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도시 기후변화 적응 정책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임진희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1

        한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기록적 폭염, 태풍, 장마와 같은 극단적 기후 현상이 연이 어 발생하였다. 한국의 기상청은 이러한 기상이변 이유로 기후변화 요인을 언급한다. 이처럼 낯설던 기후변화가 우리의 일상과 가까워졌다. 그러나 한국의 대부분 언론과 여론은 여전히 심각한 재해가 발생할 때에만 관심을 보인다. 나아가 대부분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련한 것이다. 반면에 기후변화가 상당히 진 행된 현재에는 적응에 관련한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소홀한 편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이산화탄소 배출국이자 관련 재해 빈발국으로 그간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왔다.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도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여왔다. 중앙은 관련 한 전략과 법규를 수립하였고, 부문과 지방이 정책과 조치를 이행하였다. 주목이 필요 한 부분은 이러한 정책과 법률의 현실성, 실질적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서 과감히 시험 (시범)도시 선정과 운영을 추진한 것이다. 이처럼 실제 지리적 위치, 기후적 특성, 환경 적 조건 등에 근거한 시험 과정과 최종 결과는 향후 중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와 도시에 좋은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은 2010년 제1차, 2015년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발표하였고, 2017년 문재인 정부도 100대 국정과제 시행을 통해서 기후적응 이슈에 대응하려 하였다. 그러 나 현재까지 재해는 여전하며, 적응은 장기적인 과제로 부상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입장에서 유용한 사례로서 중국을 제시하며, 특히 중앙과 지방 정부의 분업, 과감한 시험도시 건설과 운영, 그 영향과 성패에 따른 교훈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중국의 기후적응 정책과 시범도시 운영을 살펴보고 현재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을 고찰하려 한다. In recent years, extreme weather phenomena such as the worst heat wave in 2018, record-breaking typhoon in 2019, and all-time monsoon season in 2020 have occurred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efers to the climate change as the reason for this extreme weather change. Climate change, which was unfamiliar in the past, has become closer to everyday life. However, most of the media and public opinion in Korea are still interested only in the event of a serious disaster. Furthermore, most of them are related to greenhouse gas emissions called climate change mitigation. On the other hand, at a time when climate change has progressed considerably, active interest and actions related to adaptation have been neglected despite their importance. China has been activel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s the world’s largest carbon dioxide emitter and a country with frequent related disasters. In particular, it has actively respond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cities. The centr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relevant strategies, regulations, th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policies and measure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bold selection and operation of pilot-cities to test the practicality and practical impact of these policies and laws. this process and results based on actual geographical location, climat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onditions, etc. will provide good experience not only for China but also for other countries and provincial cities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Korea, the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were announced in 2010 and 2015. An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lso tried to respond to climate adaptation issues by implementing 100 national top tasks. However, climate change disasters still occur, and adaptation emerges as a long-term task. This paper presents China as a useful example from the standpoint of Korea, especially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ilot-cities, and the lessons learned from their success or failure. And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paper would like to look at China’s climate adaptation policy, pilot-city operation and consider its implications for Korea at pres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집체학습(集体学习) 분석 –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 –

        임진희 중국지역학회 2023 중국지역연구 Vol.10 No.2

        시진핑 시기의 중국은 불확실하고 예측이 어려워졌다. 근래에 국제정치적 혼란과 불안정 성에 경제적 어려움까지 더해져 우리로서는 가능한 하나의 단서라도 보태어 중국의, 특히 정책결정자 그룹의 인식과 시각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것에 기반하여 그들의 중요한 정책결 정 방향을 가늠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실적 필요와 국내외 연구의 부족에 근거해 중국의 집체학습 제도를 고찰하고, 시진핑 제1기~제2기 집체학습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였 다. 전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둘째, 중앙정치국 집체학 습의 발전과 의미를 고찰하며, 셋째, 시진핑 제1기~제2기 현황과 의미를 살펴보고, 넷째, 앞서서 서술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그 의미와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China under Xi Jinping has become uncertain and unpredictable. And as if the recent economic situation, global political turmoil has also worsened.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understand China's perception and perspective, especially the policy makers' group, and further gauge their important policy-making directions based on it. Based on these practical needs and lack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China's collective learning system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as follows. This Paper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in Chapter 1,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meaning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in Chapter 2. Chapter 3 and 4 considered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during Xi Jinping era. At the end, Chapter 5 summarized Chapter 2~4 and tried to present its meaning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 신외교전략의 시발점

