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장상수(Chang Sang-soo)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교육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목할 만한 사실을 발견하였으나 몇 가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 방면의 연구는 학력단계의 질적 분화를 소홀히 하였고,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메커니즘을 거쳐 변하는지를 밝히지 못하였다. 이 글은 첫째, 중등교육의 질적 분화를 감안하여 가족배경이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시계열적으로 어떤 경향성을 띠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성적과 이행성향 분포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가족배경 효과가 무엇 때문에 변화하였는지를 짐작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KLIPS) 자료와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국제학업성취도(PISA) 자료를 분석한 이 글은 다음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의 학력이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중등학력 단계에서 교육 불평등은 심화되었다. 둘째, 교육 불평등이 심화된 까닭은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성향이 계급별로 불균등하게 증가한 탓이었다. 고등교육체계와 인문계 고등학교가 팽창하면서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성향이 증가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고학력 부모의 성향은 저학력 부모보다 더 많이 더 빨리 증가하였다. Prior research on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IEO)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y have scarcely considered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system. Second, they have not concretely showed through what process IEO has changed.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irst, taking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secondary education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trends of IEO when the students of lower secondary education chose the high school sector in Korea. Second, closely examining the shifts of the distrib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ransition propensity, it tried to show the concrete process through which IEO has changed during the last decades. Analyz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and OECD’s PISA data, this paper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on choice of high school sector has increased across cohorts. Second, this increase of IEO came from the fact that the children of highly educated parents more quickly preferred academic high school to vocational high school than their counterparts, when higher education and academic high school expand.

      • KCI등재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기회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1

        이 글은 한국 여성의 대학교육 이수기회가 가족배경과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연관성이 지난 수 십 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여성의 대학 진학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고등교육 단계에서 학력성취의 성 차이는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가족배경이 여성의 4년제 대학 진학 기회에 미친 영향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더 커졌다. 다시말해, 여성의 학력성취의 계급 차이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다른 사회에서 발견하기 힘든 흥미로운 사례이다. 여성의 학력성취를 설명하는 몇 가지 일반 가설은 한국 사회의 이런 사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 글은 한국 여성의 교육 불평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보편화, 교육의 비화폐 보상, 그리고 가족소득의 절대 수준 등과 같은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였다. Prior research on educational attainment uncovered that (1) class differentials have been stable or fluctuated over time in most countries, (2) gender differentials have steadily declined in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1970s. This paper examined patterns and chang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background and women’s opportunity to reach higher education in Korea. It found that while gender differentials have steadily de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s, class differentials among women in higher education have rather increased over time. This finding is not fully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hypotheses on women’s educational achievemen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non-monetary returns to education, family income, and saturation of secondary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properly explain the changes of women’s educational inequality in Korea.

      • KCI등재

        벌어지는 틈새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5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이런 주제를 살피는 일은 예전에도 흔했고 지금도 흔하다. 이 글이 그 흔한 작업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글에서는 한국의 교육기회 불평등을 국가 비교와 시계열 비교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다시 말해, 한국의 기회 불평등이 다른 나라와 다른 정도를 살피고, 지난 시기 동안 이 불평등이 바뀐 방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이 글에서는 기회의 불평등을 OLS 회귀식으로 재기도 하고 다수 준 모형으로 가늠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이 두 추정치를 서로 견주었다. 이 글에서는 OECD가 2000년과 2009년에 수집한 PISA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생의 읽기 평균 점수는 다른 나라보다 높았다. 이에 더하여 성적 우수 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성적부진 학생의 비율도 낮았다. 둘째, 한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나라보다 낮았다.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2000년대 첫 십 년 동안 더 커졌다. 다시 말해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더 깊어졌다. 이는 OLS 계수로 재든 사회경제적 기울기 모형의 계수로 가늠하든 상관없이 그러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is kind of topic has been quite common in academia. Nevertheless, there are two points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studies on the issue: one is to place the Korea’s inequali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and temporal comparison.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Korea’s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to contrast the Korea’s inequality at an early point in the first decades of 2000s with that of a later point in the same period; The other is to do a methodological comparison. It measures the status and trends of educational inequality both by the ordinary least square(OLS) regression and by the multi-level model, and then compares the estimates of the former with those of the latter. The data used here are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collected in 2000 and 2009 by OEC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literacy had been much lower during the first decades of the 2000s in Korea than those of any other OECD countries. Second, however,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literacy had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Korea, which simply means that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had deteriorated during the early 2000s. Third, the above two results are true both in the OLS estimation and in the multi-level analysis.

