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의 모든 기록은 경상남도기록원으로 통한다

        전가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3

        최근 중앙행정기관은 업무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온나라2.0으로 변경하였다. 국가기록원은 클라우드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을 이관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을 극대화하여 기록관리가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재설계할 수 있는 기회이다. 전자기록 관리의 프로세스와 방법이 종이기록 관리 방식을 단순히 전자화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디지털 기술에 따른 변환(Transformation)의 수준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첫째, 이관의 방식을 변환해 볼 수 있다.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클라우드 저장소를 공유하게 되면 처리과에서 기록관으로 기록물 이관 시 콘텐츠 파일들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메타데이터만 복사하는 방식으로 이관할 수 있어 비용이 줄고 무결성 훼손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둘째, 기록물의 저장공간 할당에 대한 전략을 구상해 볼 수 있다. 클라우드 저장소를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공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콘텐츠 파일들을 저장할 때 기록의 보존기간에 따라 저장하는 위치를 구분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기록의 생산시스템, 기록관리시스템, 정보공개시스템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시스템들이 클라우드 저장소를 공유하게 되면 콘텐츠의 중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전환할 수 있다. Recentl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changed its business management system to cloud-based On-nara 2.0. To transfer and manage the records of the cloud business management system, the National Archives Service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 cloud-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loud computing and redesign the records management to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e process and method of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can be transformed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First, we can change the transfer method for electronic records. When the business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s share the same cloud storag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content files between the two systems without moving the contents files physically, thus copying only the metadata and reducing the cost and the risk of integrity damage. Second, the strategy for allocating storage space for contents can be conceived. Assuming that the cloud storage is shared by the business and the record management systems, it is advantageous to distinguish the storage location based on the retention period of the content files. Third, systems that access content files, such as records creation, records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can share the cloud storage and minimize the duplication of content fil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처리과 기록물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례연구

        전가희,Jeon, Ga He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처리과란 문서의 수발 및 사무처리를 주관하는 부서를 말하며 업무와 기록물생산의 시작점이다. 처리과에서는 기록물을 생산하는 것뿐만아니라 편철·정리·보존기간 책정·이관 등 기록물관리 업무의 대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처리과 기록물관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처리과의 기록물관리 문제는 업무담당자들의 의지부족 등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되곤 했다. 이 연구는 처리과 기록물관리의 중요성과 업무담당자가 생각하는 기록물관리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후, 기관 기록물관리 업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The department of processing is one to supervise the care for documents and the transaction of business and i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task and production of records. In the department of processing, it not only produces records but also performs most tasks including keeping on file, organizing, arranging the period of preservation and transferring.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record management in the department of processing, the problem of record management in the department of processing is considered to the private problem such as lack of will of task performers. After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record management and the record management that task performers think through a survey, this study deducts the matters to improve in the task of record management at the institution.

      • KCI등재

        근시환자에서 당일 스마일수술과 계획 스마일수술의 결과 비교

        김욱겸,류익희,김정섭,전가희,이인식,김희선,김진국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3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one day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which was performed on the same day as preoperative examinations in myopic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3 patients (163 eyes) who underwent SMILE with Visumax from January to June in 2017.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one day SMILE group underwent surgery on the same day as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including dilated fundus examinations. The scheduled group underwent the surgery on a different day. Only the right eye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one day SMILE group included 83 patients and the scheduled SMILE group included 80 patients. At postoperative 1 month, the myopic errors were -0.07 ± 0.43 diopters (D) for the one day SMILE group and -0.09 ± 0.37 D for the scheduled SMILE group (p = 0.81); the astigmatic refractions were -0.48 ± 0.29 D and -0.46 ± 0.28 D, respectively (p = 0.57), the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ies were -0.02 ± 0.11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and -0.02 ± 0.11 logMAR, respectively (p = 0.79).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myopic errors were -0.06 ± 0.42 D for the one day SMILE group and -0.08 ± 0.34 D for the scheduled SMILE group (p = 0.81), and the astigmatic refractions were -0.48 ± 0.25 D and -0.48 ± 0.30 D, respectively (p = 0.99); the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ies were -0.04 ± 0.09 logMAR and -0.05 ± 0.07 logMAR, respectively (p = 0.45).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the one day SMILE patients, whose surgery was performed on the same day as the preoperative dilating fundus examin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patients treated with conventional scheduled SMILE. 목적: 근시환자에서 산동 후 망막검사를 포함한 수술 전 검사와 수술을 하루에 진행하는 당일 스마일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6월까지 본원에서 스마일수술을 받은 환자 163명(16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검사와 수술을 같은 날에 진행한 당일 스마일군과 검사 후 다른 날에 수술을 진행한 계획 스마일군으로 나누어 수술 후 1, 6개월의 근시, 난시 및 시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당일 스마일군은 83명, 계획 스마일군은 80명이었으며, 수술 후 1개월에 근시는 각각 -0.07 ± 0.43디옵터, -0.09 ± 0.37디옵터였고(p=0.81), 난시는 각각 -0.48 ± 0.29디옵터, -0.46 ± 0.28디옵터였으며(p=0.57), 시력은 각각 -0.02 ± 0.11 logMAR, -0.02 ± 0.11 logMAR이었다(p=0.79). 수술 후 6개월에 당일 스마일군과 계획 스마일군의 근시는 각각 -0.06 ± 0.42디옵터, -0.08 ± 0.34 디옵터였고(p=0.81), 난시는 각각 -0.48 ± 0.25디옵터, -0.48 ± 0.30디옵터였으며(p=0.99), 시력은 각각 -0.04 ± 0.09 logMAR, -0.05 ± 0.07 logMAR이었다(p=0.45). 결론: 산동제로 동공이 약간 커진 상태에서 진행한 당일 스마일수술은 검사와 수술을 다른 날에 진행한 스마일수술법에 비하여 술 후 근시, 난시, 나안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