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용 성취정서검사지(간편형)의 타당화

        전미란(Chun, Miran),이희복(Lee, Heeb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hievement Emotion Questionnaire simplified form fo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original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Pekrun et al..(2002). It was consisted with three academic settings and had 232 questions which were too many fo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answer. The translated questions were revised and verified for content validity and then simplified into 25 learning-study setting and 25 test setting. In the validation process, 438 questionnaires of students from Seoul, Kyunggi, and Chungnam area were analyzed. Achievement Emotion Questionnaire (AEQ-Simplified)-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validated Achievement Emotion Questionnaire (AEQ-Simplified), we might be able to investigate achievement emotions from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help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ademic set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던 ‘성취정서질문지’를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중고등학생들의 성취정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중고등학 생용 성취정서검사지(간편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원검 사지의 232문항을 중고등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학습상황에 맞게 수정하였고 수업/학습/시험 상황의 전/중/후로 개발되어 있었던 것을 수업학습상황과 시험상황으로 단순화시켰다. 이를 위해 예비검사에서는 대전, 세종, 천안 지역 중고등 학생 305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3개월 이후 최종 선정된 수업학습상황 25문 항과 시험상황 25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울, 경기, 충남지역의 중고등학생 43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중고등학생용 성취정서검사지(간편형)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성취정서검사지(간편형)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 들이 수업학습상황과 시험상황에서 어떠한 정서를 가지고 임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학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데 바탕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희망, 성취정서 및 끈기(Grit) 간의 구조적 관계

        전미란(Miran Chun),류지영(Jiyoung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성취와 관련된 학업적 희망, 성취정서, 끈기(Grit)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C도에 있는 K대학교 학생 238명(남학생 94명과 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적 희망은 성취정서(긍정)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정서(부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취정서(긍정/부정)는 학업적 희망의 영향을 받아 끈기(Grit)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영향을 주었고, 끈기(Grit)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고등학교 때와는 매우 다른 환경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위하여 그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hope, achievement emotions,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238 undergraduate students (94 male and 144 female)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ultivate future-oriented social tal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separately measure self-directed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o creative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hope influenced positively on achievement emotions such as joy and hope and pride, on the contrary, it influenced negatively on achievement emotions such as irritation, helplessness, shame, boring. Achievement emotions (positive/negative) influenced by academic hop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on of grit. According to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o are living in very different environments to compare with their high school life.

      • KCI등재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마인드셋과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 간의 다집단 분석

        전미란 ( Miran Chun ),정은영 ( Eun Young Jeong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3 창의정보문화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마인드셋 및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마인드셋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고등학생 427명, 미국 고등학생 276명, 총 703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하위 요인인 부모지지는 미국 고등학생들보다 낮았고, 교사지지는 차이가 없었으며 친구지지는 한국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마인드셋에는 차이가 없었고, 긍정정서와 행복감은 미국 학생들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자아존중감, 마인드셋,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은 마인드셋과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마인드셋은 행복감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ocial supports, self-esteem, mindset and happiness, an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For this purpose, 42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276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7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arental suppor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U.S.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support was not different, and friend support was higher among Korean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d a static effect on self-esteem, mindset, and happiness, and self-esteem had a static effect on mindset and happiness, but mindset did not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happiness.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come up with a way to improve th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불균형

