석곽묘의 전반적인 양상과 유사하다. 부장유물은 호류와 배류가 공반 부장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호류는 타날 된 개체 수가 많지만, 중앙양식으로 분류되는 광구장경호는 1점이 출토되었고, 직구단경호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다르게 고배와 개배는 다양한 양상으로 다수 부장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황새머리 고분군이 조성된 시기는 약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중반까지로 볼 수 있다. 이는 백제가 충주지역까지 진출한 이후 고구려와의 전쟁 속에서 경영된 시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과 排水體系

        전혁기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location,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dentified in the fortress adjacent to the Namhan River basin.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fortress's drainage system by exploring the related remain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around the 7th century by Silla. It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square or rectangular (◇) planar forms with diagonal cross-sectional shapes, to square, rectangular, or circular planar forms with vertical or stepped cross-sectional shapes. The unique rectangular shape (◇) is particular to this region. This modification appears to be meant to withstand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more efficiently. The drainage system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closely linked to a water source management facility. This system comprises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an aqueduct, protective stonework, drainage channel, pumice stone facility, water collection facility, spillway, and drainage hole (fortress wall). This mechanism is typically found at the bottom of a fortification, on a slope.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here not only reserves collected water in the valley but also slows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ground erosion and protect the fortress wall. Building a water collection facility first could have been considered to enhance the moist conditions of the low-lying area and stabilize the foundation. The water collection system in a fortress should be viewed as an essential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rather than as a separate facility created within a fortress. Therefore,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water collection system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changes of a fortress. 본고에서는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의 입지와 구조를 분석하고 변천양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집수시설의 附屬 유구를 통해 성내 排水體系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은 신라가 축성한 성곽에서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축조‧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평면 – 방형(◇) + 단면 – 사면형에서 평면 – 방형, 원형, 말각다각형 + 단면 – 수직형, 계단형으로 변화하는 양상이다. 특히 평면 ‘◇’ 형태의 집수시설은 남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 성내의 土壓과 水壓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내 배수체계는 집수시설과 수원관리시설의 조합양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배수체계는 도수로 → 보호석축 → 배수로 → 부석시설 → 집수시설 → 여수로 → 수구(성벽) 등의 순차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주로 성곽 내 하단의 계곡부에서 확인된다. 이곳에 축조되는 집수시설은 성내 계곡부로 집중되는 수원을 저장하는 기능뿐 아니라, 유속을 낮추고 地盤의 연약화를 방지하여 성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한편 축성 이전의 저습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집수시설을 먼저 축조하여 지반을 안정시키는 공정도 고려되었을 것이다. 이처럼 집수시설은 성곽 내에 축조되는 개별 유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축성 계획 및 공정 단계에서 고려되는 중요시설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수시설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성곽의 축성과 운영 그리고 경영변화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 고대 성곽의 집수시설 비교연구 -日本 鞠智城을 중심으로-

        전혁기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6

        본고에서는 한‧일 고대 성곽 내 집수시설을 입지, 구조, 기능적 측면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鞠智城 貯水池는 한국의 고대 성곽 내 집수시설과 친연성이 높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鞠智城 貯水池는 일본의 고대산성 중 유일하게 발굴된 사례로 의미가 크다. 먼저 입지적인 측면에서는 고구려 혹은 백제의 계곡부 배수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鞠智城 저수지의구조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 각각의 유구(貯木場跡와 木槨遺構[木組遺構], 導水路[水路状遺構])가내부에 축조되어 있다. 이 시설들은 유기적인 복합체의 성격을 보이며, 집수시설과 부속 유구로구분되는 한국 고대 성곽의 집수시설과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축조방식과 기술적 계통을 분석한결과 백제계 도래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鞠智城 저수지에서 출토된 土師器, 목제품, 銅造菩薩立像, 연화문수막새 등은 한국 고대 성곽 내 집수시설에서 출토된 유물과 유사성을보인다. 이러한 유물의 출토맥락은 제의적 기능을 상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鞠智城 貯水池는 한국 고대 성곽의 집수시설과 계통적으로 연결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초축과 관련된 축조기술은 백제이나, 이를 정비 보수하는 과정의 구조와 기능적인 요인은신라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미호천 중상류의 百濟 우물 및 集水施設에 對한 考察

