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일 정치재단의 정치교육

        임종헌 ( Jong Hun Lim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3 정치와 평론 Vol.12 No.-

        A democracy shall be completed by the continuous democratization with the help of its political education system. German party foundations do not perform the function of institutes of political parties helping the activities of parties, but are absolutely independent political foundations, which are “intimate to the parties”. Korean political parties call for special policy institutes, so that they may reform themselves to the “parties with policies”, and uphold stabilization of party system. On that line, they amended the Political Party Law and Political Fund Law in 2004, whereby establishing the institutes of policy of political parties. as soon as possible. Korean institutes of policy lack functions of forming agenda and analysing policies, as well as scientific assessment and analysis as professional groups on policy matters. The German case in regards to political education would be very valuable as a guide for the Korean case because it shows a wealth of constructive experiences in terms of overcoming all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division of a country, establishing a firm faith towards democracy and training the democratic citizenship to better understand the political environment.

      • KCI등재

        초·중학교의 기초학력 향상방안 연구

        임종헌(Lim, Jong-heon),유경훈(Ryu, Kyu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학력 교육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여, 기초학력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교육청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기초학력 컨설턴트, 학생,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근무자, 대학생 보조강사 등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심층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영역에서는 ‘문제 풀이 반복식의 보충수업’, ‘학생의 개별특성과 부진요인이 반영되지 않는 교육’, ‘성장 없이 형식적 통과만 강조하기’ 현상이 나타났으며, 지원체제 및 학교문화 영역에서는 ‘비교과적인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교사의 전문성 이상을 요하는 업무’, ‘떠밀려 업무를 맡게 되는 저경력 교사들’, ‘학점을 받기 위해 형식적으로 활동하는 대학생보 조강사’의 현상이 나타났다. 학생 및 학부모 영역에서는 ‘의지와 의욕이 부족한 학생 들’, ‘이루어지기 어려운 가정 연계 교육’, ‘낙인효과를 우려하는 학부모들’의 현상이, 행정 구조 영역에서는 ‘늦어버린 학생선별 시기’, ‘형식적인 기초학력 컨설팅’, ‘항상 부족한 기초학력 예산’, ‘부담스러운 행정 업무’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기초학력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학생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의 운영, 기초학력 관련 교원들의 업무 경감, 학교와 외부 지원 기관 간의 연계성 강화, 학생의 점수가 아닌 성장 중심의 중장기 교육 운영 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n education for basic academic skill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nd explore the way to improvement.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asic academic skill consultants, general education clinic staff, teacher assistant(college studen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s that problems of ‘supplementary lesson of problem solving repetition’, ‘education lack of refl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poor factors’, and ‘emphasis on passing the exam without growth’ exist in the field of education process and methods. There are also problems of ‘non-curricular general education clinic’, ‘work load beyond teachers’ profession’, ‘unskilled teachers forced to undertake duty’, and ‘teacher assistants fastening on credits’ in support system and school culture. Drawing on the research result, the operation of curriculum refl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and activity-oriented class, reduction of teachers burden on basic academic skills, enhancement of ties between schools and support institutions, and emphasis on students’ growth in the long-term not the score in short-term are significant in management of basic academic skill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임종헌(Lim, jong h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4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정책들은 교육현장과 괴리되어 형식주의와 디커플링 현상을 발생시켜 왔다. 이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정책들이 학교 현장에 천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그러한 문제적 현상의 본질적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에 최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개혁 정책인 ‘자유학기제’를 연구주제로 선정하여 A중학교 의 자유학기 한 학기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 에서 부각된 양가성 현상에 주목하였는데, 이 연구의 조작적 정의와 분석틀에 따르면, 양가성 현상이란 기존의 가치, 사고방식, 행동양식의 유지하려는 ‘관성’과 개혁정책의 가치, 사고방식, 행동양식을 추구하려는 ‘변화’가 구성원들에게 대립하면서 공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연구결 과, A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의 모습은 특징이 부각되는 시점에 따라 ‘두 마음의 시 작’, ‘갈지자 걸음’, ‘절반의 성공’의 세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시기마다 학생, 교사, 학 부모가 겪는 양가성 현상이 구조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양 가성 현상의 이론적 의미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와 교육개혁 정책에 대해 제 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coupling phenomenon derived from the gap between education policy reform and the policy practice in the field,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education police process. The decoupling phenomenon points to the phenomenon that the stakeholders seem to conform to the policy outwardly but still keep the existing practices inwardly. This phenomenon sometimes causes a optical illusion that the policy is well-implemented seemingly. For this reason, I chose to research on a reformative education policy,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intrinsic causes that result in the decoupling phenomenon, and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A” middle school for a semester.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ambivalence phenomenon emerging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 ambivalence phenomenon means the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inertia which tries to maintain existing values, ways of thinking and behavior, and 'change' which follows the values and ways of thinking and behavior of reformative policies among the members. This study describ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A” middle school and drew the the feature. The processes were classified as ‘the first meeting’, ‘adaptation’ and ‘incomplete success’ according to the flow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the ambivalence phenomenon experienced by students, teachers, parents were structured in each steps. The phenomenon like ‘still knowledge first’ vs. ‘now competence first’, ‘ school knowledge’ vs. ‘life experience’, ‘resting vs. linking’ were noticed in student group, and the ones like ‘the forced change’ vs. ‘the opportunity of change’, ‘risk aversion’ vs. ‘risk acceptance’, ‘emulation’ vs. ‘distinction’ were showed in teacher group. The parents group experienced ‘uneasiness’ vs. ‘expectation’, ‘relying on private academy’ vs. ‘being free’, ‘my kid vs. our kid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e ambivalence phenomenon to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described the implications to the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e ambivalence lense as a theoretical tool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ducation policy reform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초·중학교의 지필평가 개선방안 연구