      • KCI등재

        가족배경, 문화자본, 성적

        장상수(Chang Sang-soo)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3

        일반적으로 상층계급 자녀의 성적은 하층계급보다 더 높다. 이 이유를 설명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문화자본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다. 상층계급은 하층계급보다 더 많은 문화자본을 보유하기 때문에 더 높은 성적을 얻는다는 설명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글은 문화자본이 과연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 성적의 연관성을 매개하는지를 살펴본다. 이 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학생평가(PISA) 한국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문화적 소유물, 가정의 교육자원, 문화적 소통 등으로 조작화한 부모의 문화자본은 자녀의 성적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고급의 심미적 문화의 소비로 조작화한 자녀의 문화자본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어떤 방식으로 조작화하든, 문화자본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 성적의 연관성을 매개하는 정도는 낮다. 이런 발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생산 모형이 예측하는 바와 달리, 한국에서 고급의 심미적 문화의 소비는 하층계급을 배제하는 문화자본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둘째, 한국에서 가족의 문화적 소유물, 가정의 교육자원, 부모와 자녀의 문화적 의사소통, 가족의 학습조력 등을 문화자본으로 간주하기 힘들다. In general, children of better endowed parents tend to get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 approach to explain this phenomenon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his paper tries to show whether cultural capital really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Analyz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data which was collected by OECD in 2000, this paper found the followings: first, while the cultural capital of parents, which was measured by their cultural possessions, educational resources and 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children's cultural capital, which was measured by the consumption of or the participation in the highbrow aesthetic activiti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is hard to assert that cultural capital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imply the followings: first, the consumption of highbrow aesthetic culture cannot be counted as a kind of cultural capital in Korea. Second, unlike the predictions of cultural reproduction model, cultural possessions, cultural communication, and family's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utilized as a means of exclus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Korea, either.

      • KCI등재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

        장상수(Chang Sang-soo)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6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을 다룬 앞선 연구는 이행의 유형이 나라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드러내고, 이 변이가 각 국의 교육제도 노동시장구조, 이 양자의 연결구조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였음을 보였다. 그러나 한 사회의 학교-직장 이행의 변화를 설명할 때에는 제도보다 구조에 눈을 돌리는 편이 더 낫다. 쉽사리 바뀌지 않는 제도로 이행의 변화를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의 학교-직장 이행의 변화를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을 좌우하는 몇 가지 구조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이 글은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청년층 부가자료를 경쟁위험모형과 같은 사건사 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교를 마치고 노동시장에 진입할 때, 1990년을 전후한 시기에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력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력보다 유리하였지만 이 유리함은 2000년에 근접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화이트칼라 상층 직업에 진입할 때, 고등교육은 원래부터 다른 어떤 학력보다 유리하였지만 이 유리함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매년 조금씩 증가하였다. 셋째,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의 이런 변화는 우리 사회의 구조 변화에서 비롯하였다. Prior research o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showed the differences in transition pattern across countries and tried to explain such differences by the variation of institutional contexts and structural conditions among countries. However, it is rathe better to focus o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s when explaining the change of transition in a society, just because the institutional contexts are seldom altered in a short period.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e changes of school-to-work transition in Korea by the structural shifts in business cycles, the ratio of youth in the population, the occupational upgrading, and the educational expansion. Analyz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collected in 2000, and using the several event history models like competing risks model, I found the followings: first, when 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leaving school, the advantage of vocational high school over the academic high school has decreased during the 1990s. Second, when achieving the upper strata of white collar occupations, the effect of tertiary education has increased during the same time span. Third,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s seem to be responsible for these changes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 KCI등재