        임진희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5 韓中關係硏究 Vol.1 No.2

        그간 중국은 개도국으로서 국가대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 는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시진핑 정부에 들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국가대전략 을 구상하고 실현해가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서진전략(西進戰略) 그리고 그 핵심인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亞洲基礎施設投資銀行) 설립의 추진이 대표적 사례일 것이다. 본문은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의 변화, 이에 따른 국가전략 조정의 시각에서 일대일로 정책과 AIIB 설립의 추진을 다루고,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전망과 한국의 입장에서 본 시사점으로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마크 트웨인의 여성관 : 미국 보수주의의 반영

        임진희 남서울대학교 199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 No.-

        American literary tradition is primarily male-oriented, and Mark Twain, America's quintessential writer belongs to this tradition. Twain has been regarded as an iconoclast; as the absolute social critic in the "Gilded Age," directing his fire at all injustice. However, he has some conservative notions about women and this is the striking limitation of his literature. Twain's stereotyped female characters fall into three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the weak but innocent, trusting, morally faultless young girl such as Becky Thatcher, Mary Jane Wilks who inspire boys with their goodness or save them from their baser tendencies. The second type is the middle-aged female authority figure, such as Aunt Polly or the Widow Douglas, who tries to reform boys by forcing .them to adhere to the values of society epitomized by the "female" virtues. The third type is the ideal of Victorian womanhood, or, as Coventry Patmore called her, the "Angel in the House." For Twain, women are distinct from men insofar as they are possessed of a higher morality and finer sensibilities, but they are also defined by their relation to men, whether as the mother, the sweetheart, the wife, or the widow. Twain's difficulty in depicting living and realistic female characters was not his alone. The stereotyping of women as moral entities was commonplace in Victorian culture most American writers of the day idealized women. In doing this, they were expressing the need of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for symbols of moral support to compensate for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rruption which prevailed in the world of men.

      • KCI등재

        중국 시진핑 정부 특징과 권력 공고화 분석 –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를 중심으로 -

        임진희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This study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hrough a review of the process of power consolidation. And to this end, this paper compared it with Mao Zedong, the only person in the history of CCP who built and actually operated a one-man-rule system. On this basis, this paper also tried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Did Xi Jinping establish the one-man-rule system?', ‘Is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still valid?’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analyses of the president Xi Jinping and comparisons with his predecessor, Hu Jintao. However, there were no analyses that were compared to the president Mao Zedong.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and compared the method of the power consolidation during the Mao Zedong government in Chapter 2 and the Xi Jinping government in Chapter 3. At the end, Chapter 4 summarized Chapter 2~3 and tried to present its own answers and implications to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본 논문은 중국 시진핑 주석의 권력 공고화 과정 고찰을 통해 시진핑 정부의 특징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신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하고 실제로 운영했던 인물인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고, 동시에 이로써 근래에 빈번히 등장한 ‘시진핑 주석은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한 것인가?’, ‘집단지도 체제는 아직도 유효한가?’ 같은 질문에 나름의 답을 구하려 하였다. 현재 시진핑 시기 자체의 분석, 전임인 후진타오 시기와 비교한 분석은 다수 존재한다. 그런데 일인지배 여부를 검토하며 의외로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여 살펴본 분석들은 적었다. 때문에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마오쩌둥 시기의, 제3장에서 시진핑 시기의 권력 공고화 방식을 고찰, 비교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 이를 정리하며 상술한 질문에 나름의 답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