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디오 공유 소셜 플랫폼의 새로운 패러다임: 일상 경험의 내러티브

        장진규(Jinkyu Jang),김진욱(Jinwook Kim),엄하정(Hajung Aum),신현식(Hyunsik Shin),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타임라인상에서 자신의 일상 경험을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타인에게 자신의 경험을 보다 잘 전달하고자 Instagram 이나 Vine 과 같이 자신의 경험을 기록한 비디오를 매력적으로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대체 수단으로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ttentional Focus, Narrative Understanding, Narrative Presence, Emotional Engagement 의 4 가지 Factor 를 도입하여, 소셜 플랫폼 상에서 공유되는 비디오의 시간 형태에 따른 Narrative Engagement 의 매커니즘에 관한 이론적 인과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within-subject factorial design 으로 controlled experiment 를 실시하였다. 각 자극 별로 비디오 공유 소셜 플랫폼 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좋아요, 댓글, 즐겨찾기, 소환, 재생라인댓글 의 5 가지 Social Feature 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총 시간 길이와 장면 전환 속도의 상호작용이 Narrative Engagement 의 4 가지 Factor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실용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Nowadays, we recognize that many people want to share their experience effectively. So they have been using Instagram or Vine to record and edit their video attractively.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uggest and verify the theoretical constructed causal model of narrative engagement through the form of shared video’s time on social platform. In order to figure it out, we set the contributing factors as attentional forcus, narrative understanding, narrative presence, and emotional engagement. We conducted within-subject factorial design in controlled experiment. Participents were able to use five social features which is like button, reply, favorite, recall, attach to playline reply.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of the level of video’s time length and scene transition rate is the effect on narrative engagemen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대감이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엄하정(Hajung Aum),장진규(Jinkyu Jang),김민지(Minji Kim),김태동(Taedong Kim),김현영(Hyunyoung Kim),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사용자들의 콘텐츠 소비가 PC 에서 모바일로 이동함에 따라, 추천 서비스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추천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들이 평가 정보를 남기고 보는 순환적 흐름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인 서비스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추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서비스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적 차이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사용자들이 추천 서비스에서 지속적인 참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인지적 기재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천서비스의 지속적인 사용 요인이 무엇인지를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평가 정보를 남기는 사람의 측면에서 이를 살펴보고, 향후 사용자들이 추천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용적인 시스템 가이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Tendency of accepting information based on recommendation system is arising on using of mobile devices. However, formal researches have focused on users’ cognitive differences based on information found in recommendation system and cognitive factor that makes users consistently participate in recommendation system is left unexplor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a prototype we developed.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 of self-presentation and social-expectation on continuous usage, especially focusing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As a result, we suggest practical guideline to induce user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recommendation system.

      • 사회적지지 전염 효과 (Socially Supportive Contagion Effect)

        배상원(Sangwon Bae),장진규(Jinkyu Jang),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사회적 지지 전염 효과란 SNS상에서 익명이 특정 포스팅에 첫 댓글을 맥락 정보로 공유하였을 때, 수신자가 첫 댓글의 영향을 받아서 포스팅 작성자 또는 첫 댓글 작성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nformity, compliance와 obedience 라는 social influence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social network service상에서 맥락 정보 공유 시에 발생하는 social contagion 메커니즘에 관한 이론적 인과 관계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controlled experiment를 실시하였으며, within-subject factorial design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포스팅, 댓글, 대댓글을 달 수 있는 SNS에서, 참가자들이 자연스럽게 SNS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포스팅 작성자 또는 함께 같은 포스팅을 보는 사람에 대해 지각하는 social proximity, conformity, compliance, obedience,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to an initiator, social support to a poster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self-disclosure의 정도가 conformity와 compliance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촉진시킴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실용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In our study, we defined socially supportive contagion effect, which is an initiator that affect a receiver’s social support to a poster or an initiator.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uggest and verify the theoretically constructed causal model of social contagion behavior mechanism on SNS. In order to figure it out, we conducted the controlled experiment. Users were able to post and reply to the poster and the receiver dynamically. Concepts were evaluated by participants : Relational proximity, positional proximity, conformity, compliance, obedience,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to an initiator, social support to a poster.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elf-disclosure moderated the positive effect of conformity and compliance on social support separately.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당뇨망막병증의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 제안

