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1 > 불교와 심리치료-마음챙김, 명상, 영상기법을 활용한 마음치유 : 군 생활 적응,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계

        장경화 ( Kyung Hw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본 연구는 현재 군에 복무중인 군 장병들이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지와 군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느 정도 인지 조사하고 이에 군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마음챙김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육군 모 부대의 장병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으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명상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군 생활스트레스는 낮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군 생활 적응 및 마음챙김은 잘하는 것으로 나왔다. 군 장병들에게 마음챙김이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종교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부요인 중 부정적 문제 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과 군 생활 적응의 하부요인인 심신상태가 마음챙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다. 즉 종교가 있는 경우 마음챙김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부주의스타일이 낮을수록 마음챙김을 잘하고, 심신상태가 좋을수록 마음챙김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음챙김이 군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군 생활 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군 장병들이 군 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확대 시행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ilitary personnel are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military, how much they are under the stress, how much they are capable of problem-solving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djustment, military str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order to do tha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4 military personnel in ROK Army. According to the result, those who have religions and meditation experience showed lower stress level and turned out to have more problem- solving ability, successful military adjustment and mindfulness.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factors of mindfulness for soldiers showed that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Impulsive/Careless Style in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hysical-mental condition in sub-factors of military adjustment have meaningful effects on mindfulness. In other words, mindfulness help reduce military stress and have positive effect to military adjustment, and increase the cap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ir military lif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mindfulness program more extensively for military personnel to adjust well to military life.

      • KCI등재

        마음챙김 명상의 주의 자각이 말기 암 환자의 죽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장경화 ( Kyung-hwa Jang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이 연구는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명상 프로그램을 말기 암 환자에게 실시하여 마음챙김의 주의 자각이 환자들의 죽음에 대한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바탕으로, 부산 소재 D병원에서 항암과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 암 환자들에게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주 1회 1시간 30분씩 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효과성에 대한 검증을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의 주의 자각을 향상시킴으로써 참여자들의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결론 및 제언으로 마음챙김 명상 훈련을 통해 말기 암 환자들의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말기 암 환자들의 불안감 감소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과 꾸준히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mindfulnessbased meditation program in reducing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a single-group pre-posttest design, and the Wilcoxon Signed-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used for verifying effectivenes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enhanced participants' self-awareness and subsequently reduced their anxiety. In conclusion and sugg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anxiety about death can be reduced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to ensure the sustained reduction of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Furthermore, continuous research utilizing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is recommended.

      • KCI등재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장경화 ( Kyung Hwa Jang ),남정희 ( Jeong Hee Nam ),최애란 ( Ae Ra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 구조의 특징을 통해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탐 구적 과학 글쓰기 전략을 바탕으로 개발된 중학교 2 학년 프로그램 7개 주제를 적용한 후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 구조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광역시 소재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1개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 집단에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 및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 후 두 집단에게 요약 글쓰기를 실시하였고, 요약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논의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의 처치 결과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강의 및 실험 수업을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요약 글쓰기에서 논의 구조를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증거에서 설명과 함께 그림, 그래프, 예시 등의 다양한 표현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증거 제시 수준에서도 비교집단은 증거를 제시할 경우 단순한 용어 나열하는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거나 예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글쓰논의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교집단 과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gument structure on students` writing in implementation of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8 8th grade students (three classes). Two classes (68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35 students) wa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After implementing this program, the two groups were asked to write summaries using structured argumentation in their wri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ed better argument structure and multimodal representation such as pictures, graphs and examples in evid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quality of evidence used in the students` writing was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tudents of the comparative group only listed fragments of science concepts for evidence to support their claims, bu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explained science concepts by giving specific examples. The findings show that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WH approach was effective on argument structure in students` writing.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장경화 ( Jang Kyung-hwa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속에서 추후 대학생을 지도하는데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 경상북도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교 여름 계절학기수업을 수강한 남녀 재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마음챙김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조사하였다. 누락된 응답내용이 있는 것을 제외한 1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에서는 스마트폰중독 수준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하루에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대상자가 스마트폰 중독 수준 정도가 높았다. 둘째, 마음챙김의 하위변인인 자각행위, 비판단, 관찰, 비자동성, 기술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자각행위, 비자동성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마음챙김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마음챙김의 자각행위와 비자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의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에 영향을 미치고, 가상세계지향성과 금단은 비자동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A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for smart phone users of summer session students in D university in June 2016. This study analyzed 116 responses exclusive of responses with any omission out of all responden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degree of women`s smart 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en`s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subjects who used smart phone for a longer time had a higher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of sub-variables of mindfulness degree such as self-awareness behavior, non-decision, observation, non-automatism and technology upon smart phone addiction. For this, from the results of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the lower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From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upon each sub-variable of smart phone addiction, it is found that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found to affect daily life disorder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olerance, and that virtual world orientation and withdrawal were found to affect non-automatism.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found that as the mindfulness got increased, the propensity of smart phone addiction got decreased.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meditation programs based on mindfulness to prevent and heal smart phone addiction.

