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loating zone 법에 의한 $SrTiO_3$단결정 성장

        전병식,조현,오근호,Jeon, Byong-Sik,Cho, Hyun,Orr, Keun-Ho 한국결정성장학회 1995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5 No.2

        Floating zone법으로 strontium titanate 단결정을 육성하였다. 성장조건은 공기 분위기하에서 성장속도 3mm/hr, 상부축 회전속도 20~25rpm, 하부축 회전속도 15~20rpm이었으며 육성한 단결정은 옅은 갈색을 띄고 있었으며 투명하였고 annealing 후 색깔이 옅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장방위는 [112] 방향이었으며 XRD, EDS로 화학양론적인 조성은 $SrTiO_3$단일 결정상임을 알 수 있었다. $350^{\circ}C$, KOH용액에서 5분동안 chemical etching하여 etch pit pattern을 조사하였으며 상온하에서$3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유전상수 값을 조사하였다. Strontium titanate single crystal was grown by floating wne method. Growth conditions are as follows; at air atmosphere, rotation rate of upper and lower shafts were 20 - 25 rpm, 15 - 20 rpm respectively and growth rate was 3 mmlhr. As grown crystal was light brown color and transparent. After annealing, color was faded away. Growth direction was [112] dire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grown crystal has $SrTiO_3$single phase and stoichiometric composition by XRD and EDS. Etch pit pattern was investigated after chemical etching in $350^{\circ}C$, KOH solution for 5 min and dielectric constant was measured at the range of room temperature ~ $350^{\circ}C$ .

      • KCI등재

        기독교 교양 교육으로서의 ‘기독교와 한문고전’

        전병식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the horizon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referred to as “task-solving research” to derive the practical goal of “Christian liberal arts curriculum development.” At present,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society reaches sixty-five to seventy percent of its normal daily language usage. Howeve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educated as the “Hangul (Korean language) generation” are not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and thus experience a lack of certain vocabulary fundamentals, despite major fields of study requiring greater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Chinese text curricula as a foundation for a liberal arts education. It should go beyond the rot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s vocabulary to a more comprehensive level of understanding. There are several ways to learn Chinese texts and Christian thoughts in Christian universities, such as using the Bible and other Christian textbooks written or translated in Chinese. However, in situations where most students are not Christians, stories of the Bible that intersect with stories of the Oriental(Chinese) classics might have broader appeal. Discussions should be held on the possibility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of a Christian university, and such an instructional method should be considered with practical applications.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에서 기독교 교양교육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 아래, ‘기독교 교양교과목 개발’이라는 실천적 목표를 도출하기 위한 ‘과제 해결형 연구’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에 한자어의 사용은 65~70퍼센트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한글세대’로서 교육받은 대학생들이 한자와 한문에 익숙하지 않아 일반교양 생활에서 ‘기본 어휘’ 능력의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 더구나 전공 학문의 영역에서 요구되는 ‘전문 어휘’의 구사에는 더욱 한자어와 한문 사용 능력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대학에서 기본 교양 교육으로 한자와 한문 교육이 필요하다. 나아가 전문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한자와 한문 교양교육은 단순히 한자나 한자어를 단어나 어휘로서 익히는 단계를 넘어서 이른바 ‘한문’을 일정 수준에서 해득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교양교육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 대학에서 한문과 기독교적인 사고를 함께 배울 수 있는 통로는, 과거의 것으로는 한문성경이나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를 통하여, 현재로는 한문으로 저술된 기독교 교양서 등을 통하는 경로 등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가 기독교인이 아닌 상황에서 대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일으킬 수 있는 통로는 과거의 동양고전, 그중에서도 이야기가 있는 한문고전과 기독교의 이야기가 만나는 지점이라 여긴다. 위와 같은 논의(論意)를 바탕으로 기독교대학의 교양과목으로서 한문고전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論議)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의 일부로서 실제적인 하나의 수업 예시로서의 교수-학습 방법과 내용으로, 이야기가 있는 한문고전인 사마천의 <사기> ‘관안열전(管晏列傳)’과 구약 성경 사무엘서의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의 이야기를 비교하여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제안이 기독교 대학에서의 기독교 교양 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일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젊은이를 위한 `하나님 나라'의 이해와 실천교육에 관한 연구