        임종헌(Lim, Jong-heon),유경훈(Ryu, Kyu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혁신학교, 자유학기제 등 교육개혁 정책의 도입으로 초 중학교에서의 평가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선택형 및 단답형 중심의 지필평가의 비중이 크다. 본 연구는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를 추구하는 관점에서 서술형 논술형 평가로의 지필평가 개선에 주목하였다. 연구자는 초 중학교에서 서술형 논술형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고, 이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술형 논술형 지필평가의 촉진 요인은 ‘교사의 의지에서 이어지는 자발적 실천’, ‘교사의 자율성 확대 및 권한의 회복’, ‘신뢰 중심의 학교문화와 긴밀한 협의구조’, ‘평가 변화의 성과를 체험하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관계자들이 지필평가 개선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분명히 공유해야 한다는 점, 교원의 평가권을 강화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점, 학생의 성장을 위한 피드백이 있는 서술형 논술형 평가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Paper-and-pencil evaluation still plays significant role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ough the evaluation system has changed by initiating education reform policies such as innovation school and free semester program. This research focuses on improving paper-and-pencil evaluation toward descriptive and essay-type test in terms of integrations between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this articl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implementing descriptive and essay evalu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n analyzed data by employing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 shows ‘voluntary action from teachers’ own will’, ‘enlargement of self-efficacy and restoration of authority’, ‘trust-centered school and structure of close discussion’ and ‘experience of result of evaluation change’ in paper-pencil evaluation. Drawing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hows that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clearly share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n paper-and pencil evaluation, strengthen and support teachers rights to evaluation and focus on descriptive and essay evaluation with feedback for student s growth .

      • KCI등재

        보건교사의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임종헌 ( Lim Jong Heon ),김보경 ( Kim Boky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4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자유학기 참여의 모습과 특징을 밝히고, 그러한 모습과 특징의 이론적, 실제적 의미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서분석을 통해 2017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및 시범학교 426개교 중에서 보건교사가 자유학기에 참여하고 있는 5개교 사례를 도출하고, 연구 참여 의사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건강중학교와 행복중학교에 근무 중인 두 명의 보건교사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교사의 일상에서는 ‘간호사와 교사 정체성의 혼재’ 현상이 나타났으며, ‘꿈과 삶의 여유를 찾아 학교에 온 간호사’, ‘환자가 아닌 학생을 돌보는 일상’, ‘보건 수업보다 보건 업무, 상대적으로 낮은 교사 정체성’, ‘학교 안의 섬, 보건실과 보건교사’, ‘선택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제한된 수업’으로 구체화되었다. 보건교사의 자유학기는 ‘교사가 되는 시간’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넓어진 교실의 문’, ‘강화되는 교사 정체성’, ‘보건실과 교무실 넘나들기’, ‘늘어나는 수업 시수’, ‘맨땅에 헤딩하기’, ‘동료교사들의 지지가 열쇠’ 현상으로 구체화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교사의 수업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한 교사 정체성 제고, 학교 내 교사공동체 참여 지원, 보건교사와 자유학기제의 상호호혜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way of health teachers participate during a free semester, and to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such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an analysis of documents, five cases of health teachers participating in a free semester were selected from among 426 research schools and pilot schools in 2017. After confirm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 final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wo health teachers working at Health Middle School and at Happy Middle School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Nurses and teacher identities were entwined’ in their daily lives. ‘Nurses who came to school for dreams and life’, ‘daily life to care for students rather than patients’, ‘health work, relatively low teacher identity’, 'an island within the school, the nursing room and the health teacher’, and ‘lessons restricted to selective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free semester for the health teachers was viewed as ’time to be a teacher’. Also, the phenomena of ’relatively large classroom door’, ’a strengthened teacher identity’, ’crossing the nursing room and teachers’ office’, ’increasing classroom time’, ’starting from the scratch’, and ’the support of fellow teachers being key’. were embodied.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teacher identity b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classes, offering support for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school, and the mutual reciprocity of health teachers and a free semes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