      • KCI등재

        불교명상(禪)을 근간으로 한 군 생활적응 프로그램이군 스트레스, 군 생활적응, 불안, 우울, 마음챙김에 미치는 효과

        장경화 ( Kyung Hw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본 연구는 21세기 신세대 군 장병들이 군 생활적응과, 마음챙김,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심리적 문제가 어느 정도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실험군에게 불교명상(禪)을 근간으로 한 군 생활적응 프로그램을 8주간 실시한 후군 장병들의 군 생활적응과 마음챙김, 불안,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전-사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해군모 부대의 장병들 가운데 실험집단 24명, 대조집단 2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에 실시한 8주간의 군 생활적응 프로그램이군 장병들에게 마음챙김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로 인한 군 생활 부적응과 불안 및 우울 등 심리적 고통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스트레스는 감소하고 마음챙김은 증가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불교명상(禪)을 통해 마음챙김 증가와 스트레스 감소로 군 생활 부적응을 극복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신세대 장병들이군 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개인 차이에 따른 보다 개선되고 보완된 불교명상(禪)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확대 시행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the levels of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military adjustment, mindfulness,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among newgeneration servicepersons in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it applied an eight-week military adjustment program based on Buddhist meditation (Zen)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examined its effects on servicepersons’ military adjustment, mindfulness,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in comparison with a control group.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24 service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sampled from a unit of the Korean Nav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the military adjustment program based on Buddhist meditation (Z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enhanced their mindfulness and helped them overcome psychological pains such as stress-induced military maladjustment, anxiety,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significant in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mindfulness, and this suggests that mitigated stress and enhanced mindfulness through Buddhist meditation (Zen) may support servicepersons to overcome military maladjustment.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improved and extended Buddhist meditation (Zen)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an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uch programs for new-generation servicepersons’ effective military adjustment.

      • KCI등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초증가 수열을 통한 주소 은닉 기법 설계

        천준호,김성찬,근원,경화,전문석,Choun, Jun-Ho,Kim, Sung-Chan,Jang, Kun-Won,Do, Kyung-Hwa,Jun, Moon-Seo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5

        대부분의 무선 네트워크 보안 기법은 암호학적인 안정성을 기반으로 통신 내용을 악의적인 호스트로 부터 보호하는 기밀성을 제공하지만 통신의 논리/물리적 주소를 노출시킨다. 이는 악의적인 노드에게 통신 내용은 숨길 수 있지만 대략의 전송량과 송신자와 수신자를 노출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은닉주소 체계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주소를 초증가 수열을 사용한 knapsack problem을 응용하여 생성된 은닉주소로 치환한다. 또한 은닉주소의 잦은 변환을 통해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 대상을 감시하거나 측정 호스트를 공격 대상으로 삼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 기법은 공격 목표가 되는 호스트의 주소가 계속 변화하므로 DDoS 공격을 시도하려는 공격자가 공격 목표를 특정 할 수 없다. The General security method of wireless network provides a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contents based on the cryptographic stability against a malicious host. However, this method exposes the logical and physical addresses of both sender and receiver, so transmission volume and identification of both may be exposed although concealing that content. Covered address scheme that this paper proposes generates an address to which knapsack problem using super increasing sequence is applied, and replaces the addresses of sender and receiver with addresses from super increasing sequence. Also, proposed method changes frequently secret addresses, so a malicious user cannot watch a target system or try to attack the specific host. Proposed method also changes continuously a host address that attacker takes aim at. Accordingly, an attacker who tries to use DDoS attack cannot decide the specific targe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SCOPUS

        배암차즈기와 홍삼 복합물의 호흡기 보호 및 질환 치료 상승 효과

        신한재(Han Jae Shin),곽효민(Hyo Min Gwak),이문용(Moon Yong Lee),경종수(Jong Su Kyung),장경화(Kyoung Hwa Jang),한창균(Chang Kyun Han),양원경(Won Kyung Yang),김승형(Seung Hyung Kim) 한국약용작물학회 2019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7 No.3

        Background: We recently reported that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suppress leukotriene production and effectively inhibit the airway inflammatory response by modulating inflammatory chemokine and cytokine expression. Here, we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airway anti-inflammation effect of Salvia plebeia and Panax ginseng (Korean red ginseng, KRG) that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immune diseases such as asthma. Methods and Results: To evaluate the synergistic airway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lvia plebeia and KRG, we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 of monotheraphy with either or co-theraphy with both on leukotrien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Using coal a combustion, fly ash, and diesel exhaust particle (CFD)-induced respiratory disease mouse model, we found that co-theraphy synergistically suppressed airway inflammatory signs such as alveolar wall thickness and collagen fibers deposition, and decreased the number of total cell, CD11b+Gr-1+ cells, and inflammatory cytokines (IL17A, TNF, MIP-2 and CXCL-1)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Conclusions: We confirmed respiratory protection as a therapeutic effect of the Salbia plebeia-KRG 3 : 1 complex (KGC-03-PS) via anti-tracheal muscle contraction and expectorant animal studies using a CFD-induced respiratory disease mous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