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體育科 授業模型에 관한 硏究

        張永仁 순천청암대학 1983 論文集-順川看護專門大學 Vol.9 No.-

        Devishng the teaching model of Senior High School's Physical Education is aimed at improving its curriculum more effectively than now and making the most of physical education by making a teaching model which has a clear object and can apply to actual teaching. The teaching model of physic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 the steps of plan, diagnosis, teaching and development. In the step of plan, the teacher draw up the teaching plan with a clear aim. In the step of diagnosis, the teacher makes aoiagnosis in advance as to whether the students have the basic ability to learn and he guides them by that result. In the step of teaching and development, this teaching model is subdivided into subordinate steps, such as scheme, diagnosis, the grasping of problems, the device of plan, drill and skill. Lastly, the step of evaluation goes through four courses;checking-up and the use of the result given. I made this resurt with a view to making practicalapplication on the teaching spot of the high school's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 Development's Teaching Model. This teaching mode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readiness of the students , their interest in learning,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schools. It is difficult to take these problems into consideration. However, I made this research in order to applicate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o the classroom education, and help it serve as a good guide to improve future teaching lesson model. The results of putting this research into practice are these: 1. Physical Deucation was made the most of by means of improving the curriculum more effectively than than now by establishing the teaching model which has a clear object and is applicable to teaching in the classroom. 2. This research helped establish teaching model appropriate to textbooks and served to improve the teaching skill of the teachers. 3. This research gave the students much interest in learning, because they could learn concretely and effectively. 4. The students solved the problems on their own, and so they could learn positively and in various ways.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놀권리의 관점에서 본 영국 놀이전문가(playworker) 양성과정

        장영인,황옥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아동과 권리 Vol.22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y worker in the UK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to obtain implications in Korea.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 to play, the curriculum of the play specialist training course in the U.K. has been analyz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curriculum (9 sub-programs with a total of 4 levels) and 60 subjects provided by the course. Results: The UK has a curriculum to train professionals with child-centered play theory and practical skills. In other words, the training process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right to play, and features a carefu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for practical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order to ensure the qualification of the professionalism, sufficient training time, progressive intensive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 focusing on practical capability were operated. Conclus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play experts in the UK based on the Play rights, we were able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courses for the promotion of play-related practitioners in Korea.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국 놀이전문가(playworker) 양성과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에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방법: 놀권리의 관점에서 영국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총 4개 레벨의 9개의 하위과정)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과 60개의 교과목이다. 결과: 영국은 아동중심의 놀이이론과 실무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즉 양성과정은 놀권리의 관점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무의 실질적 통합을 위한 세심한 교과목 구성과 배치를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자격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훈련시간, 점진적인 심화학습과정, 실무역량 중심의 평가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결론: 영국 놀이전문가 양성과정은 아동의 놀권리를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 내용과 훈련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놀이실무자 양성과정의 설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법원판결을 통해 본 정서학대와 방임의 쟁점

        장영인,박지민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gal criteria for determining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by analyzing the cases and to review the issues surrounding such criteria. Not only do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ppear to be the most prevalent forms of child abuse in terms of incidence rates, but they produce th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 which are as serious and destructive as those of physical abuse. Nevertheless, they have not sparked enough interest as a social issue or as a legal issue requiring judicial oversight. After the enactment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ct. of Child Abuse Crime,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ported abuse cases along with a growing interest i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their adjud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court’s rulings are different from practitioners of child protection or the expert groups in handling the situations. It is because child protection expert groups are more focused on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child abuse by approaching with a children's rights and best interests perspective and considering even the potential for harm to a child whereas the courts are more interested in punishment of offenders focusing on the results of an 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buses that the courts do not cover deserve further attention in the interests of the child welfare and non-judicial intervention for caregivers as well as children may be necessary. 본 연구는 정서학대와 방임에 대한 법원판결분석을 통해 법원의 판단기준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쟁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서학대와 방임은 아동학대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학대유형일 뿐만 아니라, 그것이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신체학대 못지않게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대상이나 법원의 사법적 판단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아동학대처벌법 제정 이후 학대사례수의 증가와 더불어 정서학대와 방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법원판결의 대상이 되는 사례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서학대와 방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그 동안 실무현장가나 전문가집단에서 다루어온 기준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은 행위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처벌하는데 관심이 있는 반면, 현장실무자나 전문가집단은 아동권리와 그 이익의 관점에서 학대발생의 ‘예방’을 중요시하여, 아동에 대한 ‘위해 가능성’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법원에서 다루어지지 못하는 학대에 대해서도 아동권리옹호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아동은 물론 보호자에 대해서도 비사법적 개입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대피해아동 보호에서의 아동권리와부모권리의 균형모색 - 영국 아동보호관련법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장영인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아동과 권리 Vol.17 No.4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on the balance between children’s rights and parental rights in public intervention for child protection. While the number of abused children in Korea has increased, the Child Welfare Act which aims at child protection has been remanded and improved. But the public intervention practice for child protection has often failed by strong resistances of parents abusing their children, so that many professionals and practitioners have called for even more stronger measures against it, in terms of restriction or termination of parental rights. This study also agrees with limiting or terminating parental rights, but it should be limited in inevitable and exceptional cases. This study argues that removing children from their parent and depriving the custodianship of them might induc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s like a perpetrator-victim relationship, moreover it can infringe on the children’s rights to care and upbringing from their parent. This study explored the history of British law about child protection as a finding of research, which has a long experiences of trial and error in looking for the harmony between children’s rights and parental rights. And we can learn from it for improving child care law and practice in Korea. 본 논문은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공적보호에서 아동권리와 부모권리 간의 균형모색에 관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에서 아동학대의 꾸준한 증가와 더불어 그 대책의 골간을 이루는 아동복지법의 관련 조항도 개정·발전되어왔다. 그러나 현실의 실천과정에서는 공적개입이 주 학대행위자인 부모들의 저항에 부딪혀 좌절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배경으로 학계와 전문가들은 친권제한 및 상실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대책을 요구하여왔다. 본 논문은 불가피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친권제한(또는 상실)이 부모자녀관계를 가해자-피해자로 대립시키고, 부모로부터 보호․양육받을 아동권리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동보호과정에서 부모책임을 유지시키면서 아동권리와 친권 간의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 논문은 학대피해아동보호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영국에서 친권제한과 존중을 오랜 기간 반복하며 친권과 아동권리 간의 조화를 위한 시행착오를 경험해온 점에 주목하여, 영국 아동보호관련법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즉 우리나라 공적개입도 양자의 조화를 고려하는 관점을 채택할 필요가 있으며, 복지적 관점에서 가족지지를 통한 예방적 아동보호에 큰 관심을 가질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시설보호아동의 권리현황과 과제

