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 시의 리듬 연구

        장철환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1

        본고는 김춘수 시의 리듬에 대한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김춘수 시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체로 ‘무의미시’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무의미시’로의 경사는 상대적으로 이미지를 강조하고 리듬을 간과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김춘수 시에서 리듬은 그의 시 창작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무의미시’를 논할 때, 이미지뿐만 아니라 리듬의 작용과 역할에 대해서도 사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먼저 그의 초기 시의 리듬의 전반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름과 薔薇』에서부터 『打令調・其他』에 이르는 시기, 연 단위의 구문적 반복에서부터 시행 단위의 유사 어구의 반복, 그리고 어미 단위의 특정 음운의 반복이 다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타령조 연작은 반복의 폭 뿐만 아니라 그 빈도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그의 시에서 리듬이 중층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최종적으로 김춘수 초기 시에 나타난 리듬이 ‘무의미시’와 연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지’를 폐기하고 ‘주문(呪文)’을 얻으려 했던 그의 시도를 통해 우리는 궁극적으로 리듬과 이미지의 관계를 해명하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시적 발화의 ‘속도’를 중심으로

        장철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4

        본고는 김수영 시의 리듬을 규명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서 그의 리듬 의식에 대한연구이다.특히,‘속도’가 김수영 시의 리듬 의식 및 시적 사유의 현대성을 이해하는주요 관문임을 규명하고자 한다.김수영 시에서 ‘속도’는 크게 세 가지 층위를 띤다. 첫째,‘속도’는 김수영이 직시한 당대 현실의 주요 특질이다.그것은 1950-60년대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표상한다.둘째,‘속도’는 김수영의 시적 사유의 에너지와 방향을현시한다.그것은 ‘자유’와 ‘비애’라는 두 개의 벡터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셋째,‘속도’는 김수영의 시적 발화의 미적 가치의 주요 지표이다.일반적으로시행의 반복과 분절은 현실과 사유의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한다.이러한 속도의 변화가 김수영 시의 리듬의 고유한 결(texture)과 흐름(stream)을 직조하는 것이다.이를해명하기 위해,2장에서는 ‘문명의 속도’에 대한 김수영의 인식과 태도를 김기림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한다.3장에서는 ‘속도’에 내재한 고유한 시간관을 고찰하고 그것이 ‘카이로스의 시간’와 맞닿아 있음을 규명한다.4장에서는 시행의 길이에 따른 템포의 차이가 시적 발화의 ‘속도’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임을 확인한다.세계와 자아에 대한 비판 의식이 일상적 언어와 만나 빼어난 미적 성취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김수영의 시가 현대시의 발전에 끼친 공헌은 적지 않다.이런 맥락에서 그가 자유시와 산문시에서 구현하려던 ‘속도’는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원형을 분기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hythm consciousness in Kim Soo-young’s poetry, as a preliminary work to identify the rhythm of his poetry.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speed’ is the main gateway to understanding the modernity of rhythm consciousness in his poetry. To put it simply, ‘speed’ in his poetry appears in three major layers. First, ‘speed’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reality of the time that represents the uniqueness of Korean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Second, ‘speed’ reveals the energy and direction of his poetic thought. It explains how the two vectors of ‘freedom’ and ‘sorrow’ can coexist. Third, ‘speed’ is a major indicator of the aesthetic value of his poetic speech. In general the repetition and segmentation of lines in poetry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speed of reality and thoughts. This change in speed is what weaves the unique texture and stream of the rhythm of his poetry. To clarify this, in chapter 2, Kim Soo-young’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peed of civilization’ will be compared with that of Kim Ki-rim. In chapter 3, I will examine the unique view of time inherent in ‘speed’ and clarify that it is in contact with ‘Time of Kairos’. In chapter 4, I will confirm that the difference in tempo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execution is the main index to measure the ‘speed’ of poetic speech. The contribution of his poetry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is not small in that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world and the self is expressed in everyday language and achieves an outstanding aesthetic achievement.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the ‘speed’ he tried to realize in free verse and prose poetry diverges the new archetype of modern Korean poetry.

      • 김수영 시의 반복과 차이 연구 4·19혁명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장철환 (재)한국연구원 2020 한국연구 Vol.0 No.5

        고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반복과 차이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4·19 이전의 시편들을 대상으로 문장 층위에서의 반복과 변주 양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본고의 목적은 4·19혁명 이전의 시편들에 나타난 반복과 변주의 구체적 양상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반복과 차이가 의미론적·구문론적 층위와 긴밀히 연동되어 있음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반복과 차이의 매개 지점으로서 문장에 대한 김수영의 생각을 고찰하고, 반복의 양상에 따라 동일 구문의 반복과 비동일적 반복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을 살필 것이다. 먼저 동일 구문의 반복의 경우, 2회 연속 반복과 수미상관의 반복이 어떻게 새로운 의미의 파생을 야기하는지를 분석한다. 비동일적 반복의 경우, 특정 어휘의 대체에 의한 반복과 수식어구의 증식에 의한 반복으로 대별하여 그 구체적 양상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이 시기의 대표작인 「눈」과 「瀑布」에서 반복이 어떻게 차이의 생성을 통해 층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지를 논구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반복과 차이가 시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시적 리듬을 구현하는 장치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김수영 시의 리듬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님의 沈默』의 시행의 길이와 사상 표현의 상관성 연구