        전미란(Chun, Mi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영재교육대상자의 생활정도 분포와 영재교육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불균형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재교육에 참여 고 있는 초등과 중등 교사들 46명으로부터 설문에 응답받았고 5명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영대교육대상자 중 생활정도 상 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60%가 넘는 것으로 보았고 생활정도 하 에 속하는 학생들은 10%가 못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 원인은 부모님들의 학습된 무관심이나 정보의 부족, 경제적 지원 부족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습동기 부족, 학습능력 결손 및 선발시험 준비부족, 그리고 그 외에 선발 방식의 문제와 교사의 여력 부족 등이 원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영재교육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불균형의 현황과 파악된 원 인들을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ocioeconomic unequivalences on distributions of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 causes of this unequivalences. The 46 Elementary-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gifted education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5 teachers participated in interviews. Among the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perceived more than 60% of students as upper-class and less than 10% of students as lower class. The causes of this unequivalences were parents apathy, the lack of information, their lack of financial supports, students lack of academic enthusiasms, students lack of readiness, the problems on the identification processes, and the lack of teachers surplus energy to concern gifted students potential. These findings, based on this study, suggest implecations for the better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영재교육 연수경험과 영재학생 지도경험에 따른 교사의 영재 인식 비교

        정은영(Eun Young Jeong),전미란(Mira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영재교육 연수경험 유무와 영재학생 지도경험 유무에 따른 영재이미지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으로 교사연수에 참여한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7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NetMiner 4.0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교육 연수경험이 있는 집단과 영재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집단은 창의성 뿐만 아니라 몰입, 과제집착력, 끈기, 독서, 호기심 같은 지속적인 노력의 이미지를, 영재교육 연수경험이 없는 집단과 영재학생 지도경험이 없는 집단은 창의성과 함께 뛰어나다, 천재, IQ, 재능, 안경 같은 외형적 이미지 선입견과 함께 타고난 능력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영재교육 연수경험이 있는 집단과 영재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공통된 영재 이미지를 많이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연수경험 유무와 영재학생 지도경험 유무에 따른 영재의 이미지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영재교육 교원연수의 필요성과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he gif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teaching experience of gifted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of 27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collected through a Google online survey, and a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NetMiner 4.0. Analysis. As a result,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teaching gifted students show not only creativity, but also images of continuous efforts such as immersion, task commitment, persistence, reading, and curiosity.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was found to be perceived as outstanding with creativity, genius, IQ, talent, and external image preconceived such as glass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network visualiza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training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teaching gifted students share more common images of gifted children than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for presenting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초·중등 영재학생들의 영재성과 미래핵심역량 비교 : 농촌지역 학생들을 중심으로

        윤찬희(Yoon, Chanhee),전미란(Chun, Mi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 발맞추어 미래핵심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영재교육 분야에서도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골고루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핵심역량 진단 검사지를 활용하여 영재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일반학생들과 비교하고 이를 영재성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두 검사의 상관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영재학생 총 80명과 같은 지역의 일반학생 80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영재학생들 수업이 있는 5월~8월 사이에 수집 분석되었다. 영재학생들의 미래핵심역량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나 각 하위 영역별로 영재학생들에게도 충분하지 못한 요소가 나타났다. 또한, 영재성 검사와 핵심역량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회귀분석 결과 창의역량을 제외하면 자기주도역량이나 사회역량은 영재성검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현재는 주로 영재 선발을 위하여 영재성검사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창의·융합형 미래사회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창의역량 외에 자기주도역량, 사회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별도로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영재교육 현장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It is necessary to educate to adap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future core competency is emphasized.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t is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t talents with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in line with these social trend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e competency level of gifted student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80 gifted students and 80 general students in the same region were participated, and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y and October when gifted students have classes. Gifted students responses to each item were examin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iftedness test and the core competency level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verified. Also,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ome exceptional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studen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f we look at each of the sub-areas, there are some element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for gifted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iftedness test and the core competence level. Also,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Creative Competency of th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iftedness. In order to cultivate future-oriented social tal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separately measure self-directed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o creative competence.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정기영(Kiyoung Chung),전미란(Miran Chun),최승언(Seung-Urn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학영재교육을 좀 더 자세히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과학영재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 70명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교육관이나 그들이 인식하는 과학영재의 특성과 현행 선발의 유용성, 수업준비, 지원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 등을 알아본 결과, 과학영재 담당교사들은 좀 더 국가적 경쟁력을 위한 영재교육을 강조하였고, 과제 집착력이 강한 학생을 영재학생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영재 담당교사들이 좀 더 개인적인 필요를 강조하며, 창의적인 학생을 영재로 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을 준비하기 위하여 일반 수업보다 평균 4배 정도의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이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학습자료 및 과학 탐구를 위한 프로그램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에게 업무경감 등의 시간적인 지원을 해주는 것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 교사들은 학교관리자의 의식개선 및 전담교사 배치 또는 연수의 확대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learn more about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t had been conducted through 70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ng the scientifically gifted. After looking into the conception of gifted student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and class prepar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it was found out that science teachers focused more 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ended to regard students with task commitment as gifted, but math teachers focused more on self-actualizations and tended to regard students with creativity as gifted. Most of the teachers spent four times more to prepare classes for the gifted students than those of teachers who teach average students. Also,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preparing creative learning material and programs, representing the needs to give more assistance such as reduction of teaching load. Furthermore, the ideas such as improving the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dispatching teachers with full charge, and expansion of training programs had been suggested.