        全炳植 배화여자대학 2003 培花論叢 Vol.22 No.-

        "The Kingdom of God" is the core message of Jesus Christ. As a practical alternative proposal, the Kingdom of God can be an important motif to transform the world and human beings. However, Korean people tend to misunderstand the Kingdom of God because of their traditional view of the future life and their deteriorated eschatological belief. When the Kingdom of God and eschatology are misunderstood, this exerts a great evil influence upon both the church community and society. In this sense, it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to teach young people, college students, a practical principle of the Kingdom in the Christian College. The Kingdom of God must be introduced and explained on the basis of biblical thought in which the Kingdom means not a geographical territory but "a place ruled by God." In the Old Testament, the Kingdom is reduced to "the day of Yahwe" due to its eschatological character. This eschatological character of the Kingdom requests human beings to live their life not in the sense of chronos but kairos, that is, not a quantitative but a qualitative life, which refers to "a festive life." In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the Gospels, the Kingdom, the kernel of Jesus Christ's teachings and works, is expressed in so many different ways and symbols, but the human attitude toward the Kingdom is most important. That is to say, the Gospels ask human beings to hope and believe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o endeavor to realize the Kingdom in their daily lives. Modern theological discussions of the Kingdom seem to be focused on how to realize the future Kingdom in the present and how to expect and prepare for it now in an eschatological hope.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includes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because the concept of the Kingdom proclaimed by Jesus Christ is a powerful motif to change an old order into a new one. In this thesis, we try to explore the no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about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from Thomas Groom's conception, "Shared Christian Praxis." In this conception, the important motive or instrument for teaching the Kingdom is represented by the structure of "dialogue-sympathy-practice." A human being can change him/herself by way of "self-dialogue," sympathize with others by means of communal dialogue, and thus be led to practice the sympathy. This is the Christian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that is, for changing a mere knowledge of the Kingdom into a practical way of life.

