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시민의식 발달궤적과 생애목표의 영향

        전란영 ( Ranyeong Jeon ),윤정진 ( Jeongjin Youn ),임홍남 ( Hongnam 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시민의식 발달궤적을 살펴보고 개인의 생애목표가 시민의식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시민의식 향상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10차 연도 자료를 사용해 2년제 대학 이상에 재학하는 3,406명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잠재성장모형으로 발달궤적을 확인하였으며 생애목표의 예측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대학생의 시민의식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수준이 점점 높아지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생애목표 중 자기성장과 가정화목은 시민의식 초기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화목은 시민의식의 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명예, 물질적 부, 인간관계 생애목표는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시민의식의 변화양상을 밝혀주며 시민의식 향상을 위해 자기성장과 가정화목 생애목표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itize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how different types of life goals effect on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7-10th data, and the data of 3,406 college students collected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changed in linear manners. It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three points. Secondly, self enhancement goal and family happiness goal affected the intercept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Only family happiness goal affected the change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veal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ollege student’s citizenship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ife goals for improving citizenship.

      • KCI등재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 관련변인 메타분석

        전란영(Jeon, Ranyeong),김희화(Kim, Heehw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와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하였다. 생태학적 접근으로 관련변인을 범주화한 후 개인적 변인, 미시체계 및 외체계 변인 각각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105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56개 변인, 732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각 변인을 체계별로 분류한 결과 개인적 변인(30개), 미시체계 변인(23개), 외체계 변인(3개)으로 구분되었고 중간체계 및 거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개인적 변인 중 사회지배지향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개인적 변인 중 큰 효과크기의 변인은 없었으나 공감과 배려, 집단 간 불안, 위협인식, 편견, 자아존중감, 자민족중심주의 등이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학업성취 등은 작은 효과크기였다. 미시체계 변인에서 중요 타인의 다문화 태도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고, 중요 타인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교육은 큰 효과크기였다. 부모의 편견, 학급의 다문화 통합적 분위기, 또래관계, 부모의 양육 등은 중간 효과크기였고 교내/급내 이주민 학생 수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작은 효과크기였다. 외체계 변인에서는 다문화 미디어 경험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다문화 미디어 경험과 지역사회인식은 중간 효과크기였고 지역사회 내 이주민 수는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와 관련된 변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를 향상하는 개입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lated variabl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 approaches. After categorizing the variables into the categories of personal, micro system, and exo systems,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105 studie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abroad. There were a total of 56 variables included in personal, microsystem and exo system variables, and 732 effect sizes.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empathy showed a relatively larger effect size than the other variables. Among the micro system variables, a multicultural attitude amongst significant others,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media was shown to have a relatively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others among the exo system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related to a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can in tur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multicultural attitudes.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 및 인성의 구인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강유진 ( Eugene Kang ),전란영 ( Ranyeong Jeon ),김지나 ( Jina Kim ),김희화 ( Heehwa Kim ),박종석 ( Jongseok Park ),손정우 ( Jeongwoo Son ),조혜숙 ( Hyesook Cho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인성교육은 주로 도덕교과에서 교육하는 주제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최근에는 다른 교과에서도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과학교과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학교과 고유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이나 인성구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 과학교과 전공 대학교수, 및 연구소 연구원을 포함한 과학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서 인성의 필요성 및 인성 구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문가들은 과학자들의 활동에 내재된 인성, 학교현장의 요구, 탐구적 지식 습득을 위해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인성의 도덕교육적 측면과 시민교육적 측면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본질적 인성의 구인 4가지(정직, 공감, 관용, 자아존중), 실천적 인성의 구인 7가지(개인적 차원; 성실, 책임, 자기조절: 사회적 차원; 배려, 개방성, 소통, 협력)를 제시하였는데,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과 중요도를 인정받았다. Recently it has been claimed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pplied not only in ethics but also in other disciplines including science education. With several attempts at character education in previous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he examination of its requisite and components is need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cessity and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to be improved upon in science class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focus interviews of expert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researchers. They recognize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dopted in science education with three backgrounds: scientist activities,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and inquiry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class are comprised of four essential character elements including honesty, sympathy, tolerance, and self-esteem, and seven practical character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personal qualities: sincerity, responsibility, and self-control and social qualities: consideration, opennes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ir validity and importance are accepted by experts.

      • KCI등재

        삶과 교육에서의 앎의 의미를 통해 본 창의ㆍ인성교육의 방향 탐색

        임홍남 ( Hongnam Im ),윤정진 ( Jeongjin Youn ),전란영 ( Ranyeong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삶과 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앎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창의ㆍ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흔히 앎은 지식과 동의어로 사용되는데, 지식의 특성은 고정적인 반면 알아가는 과정은 늘 변화에 놓여 있어 유동적이고, 변화 가능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한국의 창의ㆍ인성 교육이 기존의 교육적 지식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삶에서의 앎의 의미로 다시 본 창의ㆍ인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살아가며 스스로 깨우치는 교육, 각기 다른 삶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교육, 삶에서의 앎을 기저에 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창의ㆍ인성교육의 본질을 되짚어보며, 미래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eaning of knowing presented in life and education and seek the dir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Knowing is commonly used as a synonym for knowledge considered fixed. However, the process of knowing is always subject to change and has a fluid characteristic. Therefore knowing has a changeable characteristic.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which was re-examined as an alternative to Korean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n terms of existing educational knowledge.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self-learning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n lif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at is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lives, an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knowing in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ooked back on the essence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sought its desirabl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