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가정 및 학교 내 대인관계와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

        임혜림(Yim, Hyerim),김서현(Kim, Seohyu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행복감 증진 차원에서 가정 및 학교 내 대인관계와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다집단 분석을 통해 초․중학교 집단 간 차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 총 4,538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는 모두 아동의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모두 친구관계, 교사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관계, 교사관계는 아동의 행복감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 다집단분석 결과에서는 부와의 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 모와의 관계가 친구관계, 교사관계에 미치는 정적(+) 영향, 교사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에서 모두 초등학교와 중학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집단 모두에서 학교 내 대인관계인 친구관계, 교사관계는 부․모와의 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아동의 행복감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family․school and children"s happiness in order to promote their happines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For the research, data from the 2017 survey of the Collection of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were utiliz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4,538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happiness; and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happiness. Second, as a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by the level of school,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sitive impact of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on their happiness, the positive impact of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on peer,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positive impact of teacher relationship on their happiness. Third, among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oups,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school, in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served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 effect of parental relationships on their happines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cused on differences by the level of school were suggested to support for the promotion of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이혼가정 아동 관련 연구 경향의 역사적 고찰 :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r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이혼가정 아동에 관한 연구의 변천을 역사적 고찰에 기반하여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특히 이혼이 사회적으로 급격히 증가한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 중에 국내에서 발표된 이혼가정 아동에 관한 학술연구의 경향이 어떠한지 연구사적 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110편의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논문을 확보했으며, 수집한 자료를 시기별로 구분한 후 대상 논문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사적 고찰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시기인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이혼이 급증함에 따라 해당 주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급격히 전개되었다. 두 번째 시기인 200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부모의 이혼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비롯해 이혼가정 아동의 위험요인에 주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의 수적 팽창도 수반되었다. 세 번째 시기인 2010년대 초반에서 2019년까지는 이혼가정 아동 관련 학술연구 주제의 다변화가 나타났으며, 연구주제의 세분화와 방법론의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끝으로, 이혼가정 아동에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역사적으로 고찰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해당 주제 탐구의 발전 및 후속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돕기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domestic studies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based on historical study. Especially,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domestic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published from the time of the Korean Currency Crisis when divorces sharply increased in society in South Korea through 2019, applying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cured a total of 110 KCI-registered and to-be-registered academic articles to conduct a study of the history of research, dividing the collected materials by period and analyzing the tendency of the paper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1st period Korean Currency Crisis through the early-2000s, as divorces sharply increased, academic interest in the relevant topic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2nd period from the mid-2000s to the late-2000s, most studies paid attention to risk factors in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as well as the negative impacts of parents’ divorce on their development, and there wa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tudies, too. In the 3rd period from the early-2010 through 2019, the topics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became diversified. Also, research topics were subdivided, and methodologies were sophisticated. Lastl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to help develop the exploration of related topics and smoothly conduct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study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 KCI등재

        입시반복과 전공변경으로 재진학한 대학생들의 경험 : 학력사회에서 꿈에 닿는 방법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rim ),명소연 ( Myung Soyeon ),정익중 ( Chung Ick-joo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최근 한국에서는 어렵게 입학한 대학교를 중도 탈락하고, 대학입학시험을 거쳐 대학을 바꾸고 전공을 다시 찾는 이들이 많다. 이는 어느새 학력사회인 한국에서 대학생들이 고유한 꿈에 닿는 방법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시반복 후 새로운 대학교에 진학하여 전공을 바꾼 대학생들의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대학생 5명과 개별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에서는 먼저 사례 내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각 사례에서의 이슈들을 비교하면서 사례 간 분석을 하여 21개의 하위범주 및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참여자들은 ‘마음껏 꿈꾸지 못했던 어린 날’, ‘방향이 어긋난 채 잠시 머무른 자리’, ‘탈 많은 선택을 격려해준 사람들’, ‘잠시 키를 낮추며 기다리는 미래’, ‘지나온 날보다 분주해진 마음’과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모두 관통하면서 ‘나이테에 겹겹이 더하는 꿈’이라는 중심주제가 드러남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학력·학벌주의에 대한 성찰을 비롯하여 대학생들이 고유한 꿈과 다양한 선택으로 건강한 발달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Recently, in Korea, a lot of students dropped out of the college and they managed to look for a new major with a change of college, 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gain. This has already become a wa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o reach their own dreams in credenti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ho re-entered a new college and changed their majors after repeated examination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Five colleg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is study conducted a cross-case analysis, then comparing the issues of each case revealed in the within-case analysis, and found 21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The cross-case analysis found out that w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ere ‘young days when I could not dream enough’, ‘the place I stayed in the wrong direction for a moment’, ‘people who always supported my wrong choices’, ‘awaiting the future with lowering my expectations for a while’ and ‘busier mind than the past days’. Furthermore, the experience across all participants was revealed as the main topic of ‘dreams added in layers on the growth ring’.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at college students could continue the healthy development with unique dreams and various choices, including a reflection on Korea's credentialism and elite university favoritism.

      • KCI등재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김서현(Kim, Seohyun),임혜림(Yim, Hyerim),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생활 내 주요 대인관계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우울 및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2010’ 중1 패널 3차년도(중학교 3학년)의 총 2,164명에 대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는 교우관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임은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은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격성은 교우관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와 방임이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효과분해를 분석한 결과, 학대는 교사, 교우관계에 대해서 우울과 공격성을 통해 미치는 간접효과가 컸지만 방임은 교사, 교우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와 방임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우울의 간접효과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우울과 공격성의 간접효과가 각각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복지 개입과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 maltreatment(abuse and negl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er and peer) in middle schoo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is study utilized the 3rd wave data(3rd grade of middle school) from the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consisted of 2,164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hild abuse and peer relationships, whereas child neglect was involved in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while depression negatively influenced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ggression only impacted peer relationships. Third, child abuse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d by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contrast, child neglect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both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Furthermore, only depression appeared to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teacher relationships, whereas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