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기반형(Web-based)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 결정요인: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의 관점에서

        임지선,Lim, Jis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웹 기반형(web-based)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 결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 전 세계적 플랫폼 노동시장 중 하나인 Freelancer.com에서 웹 크롤링(web-crawling)한 총 3,575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전통적 노동시장에서 유의하였던 학력, 경력과 더불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새롭게 사용 가능해진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가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OLS 및 QR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OLS 분석결과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은 과거 유의하였던 학력, 경력뿐 아니라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리뷰 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QR 분석결과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교육보다는 경력이 리뷰 수보다는 추천 수가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상승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ge determinants of web-based platform work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575 web-based platform workers' information from Freelancer.com, a global platform labor market, in September 2018 were used and whether or not newly available indicators such as evaluations by previous employ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increase of platform workers using OLS and QR methods. As an OLS estimation results, the number of reviews, as well as education and experience, affects the wages of platform workers. However, as a result of the QR estimation, experience rather than education, recommendation rather than a review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of web-based platform workers as the wage level rises.

      • KCI등재

        해외주재원 조직지원 및 파견교육이 현지적응 및 직무성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임지선(Lim JiSun),박성민(Park Sungmin)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2

        최근 국내 건설사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건설사의 해외주재원 수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주재원의 파견교육 및 조직지원의 구체적인 성과와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주재원의 파견교육과 조직지원이 파견 후 어떠한 성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해외주재원의 파견 후 가장 중요한 성과는 현지적응과 해외근무시의 직무성과몰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주재원의 파견교육 및 조직지원이 현지적응 및 직무성과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2011년 해외건설협회 기준 시공 능력 상위 업체 D사, H사, S사의 해외 근무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2부의 설문 결과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15.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건설사의 해외주재원에 대한 조직지원과 파견교육은 현지적응과 직무성과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의 직무성과몰입은 독립변수인 조직지원, 파견교육과 종속변수인 현지적응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주재원에 대한 효과적인 조직지원 및 파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local adaptation and job performance commitment of expatriate construction manager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pre-departure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 on expatriate s overseas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commitment. For this study, we surveyed expatriate construction managers of Korea’s major construction firms. 112 surveys finally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5.0. Results suggest that pre-departure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adjustment and job performance commitment of expatriate construction managers. However, individual job performance commitment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dispatch education and overseas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effective organization support and dispatch education for overseas expatriates. Overall, the findings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re-departure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 job performance of expatriate.

      • KCI등재

        한국 제조기업의 디지털화와 생산직 비정규직 고용과의 관계 : 기업 교육훈련의 조절효과 분석

        임지선(Lim, Jisun)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3

        기업의 디지털 기술도입에 따른 거래비용의 감소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규직 노동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업무변화 및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근로자의 직무에 맞는 기기 활용능력 및 자료 분석능력과 같은 업무특수적 지식을 요구함으로서 기업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및 정규직 노동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제조생산성패널(2013)」자료의 601개 한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디지털 기술도입에 따른 생산직 비정규직에의 고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제조기업의 디지털화는 생산직 비정규직의 고용비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때 기업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는 증가된 생산직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수요를 낮추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를 위한 기업의 물적자본에 대한 투자는 생산직 비정규직 고용비중을 증가시키지만,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는 이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decrease in transaction costs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various types of non-standard form of employment. However, changes in work and work environment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firms’ production processes require task-specific knowledge, such as the ability to use IT devices and analyze suitable data; thereby, the demand for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standard employees can be increased. Using a sample of 601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Manufacturing Productivity Panel (2013)” data,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digitalization on the non-standard form of production employmen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digitalization of such firms increases the proportion of non-standard production workers. However,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such as firms’ education and training can lower the increased demand for such work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w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pre-actively support firms’ education and training for lowering non-standard employment of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