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Gsome이 코팅된 일라이트 및 이를 함유한 페이스 파우더의 특성

        임진경 ( Jin Kyong Lim ),진병석 ( Byung Suk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13 공업화학 Vol.24 No.2

        BGsome coating on the surface of illite powder was attempted to impart skin affinity and impro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for makeup cosmetics. BGsome is a type of hydrated liquid crystalline vesicles prepared by the hydration of 1,3-butylene glycol (BG) dissolved lecithin. BGsome droplets were coated through wet process and the coated powders were analyzed by TGA, SEM, and particle size measurements. Effect of BGsome coat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lowability, dispersibility, spreadability, and adhesion, were examined. The repose angle of BGsome-coated illite was decreased, which means that BGsome coating improves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Dispersibility, spreadability, and adhesion of the coated illite were also improved remarkably. The result of adhesion tests showed that the BGsome-coated illite was evenly adhered onto artificial leather surface with almost no lumps. The flowability, dispersibility, spreadability and adhesion of face powders containing the BGsome-coated illite were also improved.

      • KCI등재

        HaCa 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H<sub>2</sub>O<sub>2</sub>)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홉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및 미백 활성 효과

        임진경 ( Jin Kyong Lim ),유선희 ( Seon hee You ),문지선 ( Ji sun Moon ) 한국미용학회 2017 한국미용학회지 Vol.23 No.6

        본 연구에서는 홉(Humulus lupulus) 추출물이 HaCaT 세포에 과산화수소(H<sub>2</sub>O<sub>2</sub>)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및 미백 활성 효과를 확인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홉 추출물이 H<sub>2</sub>O<sub>2</sub>에 의해 손상된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세포 내 Reactive oxygen species (ROS) 활성 억제 효과와 항산화 활성 효과를 확인하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멜라닌 자극 호르몬인 α-MSH를 처리하여 과 색소 현상을 유도한 후, 멜라닌 과 색소 억제 효과와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tyrosinase, MITF 의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홉 추출물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확인되었다. HaCaT 세포와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최고 농도를 50 μg/mL 농도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홉 추출물의 H<sub>2</sub>O<sub>2</sub>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는 25 μg/mL 농도에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내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ROS 활성 억제 효과와 50 μg/mL 농도에서 ascorbic acid 와 비슷한 활성 억제 효과가 확인 되었다. 또한, 홉 추출물 50 μg/mL 농도에서 높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ITF, Tyrosinase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홉 추출물이 H<sub>2</sub>O<sub>2</sub>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과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