        전혁기(Jeon Hyukki)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본고는 미호천 중상류의 백제 취락과 성곽, 생산시설 등의 유적에서 확인된 우물 및 집수시설을 대상으로 구조 및 축조기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반 유적과 유물의 편년을 살폈다. 이를 통해 우물 및 집수시설의 변천양상을 3단계로 제시하였다. 미호천 중상류의 백제 우물 및 집수시설은 사용된 재료가 토기ㆍ목재ㆍ석재로 다양하며, 평면형태는 Ⅰ-방형계, Ⅱ-원형계로 분류되며, 단면형태는 a-수직형, b-사선형으로 분류된다. 제1기는 3세기에서 4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목곽집수시설-Ⅰa형식과 土器造집수시설-Ⅱa 형식은 진천의 취락 및 생산유적에서 확인되었다. 목곽집수시설은 ‘井’자형의 결구방식으로선사 이래로 제작되었던 귀틀집의 축조방법과 유사하며, 토기조집수시설의 대형옹과 내부의토기편은 축조 및 사용시기를 보여준다. 이 조합관계를 주변 유구와 비교했을 때, 백제의영역화 과정이 재지세력과 상호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보인다. 제2기는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제1기와 같이 목곽집수시설-Ⅰa형식과 토기조집수시설-Ⅱa형식이 유지되고 있으며, 증평의 추성산성과 진천의 농경유적에서 석조우물-Ⅱb형식이 새롭게 축조되고 있다. 이 시기는 ‘井’자형과 변형된 ‘ㅂ’자형의 결구방식을보이는 목곽집수시설과 토기조집수시설의 조합관계, 새롭게 등장하는 석조우물의 조영은 미호천유역에 대한 백제의 중앙양식 기술과 물질문화가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3기는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후엽에 해당한다. 목곽집수시설은 Ⅰa형식이 진천의 취락유적에서 확인되며, ‘ㅁ’자형의 결구방식을 보인다. 그리고 백제의 퇴축 및 고구려의 미호천유역점유과정에서도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3기 이후 미호천유역은 본격적으로 신라의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신라의 석조우물과 석축집수시설이 관방유적을 비롯한 다양한 유적에서축조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identified in the mid-head waters of Miho Stream from the remains of Baekje villages, fortresses, and produc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chronological recordings based on the accompanying relics and remains. From the investigation, the transition patterns of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were presented in 3 stages. The materials used in Baekje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mid-head waters of Miho Stream are diverse including earthenware, wood, and stone materials. The planar form is categorized into I-square type and II-circular ty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lassified into the a-vertical type and b-diagonal type.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3rd to the 4th century.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collection facility-Ia type and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y - IIa were identified from the villages and production remains of Jincheon.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collection facilities had a ‘井’-shaped assembly method, which was similar to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log cabins, which had been manufactured since the prehistoric period, while the large ong of the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y and the inner earthenware pieces indicate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use. When this relationship of combination is compared to rem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material that shows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of Hanseong Baekje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indigenous force. The second period corresponds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mid-5th century. As in the first period, the wooden collection facility-Ia type and the earthenware collection facility-IIa type are maintained, while the stone well-IIb type is being newly constructed at the Chuseongsanseong in Jeungpyeong and the agricultural remains in Jincheon. This period shows that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facilities showing the ‘井’ and changed ‘ㅂ’ -shaped assembly methods and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s well as newly appearing constructions of stone wells, indicates the central cultural technique and material culture of Hanseong Baekje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Miho Stream basin. The third period corresponds from the 5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facility- Ia type is confirmed from in the village remains of Jinchoen, showing ‘ㅁ’-shaped assembly method. In addition, the type was maintained during the process of involution of Baekje and Goguryeo’s occupation of the Miho Stream basin. After the third period, the Miho Stream basin began to enter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stone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of Silla were being built in a variety of remains including the Gwanbang Rui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