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의 정체성과 영화의 재현방식

        엄준석(Um, Junseok),장슬기(Jang, Seulgi)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1

        본고는 부산의 독립영화가 부산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기존의 상업영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부산을 재현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면서 부산 독립영화의 문제와 그 가능적 면면들을 진단해본다. 기존의 상업영화는 지역-부산에 대한 오래된 인식론을 기반으로 부산과 부산사람 그리고 사투리를 재현하는 데 있어 왜곡되고 과잉된 자세를 취해왔다. 물론 부산 독립영화들 또한 이러한 상업영화의 재현 방식의 범주로부터 그리 벗어나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비합법적이고 불합리한 공간으로서의 부산은 2000년 <범일동 블루스>를 시작으로 <영도다리> <도다리> <개똥이>까지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산 독립영화도 부산 내부의 젠더적 불균형의 문제를 적극 타진하지 못하고 상업영화의 재현방식을 답습하고 있다. 그러나 <팬지와 담쟁이> <할매1, 2> 경우, 지역-여성을 남성의 관계어로서만이 아닌, 나름의 주체적인 삶을 꾸려나가는 존재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만하다. 부산을 다룬 상업영화, 그리고 독립영화의 공통점은 모두 바다를 재현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감각들을 내비치고 있다는 것이다. 부산은 본래 해양과 맞닿은 삶이지만, 1960년대 국가주도의 산업화와 근대화로 해양문화는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 즉 육지에 대한 경제 발전 논리로 인해 오직 ‘땅’만이 절대성을 차지했으며, 바다는 향수나 동경, 미지의 언어로만 정립되었을 뿐이다. <영도다리>와 <도다리>와 같은 영화들이 바다를 해양문화의 고통스러운 소산이나, 관조의 대상으로 바라보기만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처럼 부산의 독립영화들은 부산을 재현함에 있어 그 곤혹스러움을 여실히 노출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역으로 부산에의 담론이 어떻게 통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즉 부산 독립영화는 부산이라는 혼종적 공간이 단순한 언어로 이야기 될 수 없으며 부산의 역사성, 부산사람의 주체성에 대한 길항관계를 토대로 말해질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는 것이다. Mater Student, Department of Film Studies,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and Film, Chung-Ang University / Master Course Student, Department of Film Studies,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and Film, Chung-Ang University This paper is about how Busan independent film express Busan. Furthermore, We try to examine problems and the potentials of the Busan independent film by looking at how conventional commercial movies show Busan in their movies. Conventional commercial movies express Busan, people in Busan and the dialect of Busan in an exaggerative way, merely based on their stereotypes about a local area, Busan. Without doubt, Busan independent films were doing almost the same way. Particularly, their think Busan is an illegal and unreasonable place. This kind of notion has been shown in many movies from 〈Beomil-dong Blues(2000)〉 to 〈I came from Busan(2009)〉, 〈Busan Flounder - Redux(2011)〉 and 〈over and over again(2012)〉 In addition, the Busan independent films are following the old problem of the gender disparity, not trying to sound out the issue. However, one thing that we can focus on is that in movies, 〈Pansy&Ivy(2000)〉〈Grandma(2011)(2012)〉 local females are shown subjective and independent,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y used to be expressed: females dependent on male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films whose theme is Busan is that they all have various conceptions towards the sea. Busan is a marine region but people in Busan couldn’t take root in the marine life due to the nation-wide industrialization. That is, “the land” was always considered absolutely right and the sea was only a object of nostalgia, desire, or the unknown. That’s why the sea was seen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and the painful product of marine life. Like this, the movies clearly show us that they were struggling to express Busan in their movies. However, it rather show us what the discourse of the current film industry is. It means that Busan independent films tell us that a hybrid space, Busan can’t be explained by simple languages and it should be tol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history of Busan and the identity of Busan people.

      • KCI우수등재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정파적 신문 노출

        백영민(Youngmin Baek),김희정(Heejeong Kim),한규섭(Kyusup Hahn),장슬기(Seulgi Jang),김영석(Youngseok Kim) 한국언론학회 2016 한국언론학보 Vol.60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redispositions and partisan media exposure among external columnists, as a group of opinion leaders in major newspapers, and how the relationship differs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n Korea. This study classifies three types of partisan media exposure: (1) balanced exposure (i.e., exposure to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sides), (2) view-consistent exposure (i.e., selective exposure to the media whose political stance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audience), and (3) view-inconsistent exposure (i.e., selective exposure to the media whose political stance is inconsistent with that of the audienc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external columnists’ partisan media exposure differs from the general public’s exposure, and how the relationship varie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spapers’ ideological landscape and the status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agend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