        김수련(Suryeon Kim),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당뇨망막병증은 성인의 가장 큰 실명 요인으로 해마다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환자의 초기 인지가 어려워 적절한 치료시기가 늦어지고 있다. 그 결과 완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환자의 초기 인지를 돕고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체계화된 의료 서비스 형태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당뇨환자(46명) 및 당뇨망막병증 환자(11명)를 대상으로 환자의 병증에 대한 인지, 태도 및 기존 의료 서비스의 경험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서비스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환자가 요구하는 UX요소와 서비스 터치포인트를 발굴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서비스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물리적인 불편함 해결, 조기 진단이 가능한 의료 환경으로의 접근 유도, 쉽고 효율적인 검진 체계, 환자의 특성 및 상태에 따른 관리 체계의 확립이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결론에서는 당뇨망막병증의 체계적인 사용자 중심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온보딩을 환영합니다!”: 디지털 치료제 초기 사용자를 위한 설득적 온보딩 방식에 관한 연구

        김동연(Dongyeun Kim),허유정(Youjung Huh),김수연(Sooyeon Kim),유영재(Youngjae Yoo),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주요 분야로 현재까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근거 기반의 치료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임에 따라, 특성상 환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의 접속 빈도와 유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해 지속적인 사용을 이끌어내기 위한 HCI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디지털 치료제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온보딩에서 사용자가 접하게 될 기능이나 얻게 될 이득을 미리 파악하도록 하여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사용 태도를 긍정적으로 만드는 방식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보딩에서 두 가지 HCI 시스템 요소로써 약속의 공개 정도와 근거 전달 방식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약속의 공개 정도가 높을 때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수치 근거 전달 방식을 사용했을 때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사용 태도에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치료제의 온보딩을 디자인하도록 제안한다.

      • 경쟁과 협력 : 사람들은 왜 장소 맥락을 공유하는가? :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LBSNS) 사용자의 공동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배상원(Sangwon Bae),이혜인(Haein Lee),박혜진(Hyejin Park),장진규(Jinkyu Jang),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사람들은 왜 장소 맥락을 공유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LBSNS 사용자간의 경험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LB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도출한 요인들은 Grounded Theory 방법을 사용하여 개념화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LBSNS 사용자의 경쟁적이고도 협력적인 공동 경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정성 조사 결과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지각된 공감을 매개로 한 공동 경험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Why people share where they a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user's experience in LBSNS by using a exploratory approach. In order to do th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use of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concepts of LBSNS which result from users'co-experience both cooperatively and competitively. We constructed a model for users'co-experience mediated by perceived empathy.

      • 액티블리: 메타버스 기반 소셜 웰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성 검증

        김자은(Jaeun Kim),김지은(Jieun Kim),최현지(Hyounji Choi),장진규(Jinkyu Jang),신재찬(Jae Chan Shin),조아라(Ara Cho),유영재(Youngjae Yoo)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코로나 19 는 사람들의 신체 건강과 소셜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소셜 웰니스로 설명되는 이러한 건강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해 게임 요소를 적용한 동기 부여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소셜 웰니스를 증진시킬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액티블리’를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준실험 방식의 실험 설계를 바탕으로 필드 스터디를 진행하고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해 검증하였다. 액티블리 어플리케이션을 2 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신체 활동량, 수면 시간, 사회적 연결감을 매일 측정했다. 실험 참여자 모집시 측정된 참여자의 직전 일주일간의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사용 후 데이터를 수집해 그 두 개의 그룹 간 평균비교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액티블리 어플리케이션 사용으로 소셜 웰니스 지표 중 신체 활동량과 사회적 연결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지속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성 측면의 개선과 동기부여 측면의 추가 기능 디자인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메타버스 구성 요소 및 차별적 경험 특성에 관한 사용자 관점에서의 연구

        박민아(Mina Park),유재경(Jaekyeong Ryou),허유정(Youjung Huh),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다양한 정의, 대표적 특성, 구성 요소에 대해 조사하고, 나아가 사용자 관점에서 메타버스 경험-공간-생태계의 차별적 경험 특성을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몰입감’, ‘다양성’, ‘실감’, ‘자율성’은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관련이 높았으며, ‘접근성’, ‘확장성, ‘실재감’은 메타버스의 공간적 특성과, ‘안전성’, ‘시민성’은 환경적 특성과 각각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운용성’과 ‘지속성’은 메타버스의 전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