      • KCI등재

        청년예배의 예전적 요소의 필요성과 확대에 관한 연구 - 기독교대한감리회 청년예배를 중심으로 -

        전병식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한국의 개신교회에는 1980년대 이후 예배의 변화를 위한 노력과 실천이 지속되고 있다. 그 영향으로 대략 세 종류의 예배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하나는 ‘성령임재 중 심의 자유로운 예배’의 영향을 받은 ‘찬양과 경배예배’ 또는 ‘열린 예배’이고, 하나는 ‘전통의 예전적 예배의 회복’으로서의 성례전 회복운동이라는 예배 갱신 운동에 영향 을 받은 ‘예전적 예배’이다. 또 다른 하나는 예배의 변화에 별다른 관심이 없이 과거 선교사들로부터 전수된 예배 형식을 충실히 따르는 ‘설교 중심’의 ‘한국 개신교 전통 예배’이다. 청년예배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경우 ‘찬양과 경배’식의 ‘열린 예배’를 드리는 경향 으로 흘러가고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청년예배가 전통적인 예배에서 변화를 구하는 정도에서 지나쳐 아예 다른 예배의 형식과 스타일을 취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 다는 것이다. 그런데 청년예배를 따로 드리는 교회의 대다수가 그 예배를 예전적 전 통에서 벗어나 주로 찬양경배예배에 몰입하는 이유가, 청년 연령층에 따른 세대적인 정서와의 합치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문화적인 적용을 내세우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청년들의 정서적이며 문화적인 요구를 만족시킴으로써 청년 신자의 숫자적 확장을 꾀 하는 데만 있다고 한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이와 같이 청년예배가 청년들 자신만의 문화적이며 정서적인 만족만을 추구하며 이뤄지는 일반적이고 획일적인 형태가 되어 ‘예배 아닌 집회(meeting)’로 떨어지지 않 도록 하는 대안으로써, 청년예배에 기독교회의 전통적인 예전적 요소들을 제공하여 실행하게 함으로서, 청년들의 모임이 교회안의 또 다른 이질적인 교회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청년예배뿐만 아니라 한국의 개신교회가 회복시켜야 할 예배 전통은 바로 기독교 회 예배의 초기 전통인 ‘말씀의 예전’과 ‘성만찬의 예전’이라는 구조이다. 그리고 로버 트 웨버가 주장하는 대로 현대에 있어 예전적인 예배의 전통적인 4중 형식인 ‘입례’ (회중이 예배에로 들어옴), ‘말씀’(하나님의 말씀), ‘성찬 또는 감사’(감사로 하나님께 응답), ‘폐회’(주를 사랑하고 봉사하기 위한 파송)의 구조를 견지하는 것이다. 감리교회의 대표적인 몇 교회의 청년예배를 살펴본 결과, 청년예배 속에 전통적인 예전의 요소들 중에 시작 예식인 입례가 불분명해지고, 성만찬과 같은 성례전이 빠져 있는 한편, 청년이라는 나이와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는 현대의 문화적이며 장치적인 요소들이 많이 첨가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청년예배의 연령층과 시대의 문화적인 특성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청년예배가 교 회의 전통을 지켜가며 경건함을 더한 예전의 풍부함을 이루기 위해서는, 청년예배에 예전적 전통의 요소들을 기계적으로 삽입하거나 첨가하는 것보다는 청년예배를 담당 하는 교회현장의 예배인도자들과 예배학자들이 함께 모여 논의하고 연구하여 청년예 배의 바람직한 모델들을 만들어 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has made serious and sincere effort to transform the form of worship since 1980’s. This effort has given birth to three emerging forms of worship. The first is a praising worship or an open worship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a free form of spiritual-presence-centered worship. The second is liturgical worship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worship reformation movement for communion recovery movement, which aimed at the recovery of traditional liturgy. Lastly, the third is the traditional preaching-centered worship of Korean Protestant Church, which has derived from the forms the missionaries in the past taught. It has been a tidy cultural stream to have open worship in the form of praising worship for youth or young people. It does not stop at trying to introduce some change into traditional form of worship. Further, it has become a trend to replace the traditional form with different forms and styles of worship. The reasons for this are accommodation with the sentiment of the young gener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o the change of the age. However, its real effect seems to only seek for the numerical growth of the youth members by satisfying their emotional and cultural needs. This is another form of standardization of the form of worship in a way to relegate worship to a meeting with its own special forms and styles by reason of only satisfying the emotional and cultural sentiments of young generation. The introduction of liturgical elements into the youth worship prevent it from demoting worship to social meet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worship tradit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s well as youth worship are the liturgy of the Words and the liturgy of the Communion. These should include ‘entrance,’ ‘Word’(God speaks), ‘communion’ or thanksgiving’ and dismissal or sending, as Robert E. Webber shows in his traditional fourfold pattern of liturgical worship. As a result of surveying some representative worship services for young people in Korean Methodist Church, these open worships commonly lack a clear form of entrance and miss communion. They are full of modern cultural apparatus, which reflects the age of the you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tegrate two cultures of worship. For that purpose, one needs both to find a way to preserv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worship in order to keep the holiness of worship abundant and to be sensitive to the cultural needs of young generation. It does not mean that we have to automatically or forcefully insert or add the traditional elements to open worship. In order to generate an integrated form of worship for youth as well as the older, there needs studies and discussion between worship leaders and theologians.

      • SCOPUSKCI등재

        습식방법에 의한 $SnO_2$ 반도체 가스센사 제조

        전병식,김홍대,최병현,최성근 한국세라믹학회 198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23 No.3

        A gas sensor which has been made by wet process had fabricated by coating each of the mixture on alumina tube and firing at 85$0^{\circ}C$ for 3hrs. A gas concentration such $H_2$, CO, $C_3H_8$, $C_2H_2$ and $CH_4$ vs its detection voltage characteristics has been in-vestigated on $SnO_2-In_2O_3-MgO$ system doped with PdO, $La_2O_3$, $ThO_2$, NiO and $Nb_2O_5$ The optimum sensitivity composition for various gases were 90w/o $SnO_2$-9w/o $In_2O_3$-1w/o MgO for $H_2$, $C_2H_2$ CO and $C_3H_8$ and 95w/o $SnO_2$-4w/o $In_2O_3$-1w/o MgO for $CH_4$. The sample which has been made by wet process than dry process had predominated sensitivity for each gases and particle size of the sample coprecipitated with PH=9 was 0.1${\mu}{\textrm}{m}$ The $SnO_2$-In2_O_3-MgO$ system doped with 2w/o $Nb_2O_5$ and NiO was the most sensitive for $H_2$ and $C_2H_2$ gas. In $SnO_2$-In2_O_3-MgO$ system doped with $ThO_2$ the sensitivity of $H_2$ gas was decreased but CO gas was in-creased when dopant con was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장례의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이해: 바람직한 애도와 위로의 실천을 위해

