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회계교육에 있어서 학생특성과 학업성적과의 관련성 분석

        전춘옥 한국세무학회 2004 세무와 회계저널 Vol.5 No.2

        The accounting education literatures demonstrate that student's characteristics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academic performance in accounting classes.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accounting examination performance and confirms the differences of their exam performance by studen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accounting adapt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qualitative independent variables at 1% significant level. And degree of class satisfaction and status of home economic sufficient factors are important factors in affecting student's examination result. These are more significant than the degree of accounting adaptability. Also home economic status factors, number of retaking lecture and major or non-major student affect slightly examination performance. But gender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experiences of working place, accounting value (academic authority and expectation of job opportunity) and place of birth facto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be should interpreted carefull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need further research to generalize in the field of accounting education. 본 연구는 회계교육 현장에서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따라 가장 교육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행해졌다. 국내․외에서 행해진 기존연구의 결과는 연구자의 연구설계와 표본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계교육에서 학생특성과 학업성적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이미 이뤄진 국내․외의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회계교육에 있어 학생특성이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취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공여부, 수강학기수(재수강여부), 성별구분, 사회경험 유․무, 출신지역, 회계평가(학문적 존엄성과 사회진출기회), 학과목에의 적응도, 강의만족도 및 가정경제상황 등을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학업성적(수시, 중간, 기말 및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가설검정결과 종속변수중 총점모델과 기말시험모델에서 명목변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독립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특히,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학생특성은 회계학 과목에 대한 적응도이며 이는 수시시험 모델(5% 유의수준)을 제외하면 중간시험, 기말시험 및 총점 모델 모두에서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공여부, 재수강여부, 강의만족도 및 가정경제상황은 4가지 모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유의한 변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성별차이와 사회경험유무 및 출신지역의 차이 및 회계평가는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학업성과와 학생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함과 아울러 학생특성별 학업성과와의 차이유무를 확인함으로써 회계교육에 의미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지만 실증자료의 축적과 논리의 일반화를 위하여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21세기 회계교육의 혁신방향

        전춘옥 가톨릭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業經營硏究 Vol.- No.8

        본 연구는 급변하는 회계환경하에서 미국의 회계교육의 혁신방향과 구체적 실천방법을 살피고 우리나라의 회계교육혁신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국에서 1980년대 중반부터 행해진 회계교육의 혁신과정을 AAA와 AECC 및 시CPA등 회계전문기관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회계교육개혁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일리노이대학(UIUC)의 Project Discovery(PD)의 혁신내용과 진행과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국의 회계교육은 직업교육의 성격이 매우 강하지만 학회나 회계직업단체 및 대학의 교육목표는 공통적으로 "회계전문인으로 사회적 역할을 다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에 있었다. 그리고 그 "능력"의 구비요소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대학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그러한 구체적 요소를 교육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배우는 방법을 학습" 하는 비판적 사고와 의사결정능력의 증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UIUC를 비롯한 많은 미국대학에서의 회계교육의 혁신결과 교과과정에 대한 성공적인 통합과 새로운 강의방법의 개발 등 미국의 회계교육이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 혁신에는 AAA나 AICPA 및 AECC 등 회계전문가단체와 각 대학의 교수와 학생 및 학교당국 등 이해관계자의 이해와 참여 및 적극적 지원이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시CPA는 AAA와 함께 회계교육혁신을 주도하였으며 실질적 개혁의 성공은 교수들의 적극적 참여와 노력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변화하는 회계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회계교육의 혁신은 KCPA와 같은 실무계와 학계가 뜻을 모아 교육방향은 물론 교육내용과 구체적 실천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 개혁내용과 방법은 성공적 사례로 꼽히고 있는 UIUC의 PD를 비롯한 AECC 지원금 수혜를 받은 대학들의 사례를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회계교육의 혁신은 우리에게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필수과제라는 점에서 회계환경에 적합한 교육혁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