        장영인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OVID-19 quarantine measures on the lives and rights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children, and based on this, to find alternative support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pandemics and to determine the role of the state in guaranteeing children's rights. Methods: As a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workers and five children at six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five cities or counties under three local governments. Results: The greatest impact on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was the ban on going out and the complete cessation of various services due to preventive ‘cohort isolation measures'.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alternative guidelines, children's rights to development and freedom have been violated, with examples being losing opportunities for various education and services and even being barred from meeting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inequalities that differed from those of ordinary families.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the state should devise alternative support and service provision plans so that support for children does not stop even in a crisis that requires nationwide quarantine measur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지침과 대책이 수반되지 않은 코로나 방역대책이 시설보호아동의 삶과 권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위기상황에서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이 무엇이인지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질적 연구로서, 3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산하 5개 시군구에 분포되어 있는 아동양육시설 6개소의 종사자 6명, 아동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결과: 시설보호아동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예방적인 ‘코호트 격리조치’에 의한 외출금지와 다양한 서비스의 전면 중단이다. 그러나 아동권리보호 지침과 대안 서비스의부재로 인하여, 아동들은 다양한 교육과 서비스의 기회를 잃고, 부모면접조차 금지되는 등 발달권과 자유권이 침해되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시설보호아동들은 일반가정의 아동과 다른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 국민적 방역조치가 필요한 위기상황에서도 국가는 아동의 최선의 이익의 관점에서 아동에 대한 지원이 중단되지 않도록 별도의 지침을통해 대안적 지원과 서비스제공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동권리의 관점에서 본 징계권 폐지의 실천적 의의와 긍정적 양육 지원

        장영인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1

        Although the parental power of child punishment was abolished due to the deletion of Article 915 of the Civil Code, the prohibition of corporal punishment alone does not guarantee the healthy and safe upbringing of childre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alternatives for reporting and positive parenting as a follow-up. To this end, we look at the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lated to child punishment, identify factors for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parenting rather than punishment and analyze a total of 11 laws related to the abolition of the parental power of child punishment. In other words, the laws on the protection and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nalyzed focusing on factors such as the socially oriented goal of child rearing, the principle of positive parenting, and the support system to realize it. As a result, first, the relevant laws do not consistently specify the social goal of child rearing,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state's support or intervention. Second, the responsibilities of parents and guardians are centered on ‘prohibited acts’ that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or abuse, and regulations on the principles of positive parenting to be observed in daily parenting are ambiguous or absent. Third, support for child rearing is centered on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from the vulnerable or in crisis situations, and there is no regulation on universal and preventive support for all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bolition of the parental power of child punishment is to create a child-rearing environment free from violence to support the safe and healthy growth of all children. In order to this purpos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the principle of positive parenting and its implementation system to support all guardians who have difficulties in day-to-day parenting. 본 연구는 민법 제915조 삭제로 징계권이 폐지되었으나 체벌을 금하는 것만으로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양육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후속작업으로서 대안적 양육과 훈육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긍정적 양육을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징계와 관련된 유엔아동권리위원회 등 국제기구의 아동징계에 관한 관점을 살펴보고, 징계 아닌 긍정적 양육의 정착을 위한 요소를 확인하고, 그 관점에서 징계권 폐지와 연관된 총 11개의 법률을 분석하였다. 즉 사회가 지향하는 양육의 목표, 긍정적 양육의 원칙,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제도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보호‧교육에 관한 법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련법들은 국가의 지원이나 개입의 지향점이 되는 아동양육의 사회적 목표를 일관되게 명시하고 있지 않다. 둘째, 부모 및 보호자의 책무는 체벌이나 학대를 금하는 ‘금지행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일상적 양육에서 준수해야 할 긍정적 양육의 원칙에 대한 규정은 모호하거나 부재하다. 셋째, 양육에 대한 지원은 취약계층이나 위기상황에 처한 아동 및 보호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아동 및 그 보호자를 위한 보편적이고 예방적인 지원으로서의 긍정적 양육에 관한 규정은 없다. 본 연구는 징계권 폐지의 궁극적 목적은 모든 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폭력없는 양육환경 조성하는 것이라고 보고, 이를 위해서는 일상적인 양육 어려움을 겪는 모든 보호자를 지원하기 위한 긍정적 양육의 원칙과 그 실행시스템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