        전병식 한국대학선교학회 2022 대학과 선교 Vol.53 No.-

        한 공동체의 죽음관과 죽음이해는 장례의식과 절차 등의 장례문화를 형성한다. 역으로 한 공동체에서 보편적으로 실행되는 장례문화가 죽음관을 형성하기도 한다. 한국인의 죽음이해를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은 계세사상(繼世思想)이고, 계세사상에 따른 죽음의례는 송별의 의식으로 치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엄밀하고 전문적인 종교적 의식과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지 않는 한, 현대 한국인 장례문화의 종교적 바탕에는 민간신앙에 유교와 무속 그리고 불교와 기독교 등 여타 종교의 종교성이 혼용된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한국의 장례의례는 조선조를 통해 확립된 유교식 장제를 근간으로 하면서 민간신앙과 무교, 불교적 신앙관과 기독교 의식(儀式) 등에서 파생된 죽음의식과 절차를 섞어 놓은 혼성의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실제 현대 한국의 장례의례의 형식과 절차는 유교식으로 정형화된 형태에 민간의 풍속과 불교 신앙과 여타 종교의식이 부가된 형태로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한국의 장례문화에서 나타나는 죽음이해를 바탕으로 애도와 위로의 실제를 제안하려는 데 있다. 유교식 장례의례의 특징은 죽음에 대한 충격을 단계적으로 완화해가는 데 있다. 반 겐넵(Arnold van Gennep)의 통과의례(The Rites of Passage) 이론이 유교적 장례 과정이 보여주는 ‘충격의 단계적 완화’와 맥락이 닿아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현대 한국 장례의 절차를 반겐넵의 ‘통과의례도식’에 따라 중요한 세 국면으로 나누었다. 1) 분리기: 일상의 시간(영역)에서 상중의 시간(영역)으로 들어서는 처음 단계로, 죽음을 확인하여 삶과 분리하는 기간으로 망자와 유족이 현실 세계에서 분리되는 절차이다. 2) 전이기: 망자와 유족 모두 일상에서 분리되어 상중의 시간과 영역에 들어 선, ‘발인에서 탈상’까지의 기간이다. 3) 통합기: 탈상예식으로 유족인 상제들은 현실 세계로 재통합하여 다시 일상의 시간과 영역으로 돌아오고, 망자는 조상신이 되어 조상의 세계, 이승에서 저승으로 통합하는 과정이다. 위와 같은 장례의례의 각 절차마다 애도와 위로로서 유족을 돌보는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여기에서 위로와 돌봄을 담당하는 주체는 장례의 모든 과정을 주관하는 호상(護喪) 또는 유족과 가까운 가족 또는 친척 관계에 있는 사람으로서 적극적인 위로자이며 공감하는 관찰자의 시점에 서 있는 사람으로 설정하여 그에게 실제적인 방식을 제안하는 형식을 취할 것이다.

      • KCI등재

        Fe를 첨가한 $SrTiO_3$ 단결정 성장과 전기전도도 조사

        전병식,조현,오근호,Jeon, Byong-Sik,Cho, Hyun,Orr, Keun-Ho 한국결정성장학회 1995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5 No.3

        99.9%의 $Fe_2O_3$ 를 0.2 wt% 첨가한 $SrTiO_3$ 단결정을 air 분위기와 질소분위기하에서 floating zone 법으로 성장시켰다. 성장속도는 5mm/hr 였으며 회전속도는 30rpm이었다. 육성한 결정을 성장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하여 준비한 시편을 질소분위기하에서 900, 1000, $1100^{\circ}C$에서 2시간동안 annealing한 후 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비저항치를 전기전도도로 전환하고 이를 이용해 계산한 activation energy로서 전기전도도 향상기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0.2 wt % $Fe_2O_3$ doped $SrTiO_3$ single crystals were grown by floating zone method in air and Nz atmosphere,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was fixed at 5 mm/hr and rotation speed was maintained at 30 rpm. As - grown crystals were cut perpendicular to its growth direction and then, annealed at 900, 1000 and $1100^{\circ}C$ for 2 hours in Nz atmosphere. Resistivities of each samples were measured and then converted into conductivities. By using these conductivity values, the activation energies were calculated and by means of the calculated activation energies, mechanism which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