        학력성취의 계급별ㆍ성별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1

        학력성취에 관한 선행연구가 발견한 경험적 규칙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성취의 계급별 차이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감소하지 않았다. 스웨덴과 같은 소수의 국가들만이 예외적이었다. 둘째, 학력성취의 성별 차이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글은 한국에서 학력성취의 계급별ㆍ성별 차이의 유형과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위와 같은 경험적 규칙성과 비교하고자 한다. 한국에서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의 경우 학력성취의 계급별 차이는 교육체계의 급속한 팽창에도 불구하고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가족배경의 영향력은 도리어 증가하였다. 둘째, 지난 수십 년 동안 학력성취의 성별 차이는 거의 모든 이행단계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고등학교에서 4년제 대학으로 이행하는 단계에서 이 감소는 가족배경에 따라 불균등하게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성별 차이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욱더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요측면에 초점을 맞춘 선행 가설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지만,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 글은 한국 사회의 경험적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급측면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general empirical regularities that previous research on educational attainment has fou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ass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have not decreased over time in almost all countries. Only a few countries such as Sweden served as exceptions. Second, gender differentials have steadily declined across cohorts since 1970s. This paper looks into the patterns of and changes in class and gender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in Korea, and compares them with these empirical regularities. The findings from Korea are as follows: First, class differentials in the case of men have not decreased despite a rapid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ase of women, however, the effects of father’s education on completing a four-year university have rather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s. Second, gender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have steadily declined in almost all transitions, although these reductions have been unequal among the different social groups. The decline of gender differentials has been more prominent in daughters of highly educated parents. These findings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existing hypotheses, which focused on demand-side factors. This paper suggests that supply-sid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empirical facts in Korea to be properly understood.

      • KCI등재

        세대내 계급이동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이 글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진 세대내 이동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 이동을 규정하는 몇 가지 요인들의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타국의 이동유형과 비교하여 우리 사회의 특징을 파악하기도 하였다. 대수선형모형과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 사회 세대내 이동의 실제적 모습이 보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비이동률은 비교적 높다. 둘째, 상층 계급(서비스계급)과 육체노동자계급, 특히 숙련노동자계급의 계급안정률은 다른 사회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고, 화이트칼라 하층의 그것은 상대적으로 더 높다. 셋째, 모든 진입 계급에서 자영업자로의 이동이 두드러지게 관찰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우리 사회가 추구한 산업화 전략에 따른 독특한 계급구조, 그리고 상대적 이동체제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general patterns of intragenerational class mobility,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which can be regarded as determining this mobility, and further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Korea by comparing the class structure and mobility regime of Korea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The patterns of intragenerational mobility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mmobility rates in Korea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Second, worklife stability of upper class(service class) and manual classes are lower, while that of lower white collar stratum is higher. Third, significant proportions of all entry classes move to self-employer stratum. Fourth, counter-mobility is not so distinct and diverse. Thes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seem to come from both the class structure and mobility regime, which have been formed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Korea. In Korea, external labor market has not been so well developed because the economic growth hitherto have been led by large firms. Instead of it, self-employers have been relatively well developed. It is this kind of class structure that has constrained the observed patterns of intragenerational mobility. On the other hand, large firms in Korea have developed a peculiar internal labor market, in which on-the-job training and job evaluation system are not so important. As a result, recruitment and promotion have been based on external indicators such as gender or educational qualifications rather than skills or abilities of workers. Mobility regime, which might come from these conditions, can be regarded as another cause of the fact that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intragenerational mobility have been constrained in Korea, even though structural conditions seem to have more definitive forces.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가족배경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장상수(Chang Sang-soo),손병선(Byung-sun Sohn)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4

        가족배경이 학업성적을 설명하는 정도는 학교요인의 그것보다 더 크다. 이 글은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적과의 연관성을 살폈다. 학업성적의 계급별 차이는 계층화된 사회체계 안에서 가족이 차지하는 위치의 차이, 그리고 그로부터 기인한 성취지향의 차이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 글은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직업열망이나 경쟁적 학습태도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열망이나 태도의 차이가 학업성적을 규정한다는 몇 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PISA 자료를 분석한 이 글은 이러한 가설이 그다지 잘못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였다. It is widely known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more heavily dependent on the family background than on school factors.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ultural capital or social capital when explaining the translation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into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class differentials in academic achievement are generated not only from the differences of cultual and social capital but also from both a family's mobility strategy and the resultant discrepancies of occupational and academic orientations among families in a stratified system. More concretely,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hypotheses that a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would determine children'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competitive learning attitude, which in turn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Relying on PISA data, we confirmed these hypotheses are not so erroneo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