        장철환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본고의 일차적 목적은 한용운의 『님의 沈默』의 시행의 길이와 시인의 사상 표현과의 함수관계를 논하는 것이다. 여러 논자들이 지적하였듯이, 『님의 沈默』이 시의 의미와 형식 사이에 매우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내용은 제대로 논구된 적이 없는데, 본고는 이것에 착목하여 시행의 길이에 따라 시의 의미와 형식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님의 沈默』의 시행과 문장이 맺는 관계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의 문장이 여러 행으로 분할된 과소 시행은 시의 분위기와 정조의 표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들 시는 이별이라는 상황에 처한 주체의 정서적 반응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행을 이루는 등치 시행은 다양한 생각과 감정들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데 효율적이다. 특히 역설이라는 인식론적 난국과 그것을 돌파하기 위한 주체의 자기 정립이 문제가 될 때, 생각 마디의 적확한 분절을 통한 의미의 전달은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시행이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과다 시행은 형태나 의미 면에서 등치 시행과 대동소이하다. 결국 『님의 沈默』의 시행의 길이와 시인의 사상 표현은 매우 밀접한 연과관계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만해 시는 객관적 현실과 주체의 인식 사이의 괴리라는 역설 속에서 배태되고 있다. 여기서 잉여 이유의 출현은 역설이라는 인식론적 난국을 돌파하기 위한 주체의 자기 정립 과정이다. 그리고 이것이 『님의 沈默』의 문장의 복잡성과 시행의 장형화를 낳게 된 궁극적 원인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만해의 집필 의도가 대중을 교화하는 데 있음을 매우 분명히 보여준다. 즉 대중들이 인식론적 난국을 돌파하여 하나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정립하도록 촉구하고 교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s purpose i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lines and depth of thoughts of 『The silence of ‘Nim’』. As many scholars said, there are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contents and form of Han Young-Woon’s poetry. In short, there are three types of relation in line and sentence. The short line is made up a part of one sentence. It is effective to express poetic mood and emotion, in specially the wrench of parting. The equal line is made up one sentence. It is effective to explain many different ideas logically, in specially paradox.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confirm and express correct meaning to resolve epistemic uncertainty. The long line is made up many sentences. It is similar to the equal line in function.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lines and depth of thoughts of 『The silence of ‘Nim’』 is very close. As we know, the paradox between reality and knowledge is greatest source of Han Young-Woon’s poetry. And the appearance of surplus reason is a progressive establishment of our own subject to resolve epistemic uncertainty, paradox. This is a main reason that causes complex sentences and long lines in 『The silence of ‘Nim’』. Han Young-Woon’s purpose is to enlighten people for solution of epistemic paradox, so they found their own subject in propria persona.

      • KCI등재

        해방기 정지용 시의 연구 ― 현실 인식의 변주를 중심으로

        장철환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Jung Ji-Yong’s consciousness about reality which appeared in his late poet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1945-1950). In an interview, he asserted that there can not be any purity after 8 · 15. This shows how he thought about the political reality at that time. Known as a ‘artificial poet’ and a ‘pure poet’ under Japanese imperialism, he was trying to define himself newly in the face of a rapidly changing new political reality. He was looking for the continuity of his poetry in terms of ‘land’ and ‘peopl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imminent political changes of that time. So far, very little has been done in this direction. Moreo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gard this transition as ‘indifference to reality’ or to dismiss it as ‘political confusion’. However, in his work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 can see that he was constantly interested in the reality, specially ‘land’ and ‘people’.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s,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consciousness on reality is expressed in his late works, which consists of existing works and newly discovered works. In this paper, I try to clarify the tendency of his late poetry, and to clarify the reason why such tendency is inevitable. In other words, I want to make sure that the portrayal of his everyday events and the consciousness of his tragic life are the final consequences of his poetic changes. And this will reveal the reason why Ji-Yong named the title of the last anthology as “Spring thunder(春雷)” 이 글은 해방기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의식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八 ‧ 一五 以後에는 純粹란 있을 수 없”다고 단언한 바 있다. 이는 해방기 정지용의 현실 인식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일제치하 한국의 대표적인 ‘기교파 시인’이자 ‘순수시인’으로 불렸던 그가 새로운 정치적 현실에 직면하여 자기 자신을 새롭게 규정지으려 했던 것이다. 그는 ‘국토’와 ‘인민’에서 해방 전후 자신의 시의 연속성을 찾고 있는데, 이는 당시의 급박한 정치적 이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행을 ‘현실에 대한 무관심’으로 치부하거나 ‘정치적 좌충우돌’로 폄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해방기 정지용의 작품을 살펴보면, 그가 지속적으로 ‘국토’와 ‘인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기존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정지용의 시 작품에 현실의식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논의의 대상이 되는 작품은 기존 전집에 수록된 작품들과 새롭게 발굴된 작품들을 모두 포함한다. 해방기에 쓰인 시편이 매우 적기 때문에, 새롭게 발굴된 작품들을 포함하여 그의 해방기 시 작품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들 작품들의 분석을 통해, 해방기의 시 작품이 지닌 경향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그러한 경향성이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해명하고자 한다. 즉, 일상적 사건들의 묘사와 생의 비극성에 대한 의식이 해방기 정치적 편력의 최종 귀결점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부가적으로 지용이 마지막 시선집의 제목을 ‘춘뢰(春雷)’로 붙인 이유를 밝혀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