      • KCI등재

        영재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

        류지영(Jiyoung Ryu),전미란(Miran Chun)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양상 및 두 척도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영재학생 134명과 중학생 영재 124명, 총 25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검사와, 학교행복 검사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사회적지지 중 부모지지를 가장 높게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순이었다. 학교행복에 대해서는 친구관계와 학습의 즐거움, 자기효능감, 환경만족과 교사관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영재학생들의 학교행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SUP>2</SUP>=.621). 사회적지지 검사 하위요인들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들이 더해질수록 학교행복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이 학교행복감을 더 높일 수 있는 제안들과 후속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aspects of school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ale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258 students (134 elementary and 124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the social support test and school happiness test scal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felt the highest support from parents, followed by friends and teachers. In terms of school happiness, friends and learning pleasure, self-efficac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eacher relations were the highest. Social support and school happiness have a high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s a great influence on school happiness in gifted students (R<SUP>2</SUP>=.621).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ocial support test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each sub-factor added, the greater the influence had on school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to help gifted students increase their school happiness.

      • KCI등재후보

        사회통합전형 과학고등학교 입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지영 ( Jiyoung Ryu ),정유리 ( Yuri Jeong ),전미란 ( Miran Chu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사회통합전형으로 과학고등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과학고 사회통합전형 학생의 효율적인 학교 적응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성장 도모 및 교육 격차 해소라는 목표로 개발되었고, 사회통합전형으로 입학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전과 입학 초기 여름방학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전-사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70명이 입학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이 중 56명이 입학 초기 여름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36명의 학생들이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한 일대일 면담에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면담 결과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고에 입학하고 나서 학업적인 면이나 학교생활 적응 면에서 프로그램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제안과 추후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entered by affirmative ac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through effective school adaptation of these students. The program was applied, and then pre-po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lasticity tes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7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before entrance program, 5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ummer vacation program, and 36 of them participated in one-on-one interview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elf-elasticity, and in the interview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was very helpful in terms of academic and school life. Suggestions for further support and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허무열 ( Mooyul Huh ),정은영 ( Eun Young Jeong ),전미란 ( Miran Chu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초ㆍ중ㆍ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행복감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행복감에 있어서 성별이나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이 행복감의 내적행복, 외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이 내적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직의식, 자율성, 신뢰로운 동맹이 내적행복에 정적 영향을, 발전성, 신뢰로운 동맹, 조언, 교직의식이 외적몰입에, 사회적 소속, 자율성, 발전성, 혁신성이 자기조절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교사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s' happiness. For this, the data of 249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eacher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the Google online survey.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or career, b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igher happiness than high school teachers. All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happiness sub-factor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inner happiness, teaching consciousness, autonomy, and trustworthy alli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inner happiness, and the trustworthy alliance, advice, teaching consciousness on external commitment, and social belonging, Autonomy, development, and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happines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eacher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