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함허용 양자컴퓨터 시스템에서 기저상태 추출 알고리즘의 동작성능 분석

        장아름(Ah-Reum Jang),최병수(Byung-Soo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computational science algorithm (ground state estimation algorithm) on a quantum computer. For this study, we calculate the device-level quantum resource requirement with a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model. From the quantum compiling to the device-level execution, we measur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gates or steps. After this study, we realize that the current fault-tolerant quantum computation model still has lots of problems which makes uncertain the quantum computational power.

      • KCI등재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장아름(Jang, Ah,Reu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대학재정지원정책 실패 제도화를 야기하는 근본 원인에 대한 학계 논의가 미진하다고 판단하고,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둘러싼 맥락을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구조적 맥락 가운데서도 정권교체는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제도적 맥락에서는 정권교체에 의해 새롭게 선출된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나,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는 정책결정구조가 작동하거나 교육 현안이 발생하였을 때 대통령이 의도한 바대로 대학재정지원정 책이 추진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행위 수준에서는 교육부와 기재부가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였고, 국회 교육위원회나 감사원, 대학사회는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에 균열을 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크게 (1)고등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2)국회 교육위원회와 학계 간 대학재정지원정책 관련 포럼 개최 활성화, (3)민주적 고등교육 거버넌스체제 구축, (4)고등교육재정 안정적 확보 장치 마련, (5)국가경쟁력 강화 논리로부터 일정거리 확보 차원에서 교육ㆍ연구 환경 조성, (6)학령인구 감소를 내세운 고등교육 재정 감축논리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poli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even within the structur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the regime chang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Second, the ideology among the institution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but was also limited by the policy decision structure and education system. Third, in the behavioral level the MOE and the MOSF were more inclined to maintain the exist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path, while the National Assembly s Education Committee, the Board of Audit, and University Society played a major role in cracking the existing university funding policy path. Fourth, even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regime change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that caused the change on university funding policy.

      • 양자컴퓨터 계산성능의 정량적 비교분석

        김진규 ( Jin-kyu Kim ),장아름 ( Ah-reum Jang ),최병수 ( Byung-s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현재까지는 양자 컴퓨터의 계산 성능에 대한 알고리즘 수준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고리즘 수준 분석의 한계를 넘기 위해 조금 더 정교한 어셈블리 코드 수준에서의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재 사용가능한 두 개의 양자 컴파일러와 두 개의 양자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양자컴퓨터는 어셈블리 코드 수준에서도 충분한 성능향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고전컴파일러와 달리 양자컴파일러의 실행시간은 입력 값에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정치참여의 의미와 학교교육의 방향

        남미자(Nam, Mi-Ja),장아름(Jang, Ah-Reum)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2005년 이후 약 15년 만에 만 18세로 선거권 연령이 하향된 제도변화에 주목하여 청소년 정치참여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청소년 활동가, 비청소년 활동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청소년 정치참여의 의미와 학교교육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정치참여는 ‘현존하는 시민(being citizen)’으로서의 정체성을 천부적으로 가진 권리주체임을 자각하는 과정이었으며, 선천적ㆍ후천적 조건의 차이로 인해 사회적 논의의 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청소년의 시민권 문제를 성찰하는 과정이었다. 즉 정치는 비단 국회에서 일어나는 활동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삶 그 자체이기에, 사회 전체가 일상민주주의를 체험하고 학습하는 공간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만 18세 선거권 연령 하향 결정에 따라 촉발될 교육현장에서의 정치교육 방향은 단순히 선거 절차나 방법 등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특정 교과목의 학습내용으로 제공하는 형태를 지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 교육체제 전반에 대한 체계적 설계를 요청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 과정이 민주적인지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사회불평등에 대한 책임의식을 내면화하여 ‘현존하는 시민(being citizen)’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실질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performed interviews with youth, youth activists, and non-adolescent activists who a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related to youth politic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Research has confirmed that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process of self-awareness that they were innate rights holders with their identity as being citizens . In other words, politics does not only mean activities taking place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it is life itself, so not only the school scene but also the entire societ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space to experience and learn daily democracy. In the end, the direc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will be triggered by the decision to lower the age of the 18-year-old electoral district, does not simply aim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knowledge of election procedures or methods and provide them with the learning content of a particular subject. We ask for a systematic design of the entire educational system, such a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everyday lives of citizens. This will allow adolescents to develop practical capabilities to live as present citizens by critically thinking whether the authoritative distribution process of social values is democratic and internaliz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ocial inequality.

      • KCI등재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정부를 중심으로

        이인수(Lee In Su),서경화(Seo Kyung Wha),강재혁(Kang Jae Hyeok),장아름(Jang Ah reum),윤기현(Yoon Ki hyun),이예슬(Lee Ye seul),김미란(Kim Mi 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raw out th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CK, ACE, LINC, BK, PRIM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In terms of evaluation objective, contents, method and utilization, The issue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give the implication to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 First, the objective of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the whole university community to work out change and innovation. Second, the minimal standard of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decrease the evaluation burden and a new evaluation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each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organized with long term point of view to support enough for the university itself to prepare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research on the evaluation utiliza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dent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특성화사업(CK),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 두뇌한국 21 플러스 사업(BK21 PLUS), 산학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및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정부주도 대학 평가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결과활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목표의 수월성 의 관점 편중, 평가지표의 유사성으로 인한 수혜의 중복과 정성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관한 문제, 대학 구성원 간의 합의의 부재와 자금 위주의 정책수단의 한계점, 정부 대학평가의 효과성과 지속성 쟁점이 도출되었다.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사회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사업의 특성과 대학의 유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선택지표를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학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체성과 자생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